"두 파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줄거리)
(줄거리)
58번째 줄: 58번째 줄:
  
 
  교장선생님 : 정례 어머니와 옥임이사이에서 중간 이득을 획득하는 속물로서 빚놀이란 어려운 세상을 살기위한 방편이며, 오히려 양심 있는 행위로 생각하는 정신적 파탄자이다.
 
  교장선생님 : 정례 어머니와 옥임이사이에서 중간 이득을 획득하는 속물로서 빚놀이란 어려운 세상을 살기위한 방편이며, 오히려 양심 있는 행위로 생각하는 정신적 파탄자이다.
 +
 +
 +
염상섭의 단편소설. 1949년 8월 신천지 38호에 발표되었다.
 +
 +
독립 이후 경제의 불안정성, 물질 만능 주의, 그리고 그 사이에서 힘들게 살아가는 정례 가족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
 +
 +
 +
정례 모친은 은행에서 집문서를 담보로 30만원을 빌려 문방구 사업을 시작한다. 하지만, 사업이 어렵게 되자, 정례 모친은 국민학교 때부터 동경여자대학교 때까지 동창이었던 김옥임에게 돈 10만원을 동업 조건 하에 빌린다. 그러다 정례 부친이 운영하던 택시 사업도 망해버려 더더욱 가게 사정은 어려워졌다. 친구에게조차 고리대금업일을 하게 된 옥임은 가게 보증금 영수증을 담보로 출자금을 15%로 돌린다.
 +
옥임은 정례 모친에게 교장을 소개해준다. 한 때 초등학교 교장이었다는 교장에게 정례모친은 5만원을 더 빌리게 된다. 급기야 옥임은 정례 모친이 옥임에게 진 빚을 교장에게 갚게 해 원금 + 빌린 이자의 이자를 갚게 만든다.
 +
 +
은행에 30만원, 옥임에게 20만원, 교장영감에게 5만원 도합 55만원의 빚을 걸머진 정례 어머니는 어느 날 황토현 정류장에서 만난 옥임에게 망신을 당한다. 두 달에 걸쳐 억지로 교장 영감의 빚은 갚았으나, 급기야 석달째에는 보증금 8만원마저 되찾지 못한 채 빚으로 에우고 문방구를 교장 영감의 딸 내외에게 넘기지 않을 수 없었다.
 +
 +
몸살감기에 울화로 누운 정례 모친을 위로한답시고 정례 부친은 옥임을 골릴 궁리를 하며 껄껄 웃는다.
 +
 +
 +
제목인 '두 파산'은 정례 모친의 물질적 파산과 고리대금업일을 하는 김옥임과 교장의 정신적 파산을 의미한다. 하지만, 소설의 결말에서는 정례 가족의 이어지는 물질적 파산으로 인한 정례 부친이 옥임에게 고장난 자동차를 팔 궁리를 하는 등의 정신적 파산을 그린다.
 +
 +
또한 '교장'이라는 캐릭터를 설정한 이유도 여기서 엿볼 수 있다. 선생님 중에서도 학교를 운영하는 교장은 높은 도덕적 기대를 받는다. 하지만, 작품 내에서의 교장은 옥임과 함께 정례 모친을 물질적으로 파산시켜 문방구를 뺏는 등, 정반대의 행위를 하고 있다. 즉, 염상섭은 교장이라는 사회적 지위를 가지고 있던 인물을 통해 당시의 물질만능주의 시대상을 다시 한 번 부각시키는 것이다.
  
 
==출판정보==
 
==출판정보==

2019년 6월 15일 (토) 15:34 판


개요

염상섭의 1949년 발표한 단편소설. 해방 직후 물질만능주의로 인해 물질적·정신적 파탄에 이르게 되는 두 여고 동창생의 이야기.

줄거리

두 파산.png

중심인물은 '정례 모친’과 ‘김옥임'. ‘정례 모친’은 ‘김옥임’과 함께 일본유학을 하고 온 신여성으로서 당시에는 상당한 인텔리였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정례 모친’은 결혼 후 자식들을 기르면서 생활고를 겪는다. 이같은 가난 속에서 ‘정례 모친’은 호구지책을 위해 문방구를 경영한다. 이 과정에서 ‘김옥임’과 ‘교장선생님’의 돈을 변리를 주며 빌려쓰게 된다.



하지만 남편이 택시업을 하다가 망하게 되자 이자를 제때에 지불하지 못하게 되고, 그 결과 김정임에게서 면박을 당한다. ‘김옥임’은 도쿄에서 신여성으로 활동하다가 현재 남편의 후처로 결혼한 후 당시에는 ‘도지사댁 실내 마님’으로, 태평양전쟁 중에는 ‘군수품 회사’ 고급 간부의 아내로 호화스럽게 살았다. 하지만 광복이 되자 과거의 친일행적 때문에 ‘반민자’의 아내가 되어 고리대금업으로 돈을 모으고 있다. ‘김옥임’은 처음에는 ‘정례 모친’과 동업했으나 정례 부친이 택시업으로 망하게 되자 돈을 빌려준 ‘교장 선생’과 함께 채권자로 변신하여 문방구를 소유하려고 시도한다.



이러한 두 인물의 삶을 통해서 작가는 금전적인 이해관계에 지배되고 있는 두 사람의 인간관계 속에서 두 개의 파산을 보여준다. 오랜 친구 사이인 ‘김옥임’과 ‘정례 모친’이지만, 금전적인 문제로 두 사람의 인간관계는 그 의미를 갖지 못한다. ‘김옥임’이 큰길에서 ‘정례 모친’을 모욕하는 행위를 통해서 그녀의 정신적인 파산을 엿볼 수 있다. 더욱이 그녀는 옛날의 영화를 되살리기 위해서 고리대금업자로 변신한 친일파의 아내인 것이다. 그녀의 이같은 정신적인 파산과 아울러 ‘정례 모친’은 금전적인(혹은 물질적인) 파산을 겪는다. 어떻게든지 열심히 살아보려고 노력하는 정례 모친이었지만, 돈을 소유한 ‘교장선생’, ‘김옥임’과 같은 인물들에 의해 하류계층으로 전락할 수밖에 없는 운명에 처해 있는 것이다.


정례네는 부채에 허덕이게 되었다. 김옥임 여사에게 10만원, 학교교장에게 5만원이 빚져 있는 데다 이자가 겹쳐 부채는 날로 늘어 갔다. 집을 저당잡힌 돈으로 국민학교와 여자중학교 건너편에 문방구점을 차렸다가 자본이 모자라 김옥임에게 동업조로, 교장에게는 빚으로 꾸어 댄 것이었다. 김옥임은 또박또박 배당금을 받아, 출자한 10만원의 곱에 달하는 20만원의 이익을 차리고는 그 채권을 교장에게 위임하엿다. 결국 그런대로 재미를 보던 문방구점이 김옥임에게 넘어가고 말았다.



이 악랄한 여자 김옥임은 정례의 모친과 동창인데, 동경 유학 때에는 여성운동에 앞장섰던 여자였으나, 친일파 도자시영감의 후실이 되어 날뛰다가 몰락한 여성으로, 행복하게 사는 친구를 시기하게 된 것이다. 남들 앞에서 김옥임과 돈 때문에 시비한 후 망신을 당하고 살림도 파산되자 정례 모친은 몸져 눕게 된다. 남편은 고장난 자동차를 김옥임에게 떠 넘겨 골탕을 먹을 궁리를 하면서, 병든 아내를 위로한다.


이완근과 이학준의 희망의 문학 "두 파산'의 구성

이 작품은 시정(市井) 소설로서시간적 순행 기법에 과거 회상이 삽입되어 있으나 대체적으로 평면적구성에 속한다. 그리고 내용의 층위에서는 정례 모친과 옥임의 경제적, 성격적 파산이 병행적 구성으로 전개되고 있다.

이완근과 이학준의 희망의 문학 등장 인물에 대하여

정례어머니 : 인텔리 여성으로 매사에세심하고, 건강하게 살아가려는 여인이다. 옥임과 교장의 간교한 고리대금에서비롯된 빚과 이자에 물려 노력과는 달리 경제적으로 파산해 가는 인물이다. 작가의 삶의 양식을 보여 주는 인물이기도 하다. 
옥임이 : 동경 유학 시절에는 신여성 운동과 자유 연애를 하던 꿈 많은 여인이었으나개인적 욕망을 위해서는 나이 많은 도지사의 후실로, 해방 후에는 남편이반민법에 몰려 재산이 몰수될 것을 알고 고리대금으로 살 길을 찾는시류에 편승하는 인물이다. 정례 어머니와 대립되는 기회주의적 이기주의자로돈에 모든 가치를 두는 근대적 성격의 입체적, 개성적 인물이다.
교장선생님 : 정례 어머니와 옥임이사이에서 중간 이득을 획득하는 속물로서 빚놀이란 어려운 세상을 살기위한 방편이며, 오히려 양심 있는 행위로 생각하는 정신적 파탄자이다.


염상섭의 단편소설. 1949년 8월 신천지 38호에 발표되었다.

독립 이후 경제의 불안정성, 물질 만능 주의, 그리고 그 사이에서 힘들게 살아가는 정례 가족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정례 모친은 은행에서 집문서를 담보로 30만원을 빌려 문방구 사업을 시작한다. 하지만, 사업이 어렵게 되자, 정례 모친은 국민학교 때부터 동경여자대학교 때까지 동창이었던 김옥임에게 돈 10만원을 동업 조건 하에 빌린다. 그러다 정례 부친이 운영하던 택시 사업도 망해버려 더더욱 가게 사정은 어려워졌다. 친구에게조차 고리대금업일을 하게 된 옥임은 가게 보증금 영수증을 담보로 출자금을 15%로 돌린다. 옥임은 정례 모친에게 교장을 소개해준다. 한 때 초등학교 교장이었다는 교장에게 정례모친은 5만원을 더 빌리게 된다. 급기야 옥임은 정례 모친이 옥임에게 진 빚을 교장에게 갚게 해 원금 + 빌린 이자의 이자를 갚게 만든다.

은행에 30만원, 옥임에게 20만원, 교장영감에게 5만원 도합 55만원의 빚을 걸머진 정례 어머니는 어느 날 황토현 정류장에서 만난 옥임에게 망신을 당한다. 두 달에 걸쳐 억지로 교장 영감의 빚은 갚았으나, 급기야 석달째에는 보증금 8만원마저 되찾지 못한 채 빚으로 에우고 문방구를 교장 영감의 딸 내외에게 넘기지 않을 수 없었다.

몸살감기에 울화로 누운 정례 모친을 위로한답시고 정례 부친은 옥임을 골릴 궁리를 하며 껄껄 웃는다.


제목인 '두 파산'은 정례 모친의 물질적 파산과 고리대금업일을 하는 김옥임과 교장의 정신적 파산을 의미한다. 하지만, 소설의 결말에서는 정례 가족의 이어지는 물질적 파산으로 인한 정례 부친이 옥임에게 고장난 자동차를 팔 궁리를 하는 등의 정신적 파산을 그린다.

또한 '교장'이라는 캐릭터를 설정한 이유도 여기서 엿볼 수 있다. 선생님 중에서도 학교를 운영하는 교장은 높은 도덕적 기대를 받는다. 하지만, 작품 내에서의 교장은 옥임과 함께 정례 모친을 물질적으로 파산시켜 문방구를 뺏는 등, 정반대의 행위를 하고 있다. 즉, 염상섭은 교장이라는 사회적 지위를 가지고 있던 인물을 통해 당시의 물질만능주의 시대상을 다시 한 번 부각시키는 것이다.

출판정보

<신천지> 수록, 1949.8. 발행

관련항목

Domain(A) Range(B) 설명 비고
두 파산 염상섭 A는 B의 저서이다.
두 파산 광복 후 A는 B에 쓰였다.
두 파산 물질만능주의 A는 B를 비판한다.
두 파산 광복 후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관련연구

오양진, "서술과 인간상 -채만식의 「맹순사」와 염상섭의 「두 파산」을 중심으로" 어문논집, 2010

참고문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작성자 및 기여자

작성자: 김윤희1811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