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간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9번째 줄: 9번째 줄:
  
  
*첫째, 문장의 주체가 부녀자이다.
+
첫째, 문장의 주체가 부녀자이다.<br/>
 
+
둘째, 순 한글로 쓴 것이다.<br/>
*둘째, 순 한글로 쓴 것이다.  
+
셋째, 정다운 세련미를 보인다.
 
 
*셋째, 정다운 세련미를 보인다.
 
  
 
==관련 작품''(내간 문학)''==
 
==관련 작품''(내간 문학)''==

2019년 6월 15일 (토) 19:22 판

설명

내간체는 한국의 고전 문체로 순한글로 쓴 여성들의 편지에서 주로 나타났으며 세련미를 지닌다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문체로 된 작품들을 내간문학이라고도 한다. 이병기(李秉岐)가 고전 문장을 내간체(內簡體)·담화체(談話體)·역어체(譯語體)의 셋으로 나눈 데서 비롯되었다. 내간체라는 명칭은 여성들이 주고받던 순한글로 된 편지인 내간(內簡)에서 주로 사용되었다는 데서 비롯되었는데, 일상어에 세련된 문장적인 수법을 덧붙인 특징을 보인다.

특징

내간체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장의 주체가 부녀자이다.
둘째, 순 한글로 쓴 것이다.
셋째, 정다운 세련미를 보인다.

관련 작품(내간 문학)

궁중 여성들의 기록인 《한중록(恨中錄)》·《계축일기(癸丑日記)》·《인현왕후전(仁顯王后傳)》 등의 작품과 민간 여성들의 작품인 《조침문(弔針文)》·《의유당일기(意幽堂日記)》·《규중칠우쟁론기》 등이 내간체로 쓰인 대표적인 작품들이다.

  • 《한중록(恨中錄)》
  조선 정조의 생모이며 사도세자의 빈 혜경궁 홍씨의 자전적인 회고록
*저자: 혜경궁 홍씨 *장르: 회고록 *시대: 조선 시대 *발표년도: 1795년 *이칭별칭: 한중만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