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유럽 - 발트 신화"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개요)
3번째 줄: 3번째 줄:
 
[[파일:Baltic_tribes2.png|345px|섬네일]]
 
[[파일:Baltic_tribes2.png|345px|섬네일]]
  
발트 신화는 인도 유럽어족 발트어파의 언어를 이야기하는 민족인 라트비아인, 리투아니아인, 프로이센인의 신화를 가리킨다. 궁극적으로 원시 인도유럽 신화에서 기인하며, 같은 발트슬라브어파 계열의 슬라브 신화와 유사한 요소를 지니고 있다.
+
발트 신화는 인도 유럽어족 발트어파의 언어를 이야기하는 민족인 라트비아인, 리투아니아인, 프로이센인의 신화를 가리킨다. 궁극적으로 원시 인도유럽 신화에서 기인하며, 같은 발트슬라브어파 계열의 슬라브 신화와 유사한 요소를 지니고 있다.
  
  
발트 신화는 고대부터 해당 지역민들이 믿었던 다신교와 관계가 깊다. 신화 속 신들은 저마다 역할이 정해져 있고, 그 지위에도 차이가 있다는 점에서 그리스 신화와 많이 닮았다. 다만 신화 중 여성의 비중이 상당하다는 점은 그리스 신화와 차이가 있다.
+
발트 신화는 고대부터 해당 지역민들이 믿었던 다신교와 관계가 깊다. 신화 속 신들은 저마다 역할이 정해져 있고, 그 지위에도 차이가 있다는 점에서 그리스 신화와 많이 닮았다. 다만 신화 중 여성의 비중이 상당하다는 점은 그리스 신화와 차이가 있다.
  
  
발트 신화는 13세기가 되면서 서방으로부터 흘러들어온 기독교 세력에 의해 점차 사라져갔다. 발트 지역은 유럽에서 마지막으로 기독교화 된 지역 중 하나였으며, 이 과정은 15세기에서 16세기 이후에 일어났다. 이후 발트 종교는 주류종교에서 밀려나 민간신앙 및 구전의 형태로 겨우 그 의미를 계승해왔지만, 여전히 발트 지역 사람들의 정신에는 기독교 침투 이전 당시의 신들과 신앙이 많이 남아있다.
+
발트 신화는 13세기가 되면서 서방으로부터 흘러들어온 기독교 세력에 의해 점차 사라져갔다. 발트 지역은 유럽에서 마지막으로 기독교화 된 지역 중 하나였으며, 이 과정은 15세기에서 16세기 이후에 일어났다. 이후 발트 종교는 주류종교에서 밀려나 민간신앙 및 구전의 형태로 겨우 그 의미를 계승해왔지만, 여전히 발트 지역 사람들의 정신에는 기독교 침투 이전 당시의 신들과 신앙이 많이 남아있다.
 
 
  
 
=='''발트 신화: 하늘과 대지와 지하의 신들'''==
 
=='''발트 신화: 하늘과 대지와 지하의 신들'''==

2020년 6월 24일 (수) 20:43 판

개요

Baltic tribes2.png

발트 신화는 인도 유럽어족 발트어파의 언어를 이야기하는 민족인 라트비아인, 리투아니아인, 프로이센인의 신화를 가리킨다. 궁극적으로 원시 인도유럽 신화에서 기인하며, 같은 발트슬라브어파 계열의 슬라브 신화와 유사한 요소를 지니고 있다.


발트 신화는 고대부터 해당 지역민들이 믿었던 다신교와 관계가 깊다. 신화 속 신들은 저마다 역할이 정해져 있고, 그 지위에도 차이가 있다는 점에서 그리스 신화와 많이 닮았다. 다만 신화 중 여성의 비중이 상당하다는 점은 그리스 신화와 차이가 있다.


발트 신화는 13세기가 되면서 서방으로부터 흘러들어온 기독교 세력에 의해 점차 사라져갔다. 발트 지역은 유럽에서 마지막으로 기독교화 된 지역 중 하나였으며, 이 과정은 15세기에서 16세기 이후에 일어났다. 이후 발트 종교는 주류종교에서 밀려나 민간신앙 및 구전의 형태로 겨우 그 의미를 계승해왔지만, 여전히 발트 지역 사람들의 정신에는 기독교 침투 이전 당시의 신들과 신앙이 많이 남아있다.

발트 신화: 하늘과 대지와 지하의 신들

이 문서에서는 발트 신화 속 신들 중에서도 세상의 구성이라고 할 수 있는 '하늘', '대지' 그리고 '지하 세계'를 관장하는 3명의 신을 다루고 있다.

디에바스: 하늘의 신

소개

디에바스는 하늘의 신이자 발트 신화 최고신으로 알려져 있다. 발트의 신들 중 수좌를 차지한 신격은 정하기 어려우며, 종래 가끔 ‘페르쿠나스’라고 이야기되었는데, 최근 연구에 의해서‘디에바스’로 나타났다. '디에바스’는 보통명사로서는 단순히 ‘신’을 나타내는데, 원래는 ‘천공’을 의미하며, 민요에서는 ‘하늘의 신’으로 나타난다. 인도 유럽계 언어의 보통명사 ‘데오스(deiwos)’도 궁극적으로 ‘하늘의 신’인 신격이었다는 것을 시사하는 중요한 신명이다.


디에바스는 하늘의 높은 산에 궁을 짓고, 농원을 가지며, 말을 사육하고 있는데 숭고한 모습을 하며, 천상에서는 은 망토를 걸쳤다고 한다. 지상으로 내려올 때는 회색의 망토를 걸치고 농민의 밭에 천천히 근접해서, 곡물의 씨를 뿌리거나 열매 맺은 논밭을 천천히 건드리면서 걸어 다녀, 농민에게 풍요를 가져온다고 한다. 또한 사람이나 생물류의 운명을 지배하며, 여신 ‘라이마’와 함께 사람들의 탄생시에 결혼이나 죽음을 미리 정하는 역할을 한다고 전해진다.



제미나: 대지의 신

파툴라스: 지하 세계의 신

관련 창작물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