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두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작성자 및 기여자)
81번째 줄: 81번째 줄:
 
==작성자 및 기여자==
 
==작성자 및 기여자==
  
[[분류:인물]][[분류:유기윤]][[분류:기여자이름]][[분류:김진희]][[분류:디지털휴머니티의 이해]]
+
[[분류:인물]][[분류:유기윤]][[분류:기여자이름]][[분류:김진희]][[분류:정민호]][[분류:디지털휴머니티의 이해]]

2018년 6월 13일 (수) 23:39 판


인물

생애

년도 내용
1916년 3월 10일 경기도 안성 출생.
1939년 정지용의 추천으로 문장에 시 향현(香峴)묘지송(墓地頌)을 발표함.
1946년 시집 청록집[공저] 간행.
1949년 시집 간행.
1956년 시집 박두진 시선 간행.
1959년 수상집 시인의 고향 간행.
1961년 시집 거미와 성좌 간행.
1967년 시집 청록집 이후 발간(박목월,조지훈과 공저)
1973년 시집 고산식물,사도행전,수석열전 간행.
1981년 시집 박두진 전집 10권 간행.
1991년 산문전집 햇살,햇볕,햇빛 간행.
1996년 산문전집 박두진 문학정신 7권 간행.
1998년 9월 16일 사망.

일대기

경기도 안성(安城) 출신으로 아호(雅號)는 혜산(兮山). 연세대학교 교수로 있다가 1960년 4.19 당시 학원분규로 물러난다. 그 뒤 우석대학(후에 고려대학교와 합병)과 이화여자대학교 교수를 거쳐서 1972년 다시 연세대학교 교수로 돌아와 근무하다가 1981년 정년 퇴임했다.이후 말년까지 단국대학 초빙교수(1981∼1985)와 추계예술대학 전임대우교수(1986∼96)를 역임하기도 했다.조지훈·박목월 등과 함께 청록파의 한 사람이다. 8.15광복 후 공산주의를 신봉하는 좌익계의 조선문학가동맹에 맞서 김동리(金東里)·조연현(趙演鉉)·서정주(徐廷柱) 등과 함께 우익진영에 서서 1946년 조선청년문학가협회의 결성에 참여했고, 이어 1949년 한국문학회협회에도 가담하여 시분과위원장을 지내기도 했다.그는 독실한 기독교 신자로서의 윤리의식과 강렬한 민주적 민족주의자로서 말년까지 왕성한 작품 활동을 하여 많은 시집과 산문집을 남겼다.

대표작

거미와 성좌 시(時). 시집 《거미와 성좌》에 수록된 시. 현실과 오늘의 상황이 이 시의 주제가 된다. 사상적 현실주의와 시적 리얼리티의 동시적인 천착이며 가난하고 어두운, 그리고 어려운 시대를 이겨내는 현실 대결의 직투사(職投射)는 이 작가 개인 것이면서 동시에 동시대 사람들의 공통된 장(章)이다. 거미는 현대적 생리의 상징이며 시인 자신에 대한 상징이다.

현대의 생리와 현대의 죄성(罪性)과 현대의 존재형태가 「거미」를 통해서 구상화하고 「나」를 통해서 이념화해 있는 동시에 「거미」는 거미대로의 생리와 형상성(形象性)과 거미대로의 순수한 대상으로 시화되어 있다. 그리고 생리 · 현상 · 생태와 그 구성상을 빌어 여러가지 이미지를 시도한다.

가령 「여덟개의 발끝으로 하는 어덟 차례의 간음(姦淫)」이란 성적 이미지가 나오고, 추녀끝에서 벚나무 가지까지 점착성(黏着性) 포망(捕網)을 치며 일하는 노동과 생산의 이미지까지 나온다. 현실 대결의 시를 소박한 내셔널리즘으로 이해하는 감상주의가 굳어가고 있는 오늘 시적 상황을 염두에 둘 때 이 시가 보여주는 현실대결의 직투사는 높은 차원이 아닐 수 없다.

문학정신

일제 말기 한국인의 겨레 인식과 저항적 자세를 주로 자연을 제재로 하여 시화하고 있다. 일제에 의해 민족주체성이 훼손되었다는 인식과 제국주의를 비판하는 저항 의식에 기반한 것이다. 해방 후에도 시대의 부정적 가치를 비판하는 내용을 다루고 이념적으로는 절대적 가치의 추구를 멈추지 않는 등 사회성이 강한 작품을 출판하고는 한다.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박두진 청록집 A이(가) B를 만들었다.

참고문헌

작성자 및 기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