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순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생애)
(생애)
35번째 줄: 35번째 줄:
  
 
22세가 되던 해에 늦은 나이로 무예를 시작하여 28세에 무과 별시에 응시하여 시험을 보던 중 말에서 떨어지면서 왼발을 다쳐 실격하게 된다.
 
22세가 되던 해에 늦은 나이로 무예를 시작하여 28세에 무과 별시에 응시하여 시험을 보던 중 말에서 떨어지면서 왼발을 다쳐 실격하게 된다.
 
 
후에 무예를 계속 닦으며 32세에 4년 뒤인 1576년(선조 9) 식년무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권지훈련원봉사(權知訓鍊院奉事) 직으로 처음 관직에 나갔다. 그리고 그 해 12월에 함경도 동구비보에 종9품 권관으로 부임하면서 무관으로서 시작을 하였다. 이어 이듬해에 발포수군만호(鉢浦水軍萬戶)를 거쳐, 1583년 건원보권관(乾原堡權管)·훈련원참군(訓鍊院參軍) 역임하고, 1586년에는 사복시주부가 되었다.
 
후에 무예를 계속 닦으며 32세에 4년 뒤인 1576년(선조 9) 식년무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권지훈련원봉사(權知訓鍊院奉事) 직으로 처음 관직에 나갔다. 그리고 그 해 12월에 함경도 동구비보에 종9품 권관으로 부임하면서 무관으로서 시작을 하였다. 이어 이듬해에 발포수군만호(鉢浦水軍萬戶)를 거쳐, 1583년 건원보권관(乾原堡權管)·훈련원참군(訓鍊院參軍) 역임하고, 1586년에는 사복시주부가 되었다.
  

2019년 12월 1일 (일) 16:43 판

이순신

임진왜란 때 나라를 구한 영웅 충무공 이순신 (1545- 1598)

1592년 4월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당시 전라좌수사 이순신은 옥포해전을 시작으로 계속된 왜군과의 싸움에서 전투에서 패배를 하지않고 전승을 하며 나라를 구하게 된다.
당시 학익진과 같은 다양한 전술로 싸우며 군지휘에 특출난 기량을 보이고 왜란 중에 쓴 난중일기는 현재 국보와 유네스코에 등재되있을 만큼 당시의 상황을 자세히 설명해 주는 중요한 기록을 남긴다.
임진왜란 당시 큰 공을 세워 삼도수군통제사가 되지만 주변의 모함과 시기로 정유년에 백의종군을 하게 된다. 후에 원균이 죽자 복직하여 싸워 많은 전투에서 승리를 거둔다
1598년 12월 16일 도요토미가 죽고 철수하는 왜군과 노량에서 큰 전투를 벌여 승리를 하지만 여기서 이순신은 왜군이 쏜 탄환에 맞아 전사하게 된다.

생애

이순신은 1545년 4월 28일 인종 1년에 한성부 건천동에서 4형제 중 3째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가문은 고려 시대 때 중랑장을 지낸 이돈수(李敦守)로부터 내려오는 문관의 양반 가문으로, 이돈수(李敦守)의 12대손이다. 아버지는 이정(李貞)이며, 그의 어머니는 초계 변씨(草溪卞氏)로 변수림(卞守琳)의 딸이다.

이순신의 가문은 증조부인 이거(李琚)는 병조참의에 이르렀지만, 할아버지인 평시성 봉사직을 맡은 이백록(李百祿)이 조광조(趙光祖)와 가까이 지내다 조광조의 기묘사화로 인해 화를 당한 뒤로 관직에 나가지 않았다. 아버지 이정도 관직에 뜻을 두지 않아 가세가 많이 기울어진 상황이었다.

어릴 적 이순신은 본가가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면 백암리였으나, 어린 시절 대부분을 생가인 서울 건천동에서 자랐다. 이순신은 어릴 적 부터 용감하고 활을 잘쏘며 말타기를 좋아하였다고 한다. 당시 같은 마을에 살았던 유성룡(柳成龍)은 후에 '징비록(懲毖錄)'에서 이순신이 어린 시절부터 큰 인물로 성장할 수 있는 자질을 갖추고 있다고 묘사를 하며 어릴 적부터 성품이 남달랐음을 알 수 있다.

22세가 되던 해에 늦은 나이로 무예를 시작하여 28세에 무과 별시에 응시하여 시험을 보던 중 말에서 떨어지면서 왼발을 다쳐 실격하게 된다. 후에 무예를 계속 닦으며 32세에 4년 뒤인 1576년(선조 9) 식년무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권지훈련원봉사(權知訓鍊院奉事) 직으로 처음 관직에 나갔다. 그리고 그 해 12월에 함경도 동구비보에 종9품 권관으로 부임하면서 무관으로서 시작을 하였다. 이어 이듬해에 발포수군만호(鉢浦水軍萬戶)를 거쳐, 1583년 건원보권관(乾原堡權管)·훈련원참군(訓鍊院參軍) 역임하고, 1586년에는 사복시주부가 되었다.

임진왜란

옥포해전

한산도대첩

명량해전

노량해전

난중일기

관련자료

거북선

이순신광장

참고 및 출처

라이센스(CC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