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경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1번째 줄: 1번째 줄:
 
[[분류: 한국의 건축문화재]]
 
[[분류: 한국의 건축문화재]]
 +
==개요 및 역사==
 +
 +
1867년 경복궁을 다시 지으면서 자미당 터에 고종의 양어머니인 조대비(신정왕후)를 위해 지은 대비전으로서 중건 이후 화재로 소실됨에 따라서 고종 25년(1888년)에 다시 지어 오늘에 이른다. 자경전은 대비가 일상생활을 하는 침전 건물로, 총 44칸 규모이다. 겨울에 따뜻하게 지낼 수 있도록 서북쪽에 복안당이라는 침실을 두고 중앙에는 중심 건물인 자경전을 두었다. 또, 동남쪽에는 다락집인 청연루를 두어 여름을 시원하게 보낼 수 있도록 하였다. 주변에는 수십 개의 집과 담장, 문들이 있었으나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대부분 없어졌다. 지금은 장수를 기원하는 뜻을 가진 글자와 꽃, 나비, 대나무 형태를 흙으로 구워 새겨 넣은 아름다운 꽃담장과 동식물 무늬인 십장생을 조화있게 새겨 넣은 집 모양의 굴뚝이 남아 있다. 자경전은 조선시대 법궁인 경복궁 안에 남아 있는 유일한 대비전이다.
 +
 +
==위치==
 +
 +
{{
 +
#display_map:
 +
Seoul City;
 +
37.580422731525786, 126.97827894228932
 +
|service=googlemaps3
 +
|width=800
 +
|height=800
 +
|type=normal
 +
|overlays=videos-1,wikipedia
 +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
|zoom=12
 +
}}
 +
 +
위치는 서울 종로구 사직로 161 경복궁이다.
 +
 +
==오픈 시간==
 +
 +
09:00 - 17:00 (입장마감 16:00)
 +
 +
==입장비==
 +
 +
3,000원
 +
대인(만25세~만64세) 무료
 +
 +
만24세 이하 청소년 무료
 +
 +
만65세 이상 어르신 무료
 +
 +
장애인, 유공자 무료
 +
 +
한복을 착용한 자 무료
 +
 +
==특징==
 +
 +
===정면===
 +
 +
장대석을 높게 쌓은 4단의 기단 위에 주춧돌을 놓고 네모난 기둥을 세운 뒤, 겹처마 양식으로 지었다.
 +
 +
===공포===
 +
 +
쇠서 2개를 둔 이익공이고 기둥 사이마다 화반을 놓은 뒤 그 위에 운공을 설치하였다.
 +
 +
===지붕===
 +
 +
팔작지붕으로 용마루와 내림마루, 추녀마루는 양성바름을 하고 취두와 용두, 4개의 잡상을 설치하여 장식하였다.

2020년 12월 1일 (화) 19:12 판

개요 및 역사

1867년 경복궁을 다시 지으면서 자미당 터에 고종의 양어머니인 조대비(신정왕후)를 위해 지은 대비전으로서 중건 이후 화재로 소실됨에 따라서 고종 25년(1888년)에 다시 지어 오늘에 이른다. 자경전은 대비가 일상생활을 하는 침전 건물로, 총 44칸 규모이다. 겨울에 따뜻하게 지낼 수 있도록 서북쪽에 복안당이라는 침실을 두고 중앙에는 중심 건물인 자경전을 두었다. 또, 동남쪽에는 다락집인 청연루를 두어 여름을 시원하게 보낼 수 있도록 하였다. 주변에는 수십 개의 집과 담장, 문들이 있었으나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대부분 없어졌다. 지금은 장수를 기원하는 뜻을 가진 글자와 꽃, 나비, 대나무 형태를 흙으로 구워 새겨 넣은 아름다운 꽃담장과 동식물 무늬인 십장생을 조화있게 새겨 넣은 집 모양의 굴뚝이 남아 있다. 자경전은 조선시대 법궁인 경복궁 안에 남아 있는 유일한 대비전이다.

위치

지도를 불러오는 중...

위치는 서울 종로구 사직로 161 경복궁이다.

오픈 시간

09:00 - 17:00 (입장마감 16:00)

입장비

3,000원 대인(만25세~만64세) 무료

만24세 이하 청소년 무료

만65세 이상 어르신 무료

장애인, 유공자 무료

한복을 착용한 자 무료

특징

정면

장대석을 높게 쌓은 4단의 기단 위에 주춧돌을 놓고 네모난 기둥을 세운 뒤, 겹처마 양식으로 지었다.

공포

쇠서 2개를 둔 이익공이고 기둥 사이마다 화반을 놓은 뒤 그 위에 운공을 설치하였다.

지붕

팔작지붕으로 용마루와 내림마루, 추녀마루는 양성바름을 하고 취두와 용두, 4개의 잡상을 설치하여 장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