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선 필 청풍계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개요)
23번째 줄: 23번째 줄:
  
 
==개요==
 
==개요==
간송미술관에서 보유하고 있는 회화이다. 한국의 화가 안동김씨 [[김상용]](1676~1759)의 고택을 [[정선]](1676~1759)이 1739년에 그린 기년작이다.
+
 
 +
[[정선]]이 서울특별시 백악산 청풍계(淸風溪)에 있던 안동 김씨 [[김상용]]의 고택을 그린 작품이다. 청풍계는 안동 김씨가 대대로 세거하던 곳으로 정선은 안동 김씨 집안과 오랜 기간 교유하면서 여러 점의 청풍계도를 남겼다. 현재 정선이 그린 청풍계도는 [[고려대학교 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 [[겸재 정선 미술관]]에도 남아 있으나 본 유물은 1739년에 제작한 것이 분명한 기년작이며 화격이 높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상세==
 
==상세==

2022년 11월 30일 (수) 19:10 판

"정선 필 청풍계도"


개요

정선이 서울특별시 백악산 청풍계(淸風溪)에 있던 안동 김씨 김상용의 고택을 그린 작품이다. 청풍계는 안동 김씨가 대대로 세거하던 곳으로 정선은 안동 김씨 집안과 오랜 기간 교유하면서 여러 점의 청풍계도를 남겼다. 현재 정선이 그린 청풍계도는 고려대학교 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 겸재 정선 미술관에도 남아 있으나 본 유물은 1739년에 제작한 것이 분명한 기년작이며 화격이 높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상세

작가

정선 문서 참고.

문화재 배경

정선 필 〈청풍계도〉는 현실 공간인 청풍계가 마치 눈앞에 있는 것처럼 펼쳐져 있으면서 구축적인 구도와 강렬한 필 묵법, 활달한 필치 등을 활용해 청풍계의 장소적 의미를 강조한 독특하면서도 개성 있는 화풍을 보여주었다. 시대를 풍미했던 문예론을 공유했던 정선 자신이 그림에서 진 (眞)의 시각화를 구현한 결과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이 우리 강산을 주제로 한 그의 실경산수화가 진경산수화로 불리는 이유라고 할 수 있다.

특징

짜임새 있는 구도와 조형감각, 경물의 특징표현에 적합한 필묵법의 사용, 자신감 넘치는 농익은 필치의 구사, 약간의 채색이 전달하는 생동감의 부여 등 정선의 진경산수화를 대표할만한 사례이다.

참고문헌 및 자료

“정선 필 청풍계도”,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작성자 및 기여자

  • 작성자 : 김상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