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해 (2012)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영화 광해(2012)


영화의 역사적 배경

 왕위를 둘러싼 권력 다툼과 당쟁으로 혼란이 극에 달한 광해군 8년 광해군 치세기 당시 실존 인물을 빌려와 승정원일기에서 지워진 15일간의 빈 시간 사이에 광해군으로 위장한 대역이 조선을 다스렸다고 가정한 팩션영화이다.

소개

예고편


줄거리

왕위를 둘러싼 권력 다툼과 당쟁으로 혼란이 극에 달한 광해군 8년. 자신의 목숨을 노리는 자들에 대한 분노와 두려움으로 점점 난폭해져 가던 왕 ‘광해’는 도승지 ‘허균’에게 자신을 대신하여 위협에 노출될 대역을 찾을 것을 지시한다. 이에 허균은 기방의 취객들 사이에 걸쭉한 만담으로 인기를 끌던 하선을 발견한다. 왕과 똑같은 외모는 물론 타고난 재주와 말솜씨로 왕의 흉내도 완벽하게 내는 하선. 영문도 모른 채 궁에 끌려간 하선은 광해군이 자리를 비운 하룻밤 가슴 조이며 왕의 대역을 하게 된다.

인물 설명

  • 등장 인물


  • 광해군 (배우 이병헌) 이병헌 광해.jpg


  • 허균 (배우 류승룡) 류승룡 광해.jpg


  • 중전 (배우 한효주)한효주 광해.jpg
  • 조 내관 (배우 장광)장광 광해.jpg
  • 도 부장 (배우 김인권)김인권 광해.jpg
  • 사월이 (배우 심은경)심은경 광해.jpg
  • 그 외 영화 속 캐릭터
  • 이정랑 (배우 신정근)
  • 안개시 (배우 이엘)
  • 유정호 (배우 김학준)
  • 한 상궁 (배우 박지아)
  • 현감 (배우 이준혁)
  • 국문장 나장1 (배우 허성태)

영화로 보는 역사

실제 역사와의 차이점

  • 가상역사물답게 광해군과 중전 유씨, 허균을 빼면 모두가 가공의 인물이다. 다만 천민이 아니라 선비이지만 하선(河瑄)이란 실존인물이 기록에 등장하기는 한다. 또 안 상궁은 실존 인물인 김개시를 모티브로 한 가공인물이지만 김개시와 달리 서인 세력의 밀정으로서 왕에게 몰래 마약을 먹여 혼수 상태에 빠뜨리는 짓을 했고 중반에 같은 편이 보낸 자객에게 팀킬당해 죽는다. 작중 최종보스격인 박충서는 이름을 비롯해, 조정 내에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다가 광해군에게 반란을 일으킨 뒤 역관광당한 행적으로 볼 때, 이이첨과 계축옥사 당시 영창대군을 옹립하는 역모에 연루된 실존인물 박응서(朴應犀)를 모티브로 삼아 섞은 가공인물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작중에서 왕의 처남이 오현종사에 반대했다고 고초를 당하는 것은 이황과 이언적의 문묘종사를 비판하다 청금록에서 제명당한 정인홍을 모티브로 삼은 듯하다. 실제 광해군의 처남인 류희분은 임해군·영창대군 살해와 인목대비 폐위에 적극 가담했다가 인조반정 이후 참형당했다. 그리고 역사상으론 당시 10대의 세자도 있었지만 영화에선 중전과 왕 두 사람의 불화라는 가상역사적 전개로 인해 자녀가 없다는 설정이 되었다.


  • 물론 사건 전개라는 측면에서 커다란 사건에 대해서는 창작이 상당히 많이 가미되었다. 이미 광해군 1년부터 시행되고 있던 대동법과 광해군 2년부터 시행되고 있던 호패법이 이 시점에서 시행 가부가 거론되는데 대동법의 경우 잠깐 시행했다가 곧 폐지된 것처럼 나온다. 대동법이 광해군 치세 내내 경기도에 한정되었던 것을 반영한 듯. 또 광해군 10년의 사르후 전투 파병이 3년 앞당겨진다.


  • 광해군 때 시행된 정책들의 상당량이 광해군의 대역을 맡은 일개 백성에 의해 주도되었다는 식으로 극적 요소를 위한 왜곡이 있으나, 상술한 바처럼 가상역사적인 각색이라 할 수 있다. 다만, 이 부분은 이 영화에서 그나마 양심적이었다고 보이는 연출이라고 할 수 있는데, 광해군은 실제 역사에서는 초기에는 그럭저럭 괜찮은 정치를 했으나, 갑자기 폐모살제 같은 쓸데없는 정치적 악행을 일삼는 과정에서 초기부터 좋은 정책들을 간언하는 신하들은 점점 홀대하고 후기에는 권력다툼에 골몰하면서 막장이 되는 본래의 꼬인 성격을 보인 왕이었기 때문이다. 즉, 초기의 그럭저럭 좋은 왕이었던 시기는 착한 하선-후기의 성격대로 국정을 망친 실제 역사인 부분은 진짜 광해군으로 돌아가는 모습으로 표현한 듯 하다. 오히려 이 부분은 재미있는 각색이라고 할 수 있었으나, 광해군의 인격적 결함이 하선이라는 착한 천민으로 덮어지는 묘사는 이후의 역사왜곡물에 심각한 영향을 끼치는 바람에 광해군이 실제로 하선처럼 긍정적인 왕이었다고 착각하는 사례를 대중 여론 전반에 유행시켜버린 영화이기도 하다


  • 영화 속에 장군이 탄 대장선이 왜선에 둘러싸여 백병전을 벌이는 모습이 등장한다. 하지만 이 역시 역사적 기록과는 조금 다른 점이 존재한다. 백졍전이란 칼, 창, 총검 등으로 직접 상대와 맞서 싸우는 전투를 의미한다. 명량해전 당시에도 백병전이 일어난 것은 사실이지만, 왜군과 조선군이 맞붙은 전투는 대장선이 아닌 안위의 배 위에서 벌어진다.

'난중일기'에 따르면 "적장의 배와 다른 두 적선이 안위의 배에 달라붙어 앞다투어 올라갔다. 안위와 그 배 위의 사람들이 각자 죽을 힘을 다해 몽둥이를 들거나, 창을 잡거나, 혹은 수마석으로 무수히 어지럽게 쳐댔다" 라는 기록을 볼 수 있다. 결국 대장선 위에서 모든 일이 그려지는 영화의 구성의 작품의 흐름과 긴장감을 강조하기 위해 연출된 장면임을 알 수 있다.



영화 선정 이유 및 영화의 의의

이 영화는 광해군의 역사적 이미지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영화로 광해군의 중립 외교나 대동법 등 좋은 정책들 등 좋은 이미지를 강조하여 광해군의 이야기가 미화되어 있어 상당 수의 관객들에게 광해군의 좋은 이미지를 심어줬을 것이다. 그러나 이 미디어위키를 통해서 영화 자체는 광해군을 미화한 게 아니라 오히려 적나라하게 드러내어, 그의 업적이라는 것도 결국 가짜 광해군이 행한 것으로 치부해 비판하는 내용에 더 가깝다는 의미를 알았으면 좋겠어서 선정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