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맹퇴치운동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정의

문맹퇴치운동.jpg

아는 것이 힘이다!
  • 글을 읽지도 쓰지도 못하는 사람들에게 읽고 쓰는 법을 가르쳐 깨우치는 일체의 운동

시대적 상황

문맹퇴치운동이 진행되었던 시기는 일제강점기이다.

그 당시 일제는 한국인들이 한글을 모르도록 계속 일본어를 가르쳐 한글을 모르는 사람들이 많이 늘어났다. 또한 일제가 식민지 차별 교육정책을 시행했다.

그리고 보통 학교는 수용 능력도 제한 되어 있고 학비도 비쌌다. 그래서 일반 사람들은 교육을 받기 힘들어서 문맹자가 더욱 늘어났다.

내용

문맹퇴치운동2.jpg


문맹퇴치운동을 그대로 풀이하면 글을 읽고 쓰지 못하는 사람들에게 글을 깨우치는 행위를 통틀어 일컫는다.


2천 만 국민 중 80∼90%가 문맹자였던 1920년대, 1928년 3월 16일자 「동아일보」에는

“어찌하면 우리는 하루 바삐 이 무식의 지옥에서 벗어날까. 어찌하면 이 글장님의 눈을 한시 바삐 띄어볼까…….” 라는 기사를 통해 ‘글장님 없애기(문맹퇴치) 운동’을 선언했다.


일제강점기 시대 때 진행되었던 문맹퇴치운동은 주로 서울의 학생들과 지식인, 문화 단체, 동경 유학생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1931년부터 1934년까지 「동아일보」는 ‘한글공부’ ‘한글맞춤법통일안’ ‘신철자편람’ 등의 한글 교재 210만 부를 배포하며 총 10만여 명에게 한글을 강습했고, 문맹타파가를 보급했다.

1931년 설립된 ‘조선어학회’도 우리 말 교재를 만들어 보급하고 조선어강습회를 열며 문맹퇴치운동에 적극 참여하였다.


또한 문자 교육 이외에 문화 교육도 이루어졌다. 문맹 퇴치 운동에 참여한 지식인들이나 청년들은 농촌 지역에 야학을 열고 한글을 가르치는 한편, 위생 교육이나 음악, 연극 지도도 함께 했다.


조선일보」의 ‘문자보급운동’은 1929년 여름부터 1934년까지 실시했으나 민족 교육운동으로 확대되어가자 1935년 일제가 금지시켰다.

4월 2일에는 안재홍, 방정환, 최현배, 최남선 등 명사 30여 명의 강연회를 열 계획이었으나 조선총독부가 3월 29일 문맹퇴치운동 금지령을 내리며 막았다.

동아일보」는 ‘만반 준비가 완성된 금일, 문맹퇴치선전 돌연금지’라는 기사로 맞섰지만, 신문은 압수됐고 문맹퇴치운동은 무산됐다.

역사적 의의

일제강점기 시대 때 진행되었던 문맹퇴치운동은 주로 서울의 학생들과 지식인, 문화 단체, 동경 유학생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이들은 교육의 혜택을 받기 어려운 농촌 지역으로 내려가 사람들에게 무료로 한글을 가르쳤다.

우리 고유의 문자인 한글을 가르친 까닭은 사람들에게 민족의식을 갖게 하려는 목적 때문이었다.

비록 나라의 주권은 잃었지만 민족의식을 잃지 않는다면 언젠가는 일제의 지배에서 벗어날 수 있으리라 믿은 것이다.

이들은 우리 문자와 우리 노래를 가르치면서 민족의식을 고취하고, 사람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연극을 통해 잘못된 풍습을 바로잡으려고 노력했다는 점에서 역사적 의의가 있다.

관련 인물

최용신

최용신.jpg

최용신은 농촌운동가이다. 루씨여자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한 뒤 협성여자신학교(현 감리교 신학교)에 재학하면서 농촌계몽운동에 깊은 관심을 갖고 참여하기 시작하였다.

1931년 학교를 중퇴하고 농촌운동에 전념할 것을 결심하고 경기도 수원군 반월면 샘골(지금의 안산시 상록구 본오동)에서 농촌교육을 시작하였다.

처음에는 야학으로 시작하였으나 마을사람들의 도움으로 정식 교사(校舍)를 지어 교육의 혜택을 받지 못하는 농촌 어린이들을 가르쳤다.

교육내용은 문맹퇴치를 위한 한글 강습뿐만 아니라 산술·보건 및 농촌생활에 필요한 상식과 기술, 애국심과 자립심을 북돋우는 의식계몽 등에 힘을 기울였다.

관련 운동

문맹 퇴치 운동은 전국 곳곳에서 이루어졌다. 《조선일보》는 1929년부터 문자 보급 운동을 벌였고, 《동아일보》는 1931년부터 브나로드 운동을 벌였다.

브나로드란 ‘민중 속으로’라는 뜻의 러시아 말로, 러시아에서 벌어진 농촌계몽운동을 참고하여 지은 이름이다.

브나로드 운동 역시 우리 문자를 가르치면서 농촌 사람들을 계몽하는 문화 운동이었다.

그런가 하면 조선어학회는 1931년부터 전국 주요 도시에서 조선어 강습회를 열었다. 조선어 강습회는 이후 만주의 간도 지방까지 확대되기도 했는데, 조선 총독부의 방해로 계속되지는 못했다.

RDF

표1-1. RDF 표
주어 목적어 서술어
문맹퇴치운동 한글 가르쳤다
문맹퇴치운동 일제강점기 ~에 일어났다
조선어학회 문맹퇴치운동 도와줬다
동아일보 문맹퇴치운동 도와줬다

네트워크그래프

참고문헌

"문맹퇴치운동", <네이버백과사전>, 2022.06.15,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560101&cid=47306&categoryId=47306

"문맹퇴치운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22.06.15 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EB%8F%85%EB%A6%BD%EC%9A%B4%EB%8F%99%EA%B0%80&ridx=394

"문맹퇴치운동", <국가기록원>, https://theme.archives.go.kr/next/koreaOfRecord/illiteracy.do

"최용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22.06.15,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29250&cid=46615&categoryId=46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