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북구의 무형문화재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성북구의 무형문화재



무형문화재

'무형문화재'는 역사적, 문화적, 예술적으로 가치가 높은 무형의 문화유산을 가리키는 말로, 우리 고유의 문화가 담겨있는 전통 예술이나 공예 기술 등이 포함된다. 형태가 없기에 그 능력과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사람이 지정 대상이 되는데, 이곳 성북구에서도 많은 무형문화재 보유자를 만나볼 수 있다. 정릉동에 거주했던 소목장 강대규부터 태평무 예능보유자 강선영, 침선장 정정완 그리고 현재까지 활동을 이어오고 있는 대금산조 예능보유자 이생강, 발탈 예능보유자 조영숙, 매듭장 김은영까지 다양한 분야의 국가 및 서울시 무형문화재 보유자가 성북구와 연을 맺고 있다. 이 외에도 여러 보유자들과 전수교육조교가 우리 문화의 전승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서울시 무형문화재 제48호 서울맹인독경의 보유단체로 인정받은 대한시각장애인역리학회 서울지부가 공연과 행사 등의 활동을 전개해 오고 있다.

인물,유물

인물

  • 정정완

정정완.jpg

1988.08.01
중요무형문화재 지정
 

동소문동에 거주했던 중요무형문화재 제89호 침선장 기능보유자이다.

우리 전통 의상의 아름다움이 주목을 받게 되면서, 1988년 8월 1일 중요무형문화재 제89호로 선정되었다.


  • 김은영

김은영.jpg

2017.11.16 
명예보유자로 인정

성북동에 거주하는 서울특별시무형문화재 제13호 매듭장 기능보유자이다.

1996년 12월 31일 서울특별시무형문화재 제13호로 지정되었으며, 2017년 11월 16일 명예보유자로 인정받아 우리의 고유한 매듭기법을 전승하고 있다.


  • 강대규

강대규.jpg

1980
전승공예대전에서 대통령상 수상

정릉동에 거주했던 국가무형문화재 제55호 소목장 보유자이다.

1980년 전승공예대전에서 그가 만든 연(輦)이 대통령상을 수상하면서 소목장으로 명성을 얻었다.

소목은 연장의 종류가 많고 나무 선별과 오랜 건조 기간, 정밀한 짜임, 상감, 옻칠 등 공정이 까다로운데 강대규는 전통 기법을 제대로 계승한 인물 중의 한 사람으로 꼽힌다.


음악가

  • 김명환

김명환.jpg

1971.10여 년 동안
<일산회> 개최

중요무형문화재 제59호 판소리 고법 예능보유자이다.

판소리 이론에도 조예가 깊어 이론과 실기에서 따르는 제자가 많았다. 판소리, 가야금산조 등 공연과 음반에 참여하였다.

1971년부터 10여 년 동안 석관동에 거주하며 제자들이 모여 만든 ‘일산회’와 공연을 열어 국악을 알렸다.


  • 한갑주

한갑주.jpg

1976
중요무형문화재 지정

1924년 광주에서 태어난 한갑주는 대표적인 세습예인 집안 출신으로, 판소리 명창이자 가야금 명인 한성태의 아들이다.

1976년 중요무형문화재 제5호 판소리(적벽가) 보유자로 지정되었다.


  • 이생강

이생강.jpg

1996.12.10
국가무형문화재 지정

성북구에 거주하는 국악인으로 국가무형문화재 제45호 대금산조 예능보유자이다.

1996년 12월 10일 국가무형문화재 제45호 대금산조 예능보유자로 지정되었다.


  • 이건자

이건자.jpg

2012
국가무형문화재 지정

성북구에 거주하는 국악인으로 국가무형문화재 제19호 선소리산타령 전수교육조교이다.

2012년 국가무형문화재 제19호 선소리산타령 전수교육조교로 선정되었다.


무용가

  • 강선영

강선영.jpg

1988.12.01
주요무형문화재 지정

돈암동과 성북동에서 활동한 국가무형문화재 제92호 태평무 기능보유자이다.

170여개 나라에서 천 오백회가 넘는 공연을 하며 한국 전통춤의 세계화에 이바지한 그녀는 1988년 12월 1일 주요무형문화재 제92호로 지정되었다.


  • 조영숙

조영숙.jpg

2012.02.02
예능보유자로 인정

성북구에 거주하는 전통연희 공연가이자 국가무형문화재 제79호 발탈 예능보유자이다.

2012년 2월 2일에 예능보유자가 되었다.

전수조교 시절 성북구청 옆에 전수학원을 운영하였다. 현재 고령 나이지만 왕성한 활동을 하며 전통을 지키고 있다.


조각가

  • 김철수

김철주.jpg

1989.12
기능보유자로 인정

국가무형문화재 제35호 조각장 기능보유자이다.

1970년대 초반부터 아버지의 전통 조각 기능을 배우고 익혀 1989년 12월 기능보유자로 인정되었다.


화가

  • 김만희

김만희.jpg

1996.12.31
서울특별시 무형문화재 지정

석관동에 거주했던 서울특별시무형문화재 제18호 민화장 기능보유자이다.

그는 민화장 기능보유자로서 1996년 12월 31일 서울특별시 무형문화재 제17호로 지정되었다.


  • 완덕문

원덕문.jpg

1972.08.01
국가무형문화재 지정

돈암동 흥천사(신흥사)에 거주했던 승려이자 중요무형문화재(현 국가무형문화재) 제48호로 단청장 기능보유자이다.

1972년에는 단청문양보존연구회를 설립하여 단청 및 전통미술의 전승과 보급에 힘썼다.

1972년 8월 1일 국가무형문화재 제48호로 지정되었다.

돈암동 흥천사

지도를 불러오는 중...


시청각기록물

사진/사물

국가무형문화재 제45호

  • 국가무형문화재 제45호 대금산조 이생강 보유자

국가무형문화재 제45호 대금산조 이생강 보유자1.jpg 국가무형문화재 제45호 대금산조 이생강 보유자2.jpg

2020.06.07
저작권자:국립무형유산원
지도를 불러오는 중...

국립무형유산원으로부터 제공받은 국가무형문화재 제45호 대금산조 예능보유자 이생강의 사진이다.

2007년에 국립무형유산원에서 진행한 기록화 사업의 일환으로 창덕궁에서 촬영한 사진이다.


  • 국가무형문화재 제45호 대금산조 이생강 보유자 음반 자료사진

국가무형문화재 제45호 대금산조 이생강 보유자 음반 자료사진.jpg

2007.05.04
저작권자:국립무형유산원

국립무형유산원으로부터 제공받은 국가무형문화재 제45호 대금산조 예능보유자 이생강의 음반 사진이다.

2007년에 국립무형유산원에서 진행한 기록화 사업의 일환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국가무형문화재 제89호

  • 국가무형문화재 제89호 침선장 정정완 보유자_철릭,저고리

국가무형문화재 제89호 침선장 정정완 보유자 철릭.jpg

2012.11.22
저작권자:국립무형유산원

국가무형문화재 제89호 침선장 보유자 정정완이 만든 철릭이다.

철릭은 상의와 하의가 연결된 남성용 겉옷으로, 겉감은 청색 명주, 안감은 흰색 명주로 된 홑옷이다.

깃은 칼깃이고, 소매는 붕어배래이다. 허리선에는 촘촘한 잔주름이 있다.

[무형유산 디지털 아카이브 사진 설명 인용]

국가무형문화재 제89호 침선장 정정완 보유자 저고리.jpg

2013.07.18
저작권자:국립무형유산원

국가무형문화재 제89호 침선장 보유자 정정완이 즐겨 입던 연미색 비단 저고리이다.

끝동은 남색 비단이고, 고름은 밤색이다.

[무형유산 디지털 아카이브 사진 설명 인용]


  • 국가무형문화재 제89호 침선장 정정완 보유자_치마,바늘

국가무형문화재 제89호 침선장 정정완 보유자 치마.jpg

2013.07.18
저작권자:국립무형유산원

국가무형문화재 제89호 침선장 보유자 정정완이 즐겨 입던 연보라색 비단 치마이다.

치마 안감과 조끼허리는 동일한 흰색 비단이다.

[무형유산 디지털 아카이브 사진 설명 인용]

국가무형문화재 제89호 침선장 정정완 보유자 바늘.jpg

2019.11.08
저작권자:국립무형유산원

국가무형문화재 제89호 침선장 보유자 정정완이 사용하던 바느질 바늘이다.

다양한 호수의 바늘들로 모두 사용한 흔적이 있다. (10-1) 영국 제품, (10-2~8) 일본 제품, (10-9~10) 생산지 미상 제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바늘호수 및 종류
(10-1) 영국산 10호 바늘 4개이다.
(10-2) 일본산 바늘 세트이다. 접이식 종이 케이스 안에 바느질 바늘 4개, 재봉틀 바늘 15호 1개, 실끼우기 1개가 들어 있다.
(10-3) 일본 크로바사 종이 포장지 안에 2호 바늘 8개가 들어 있다.
(10-4, 5) 일본 크로바사 종이 케이스 안에 다양한 호수의 바늘이 각각 6개, 14개 들어 있다.
(10-6) 일본산으로 종이 케이스 안에 8호 바늘 1개, 9호 바늘 4개가 들어 있다.
(10-7) 일본산으로 비닐 케이스 안에 바늘 4개가 들어 있다.
(10-8) 일본 오르간사 은박지에 바늘 6개가 싸여 있다.
(10-9) 광택있는 녹색 종이에 바늘 2개가 꽂혀 있다.
(10-10) 은박지에 바늘 16개가 싸여 있다.

[무형유산 디지털 아카이브 사진 설명 인용]


  • 정정완 사진 액자

정정완 사진 액자.jpg

2012.11.22
저작권자:국립무형유산원

국가무형문화재 제89호 침선장 보유자 정정완 단독 사진 액자이다.

흰색 저고리에 밤색 치마를 입고 측면으로 서있는 정정완의 모습이다.

[무형유산 디지털 아카이브 사진 설명 인용]


국가무형문화재 제35호

  • 국가무형문화재 제35호 조각장 김철주 보유자

국가무형문화재 제35호 조각장 김철주 보유자1.jpg

2004.05.07
저작권자:국립무형유산원

국립무형유산원으로부터 제공받은 국가무형문화재 제35호 조각장 보유자 김철주의 사진이다.

2004년에 국립무형유산원에서 진행한 기록화 사업의 일환으로 작업을 위해 감탕을 만드는 김철주 보유자의 모습을 촬영하였다.


  • 국가무형문화재 제35호 조각장 김철주 보유자 작품_은제 사리함,동제금은상감함

국가무형문화재 제35호 조각장 김철주 보유자 작품 은제 사리함.jpg

2004.10.05
저작권자:국립무형유산원

국립무형유산원으로부터 제공받은 국가무형문화재 제35호 조각장 보유자 김철주의 작품 은제 사리함 사진이다.

2004년에 국립무형유산원에서 진행한 기록화 사업의 일환으로 촬영하였다.

국가무형문화재 제35호 조각장 김철주 보유자 작품 동제금은상감함.jpg

2004.10.05
저작권자:국립무형유산원

국립무형유산원으로부터 제공받은 국가무형문화재 제35호 조각장 보유자 김철주의 작품 동제금은상감함 사진이다.

2004년에 국립무형유산원에서 진행한 기록화 사업의 일환으로 촬영하였다.


국가무형문화재 제92호

  • 국가무형문화재 제92호 태평무 강선영 보유자_터벌림(64장단) 손목 올릴 사위

국가무형문화재 제92호 태평무 강선영 보유자 터벌림(64장단) 손목 올릴 사위.jpg

1996
저작권자:국립무형유산원

국립무형유산원으로부터 제공받은 국가무형문화재 제92호 태평무 보유자 강선영의 사진이다.

1996년에 국립무형유산원에서 진행한 기록화 사업의 일환으로 촬영된 사진이다.


  • 국가무형문화재 제92호 태평무 강선영 보유자

국가무형문화재 제92호 태평무 강선영 보유자.jpg

저작권자:국립무형유산원

국립무형유산원으로부터 제공받은 국가무형문화재 제92호 태평무 보유자 강선영의 사진이다.


  • 강선영_동경 산게이 홀에서 모윤숙작 상제의 한 장면

강선영 동경 산게이 홀에서 모윤숙작 상제의 한 장면.jpg

저작권자:국립무형유산원

국립무형유산원으로부터 제공받은 국가무형문화재 제92호 태평무 보유자 강선영의 사진이다.


  • 서울특별시 무형문화재 제13호 매듭장 김은영_작업 모습

서울특별시 무형문화재 제13호 매듭장 김은영 작업 모습1.jpg 서울특별시 무형문화재 제13호 매듭장 김은영 작업 모습2.jpg

2013.02.20.
저작권자: 김은영

서울특별시 무형문화재 제13호 매듭장 보유자 김은영의 작업 모습이 담긴 사진이다. 다회틀로 끈을 짜는 모습이다.


  • 서울특별시 무형문화재 제13호 매듭장 김은영 작품_매듭

서울특별시 무형문화재 제13호 매듭장 김은영 작품 매듭1.jpg 서울특별시 무형문화재 제13호 매듭장 김은영 작품 매듭2.jpg

서울특별시 무형문화재 제13호 매듭장 보유자 김은영의 매듭 작품 사진이다.

  • 서울특별시 무형문화재 제13호 매듭장 김은영 다회틀_12사틀

서울특별시 무형문화재 제13호 매듭장 김은영 다회틀 12사틀.jpg

2018.03.05
저작권자:성북선잠박물관
지도를 불러오는 중...

서울특별시 무형문화재 제13호 매듭장 보유자 김은영이 작업 시 사용하는 다회틀이다.

다회틀은 명주실을 이용하여 끈을 짜는 도구로, 사진 속 다회틀은 12가닥의 실로 끈을 만드는 12사틀이다

  • 서울특별시 무형문화재 제13호 매듭장 김은영 작품_노리개

서울특별시 무형문화재 제13호 매듭장 김은영 작품 노리개1.jpg 서울특별시 무형문화재 제13호 매듭장 김은영 작품 노리개2.jpg

2018.03.06
저작권자:성북선잠박물관


서울특별시 무형문화재 제13호 매듭장 보유자 김은영이 제작한 노리개 사진이다.


노래/구술

  • [성북동문화재야행] 명인 공연(VR) - 대금산조,선소리산타령
2020
성북동문화재야행의 일환으로 제작

국가무형문화재 제45호 대금산조 예능보유자 이생강의 공연 을 촬영한 VR 영상이다. 공연 장소는 한국순교복자성직수도회 구 본원이며,

2020 성북동문화재야행의 일환으로 제작된 영상이다.

한국순교복자성직수도회 구 본원

지도를 불러오는 중...


  • [성북동문화재야행] 명인 공연(VR) - 발탈
2020
성북동문화재야행의 일환으로 제작

-성북동문화재야행- 명인 공연(VR) - 발탈.jpg

국가무형문화재 제79호 발탈 예능보유자 조영숙의 공연을 촬영한 VR 영상이다.

공연 장소는 성북동 예향재이며, 2020 성북동문화재야행의 일환으로 제작된 영상이다.

성북동 예향재

지도를 불러오는 중...


  • 선소리산타령 전수조교 이건자

선소리산타령 전수조교 이건자.jpg

2020 
성북동문화재야행의 일환으로 제작
저작권자: 성북문화원

국가무형문화재 제19호 선소리산타령 전수교육조교 이건자의 공연을 촬영한 VR 영상이다.

공연 장소는 성북동 이종석 별장이며, 2020 성북동문화재야행의 일환으로 제작된 영상이다.

일반기록물

  • 불모 원덕문 스님 유품·유작 공개
2019.06.15


내용: 국가무형문화재 제48호 단청장 기능보유자였던 원덕문의 유품·유작 등을 공개 하는 특별전에 대한 기사.

저널명: 법보신문

발행 형태: 인터넷 신문 기사.

발행일: 2015.06.15 15:42(승인)

비고: 2015년 06월 17일 『법보신문』1298호에 게재


  • 중요무형문화재「태평무」
1997.09


국립문화재연구소 예능민속연구실의

중요무형문화재 기록영화 제작 과정에서 파

생된 해설 책자로, 중요무형문화재 제92호 강선영과 관련된 내용이 담겨있다.


  • 중요무형문화재「침선장」
1998


내용 : 국립문화대 연구소에서 발간한 한국의 중요무형문화재 시리즈로 중 하나로 중요무현문화재 제89호 친선장을 다루고 있다.

책에서는 침선의 역사, 옷짓는 법, 침선장 정정완의 생애 등을 다루고 있다.


  • 중요무형문화재 제45호 대금산조
2007.11.23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 중요무형문화재 제45호 대금산조의 역사와 특성, 전승현황 등에 서술한 책이다.

현 보유자인 이생강이 대금산조를 계승하게 된 과정과 활동사항 등이 자세하게 소개되어 있다.


  • 중요무형문화재 제79호 발탈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 중요무형문화재 제79호 발탈의 가치와 형성과정, 전승자,

연행에 필요한 도구 및 복식, 연행 내용 등에 대해 조사하여 쓴 책이다.

전승자의 계보에 성북구에 거주하고 있는 전영숙이 소개되어 있다


참고문헌/출처

성북마을아카이브

국가문화유산포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