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자상감연지원앙문정병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청자 상감연지원앙문정병
청자정병.jpg

지정 번호 국보 제66호
종류 유물/청자
한문 명칭 靑磁 象嵌蓮池鴛鴦文 淨甁
영문 명칭 Celadon Kundika with Inlaid Willow, Lotus, Reed, and Mandarin Duck Design
시대 고려시대
소재지 성북동
지정일 1962.12.20
소유(관리) 간송미술관
간송미술관 주소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로 102-11
지도를 불러오는 중...

소개

간송미술관에서 보관 중인 청자이다.

'정병(淨甁)'은 '맑은 물을 담는 병' 이라는 의미이며, 불교에서 모든 악을 씻어 버리는 의식에서 사용하던 용기의 하나이다. 중국에서 거쳐 온 서방 양식이며, 이는 고려로 전해져 오면서 가장 세련되게 나타나고 금속기와 도자기로 만들어졌다.

역사

일제 때 일본으로 옮겨 가려는 것을 고(故) 전형필(全鎣弼)이 이를 수습하여 [1]에서 보관 중이다.1962년 12월 20일 대한민국의 국보 제66호로 지정되었다.

특징

<청자상감연지원앙문정병>은 유물 중에서도 뛰어난 걸작이다. 반듯한 조형과 비색의 유색이 그대로 느껴지는 것이 특징이다. 병은 긴 목과 옆구리에 주입구가 달린 몸체로 이루어져있다. 병의 어깨는 풍만하게 벌어졌다가 아래로 갈 수록 좁아지다 외반하는 형태이다. 물을 넣는 아가리엔 구연부 형태와 고리 모양의 귀가 달려있지만, 현재 뚜껑은 없는 상태이다. 기형이나 세부표현에서 국립중앙박물관소장의 국보 제92호인 청동은입사포유수금문정병과 같은 금속기의 영향이 강하게 드러난다.

문양은 환대의 윗부분에는 운문, 환대가 부착된 기다란 목의 앞뒤 양면에는 모란꽃을 하나씩 상감했다. 몸체에는 버드나무와 갈대가 있으며 원앙이 헤엄치고 있는 연못이 있다. 꽃잎이 작고 가는 연꽃은 소박한 느낌을 주고, 머리가 큰 원앙의 눈은 유일하게 흑상감으로 묘사되었다. 이런 묘사는 고려시대 금속기나 청자에서 자주 나타나는 문양으로, 회화적이고 서정적인 느낌을 준다.


외부링크


문서 작성자

  • 김아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