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성대신문사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소개

한성대신문

<한성대신문>은 1976년 12월 15일에 창간되어 한성대학교의 역사를 함께해온 교내 유일의 언론지입니다. 40여 년의 시간 동안 500여 호가 넘는 신문을 발행했으며, 현재까지도 학기 중 3주에 한 번 새로운 신문을 발행하고 있습니다.

<한성대신문>은 한성대학교 재학생 중에 선발된 기자의 손으로 제작됩니다. 현재까지 수백여 명의 기자가 <한성대신문>을 거쳐갔음은 물론, 수많은 교수·교직원·학생과 함께 의견을 나누고 건전한 여론 형성의 장의 역할을 수행해왔습니다.

무엇보다도 <한성대신문>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한성대학교를 대표하는 대학언론이라는 점입니다. 지금껏 <한성대신문>은 한성대학교의 역사를 기록하는 사관이자, 대학언론인을 육성하는 교육자이자, 새로운 학문을 먼저 접하고 이를 다른 학생에게 소개하는 선험자로서의 책무를 이어나가고 있습니다.

또한 교내의 학생기구와 대학본부를 감시·견제하고, 학내 이슈에 대한 정보를 심도있게 취재하여 학내 구성원에게 두루 알리는 언론으로 기능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사회·문화·학술 등 다양한 측면의 정보를 대학생과 청년의 눈으로 취재하여 이를 기사에 담아냅니다.

아울러 <한성대신문>은 학내 구성원의 알 권리를 대변함과 동시에, 대학언론의 독립성을 통해 중립적이고 객관적인 시선으로 사건을 취재·보도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편집국장 인사말

안녕하세요. 한성대신문사 한혜정 편집국장입니다.

한성대신문사는 <한성대신문> 창간 이후 579호를 발행하기까지, 한성대학교를 대표하는 대학언론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해 왔습니다.

현재 종이를 넘어 웹사이트, 네이버 블로그, 공식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페이지, 카카오톡 채널, 에브리타임까지 다양한 플랫폼으로 독자 여러분과 소통하고 있습니다.

<한성대신문>은 학내 유일의 언론지로서 사실을 뛰어넘은 진실을 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한성대신문사 구성원은 '생각하자, 뛰자, 뭉치자'라는 사훈을 실천하기 위해 밤낮없는 하루하루를 보냅니다. 언제나 학내 구성원과 대학사회, 뿐만 아니라 사회의 뒤편에 있는 목소리까지 보고, 듣겠습니다. 더불어, 적극적 소통으로 진전하는 학보사가 되겠다고 약속합니다.

앞으로도 독자 여러분의 관심과 성원에 보답하는 <한성대신문>이 되어, 진실을 전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구성

만드는 사람들

  • 한혜정(50기) 편집국장
  • 김지윤(50기) 부편집국장
  • 김기현(50기) 부장기자
  • 박희진(52기) 정기자
  • 정상혁(52기) 정기자

연혁

  1. 1976년 12월 15일 <한성대신문> 창간
  2. 2022년 8월 30일 한혜정 편집국장 취임
  3. 2022년 9월 8일 제53기 수습기자 선발

코너 여담

  1. 한혜정 편집국장의 '한기자와 함께하는 시사한잔'은 정상혁 기자가 물려받아 '정기자와 함께하는 시사한잔'이 됐다.
  2. 김지윤 부편집국장의 '법률속으LAW'는 당시 유행하던 드라마 로스쿨 CI에서 착안됐다.
  3. 김기현 부장기자의 '우리가 지나친 순간들'은 게재 중단됐다. 대신 '비행청년'을 성황리에 연재 중이다.
  4. 정상혁 정기자는 '정기자가 초대하는 신화로의 초대장' 코너를 집필해 중의적인 의미의 정기자가 된 바 있다.
  5. 박희진 정기자는 '건강인사이드' 코너를 집필해 온갖 의과대학의 교수들을 알게 됐다.

기타

2022년 2학기 면 구성

  • 1,2면: 보도
  • 3면: 사회(코너: 시사한잔)
  • 4면: 기획(비행청년)
  • 5면: 사람인
  • 6면: 학술(코너: 신화로의 초대장, 건강인사이드)
  • 7면: 오피니언
  • 8면: 광고 및 기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