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학성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주개념

의의 : 해학적인 성질. 또는 그런 특성.

해학

해학

사전적 의미로 '익살스러우면서 풍자적인 말이나 짓'을 가리키는 용어. 그러나 해학과 풍자는 다른 개념으로 보아야 한다. 영어로는 유머(humor)가 ‘해학’에 대응되는 말이다. 이를 통해 해학은 '비판'이나 '비난'의 성격 이전에 나타나는 '웃음'을 목적으로 한다고 볼 수 있다. 해학은 대상에 대해 호감과 연민을 느끼게 하는 웃음과 익살이 있는 형상화의 방법이다. 또한 해학은 인생을 낙관적으로 생각한다는 점에서 냉소적이라기보다는 관조적이라고 볼 수 있다.

문학 작품 속에서 해학이 드러나는 방식은 일반적으로 '비일상성, 상식의 파괴, 비합리성, 비정상성'을 보여줌으로써 웃음을 유발한다. 웃음을 유발하는 데 있어서 어떠한 악의성이나 대립성을 지니고 있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대상을 한층 넓고 깊게 통찰하면서 '동정적'으로 감싸 주는 시선을 간직하고 있는 것이야말로 해학의 핵심적 특징이라 볼 수 있다.

확장개념

한국 문학과 해학

한국 문학과 해학

해학은 한국 문학의 전통에서 볼 수 있는 특징 가운데 하나이다. 해학이 다양하게 활용되었던 대표적인 양식이 바로 산대놀이(탈춤)였는데, 여기에서 발견되는 해학은 자칫 심각해질 수 있는 인물 간의 갈등을 완화시키고 모든 관객들이 어우러질 수 있는 윤활유, 분위기 반전과 같은 역할을 해 주는 것이었다. 〈봉산탈춤〉을 비롯한 여러 형태의 산대놀이 속에서 전통적인 해학성이 어떠한 것이었는지를 찾아볼 수 있다.

탈춤과 함께 고전소설이나 판소리 대목에서도 해학적 요소를 어렵지 않게 발견할 수 있다. 주로 '우스꽝스러운 상황 묘사'를 통해 그려냄으로써 인물이 처한 비극적인 처지를 '웃음을 통해 승화'해내기도 한다.

근대문학에서도 해학은 소설을 이끄는 주요한 미학 원리로 작용한 바 있다. 교과서에 실린 김유정의 〈봄봄〉이나 <동백꽃〉이 해학을 활용하고 있는 대표적인 작품에 해당한다. 김유정은 이러한 해학을 통하여 1930년대 농촌과 그 속에서 살아가던 사람들이 처해 있던 가난한 삶을 온화한 시선으로 그려내고 있다.

출처

1.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소설과 해학성 (통합논술 개념어 사전, 2007. 12. 15., 한림학사)

2. 출처 : [네이버 국어사전] 해학-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