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NG(융) 이론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JUNG(융) 이론에서 넘어옴)
넘겨주기 문서
이동: 둘러보기, 검색

넘겨줄 대상:

JUNG(융) 이론이란?

융의 분석심리학과 같은 말. 스위스의 정신의학자이자 심리학자인 융(C. G. Jung)이 프로이트(S. Freud)가 주장한 심리성적발달과 인생 초기에 성격이 결정되다는 결정론에 반대하여 인간 정신에 대한 분석을 주관적 체험과 현상학을 바탕으로 체계화하여 보다 새롭고 정교화한 이론. MBTI의 기반이 되는 이론이다.[1]

칼 구스타프 융(C. G. Jung)

Jung.jpg

출생 - 사망 1875년 ~ 1961년
직업 정신의학자, 심리학자
국적 스위스
관련인물 프로이트, 아들러

스위스의 정신의학자, 심리학자. 프로이트의 심리학에 영향을 받았지만, 정신 현상을 성욕에 귀착시켜 설명하는 프로이트에 반대하였고, 아들러(A. Adler)의 사상을 받아들여 성격에는 내향형과 외향형이 있다고 주장하였다. 그는 인도와 북아프리카 등지를 여행하면서 미개인의 생활을 관찰하였고 그것을 바탕으로 심층 심리에는 단순히 개인적인 것 뿐만 아니라, 오랜 집단 생활에 의해 심리에 침전된 '집단무의식'이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2]

JUNG(융) 이론의 정의

분석심리학은 인간 정신의 구조를 의식과 무의식으로 구분하며, 무의식을 개인무의식과 집단무의식으로 세분화한다.먼저 의식은 자아(ego)에 의해 지배되는 부분으로, 인간이 자신을 외부에 표현하고 외부 현실을 인식하는 기능을 한다. 개인이 자신의 의식을 능동적으로 외적 세계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을 외향성으로 칭하며, 내적 주관적 세계로 향하는 성향을 내향성이라 한다. 융은 우리 모두가 두 가지 상반되는 태도를 가지고 있으며, 하나의 지배적인 경향에 따라 우리의 성격 및 태도가 달라진다고 보았다. 의식이 외부 세계를 인식하는 방식은 감각과 직관으로 구성된 비합리적 차원, 그리고 외부 세계를 판단하는 방식은 사고와 감정으로 구성된 합리적 차원으로 나뉜다.[3]

융의 정신 모델

에고(ego)란 자신을 둘러싼 외부 환경 소에서 자신을 인식하는 사회적 자아이고 셀프(self)란 통제하거나 조작할 수 없는 본질적인 모습인 내면적 자기를 가리킨다. 융은 진정한 자기(self)를 찾으려면 반드시 내면의 그림자(트라우마)를 마주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또한, 내면의 그림자를 대면하는 것이 무의식에 숨어 있는 잠재력을 의식의 세계로 끌어내는 첫 단계라고 말한다.[4]

정신.PNG

집단무의식

개인의 무의식은 쉽게 의식화 될 수 있는 망각된 경험이나 감각 경험으로 구성되며, 이는 개인의 과거 경험에서 비롯된다. 반면 집단무의식은 융의 독창적 개념으로서 분석심리학에서 가장 핵심적인 개념이다. 집단무의식은 인류가 역사와 문화를 통해 공유해 온 모든 정신적 자료의 저장소로, 우리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수없이 많은 원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문화를 막론하고 신화, 민속, 예술 등에서 보편적으로 등장하는 주제를 통해 드러난다. 원형은 상징을 통해서 표현되는 보편적, 집단적, 선험적인 심상(image)들로 신, 악마, 부모, 대모, 현자, 사기꾼 등의 원초적 이미지들을 포함한다.

대표적인 원형은 개인이 환경과 조화를 이루려는 적응의 원형인 페르소나(persona), 남성의 내부에 있는 여성성을 뜻하는 아니마(anima)와 여성 내부의 남성성을 의미하는 아니무스(animus), 인간의 어둡거나 사악한 측면 및 원초적인 동물적 욕망을 뜻하는 그림자(shadow), 전체로서 인간 성격의 조화와 통합을 위해 노력하는 자기(self) 등이다. 융에 따르면, 자기(self)는 다른 정신 체계가 충분히 발달할 때까지 나타나지 않으며, 일생에 걸쳐 분화와 통합을 통해 발달하는 과정을 거친다. 이를 개성화(individuation)라고 한다.

집단무의식의 예를 들어, 우리의 원시 조상들이 어두움을 두려워했고, 그래서 우리는 그와 같은 방식으로 행동하는 하나의 소인을 물려받는다. 이 말은 우리 각자가 자동적으로 어두움을 두려워하는 인간으로 성장한다는 뜻이 아니라, 밝은 것을 두려워하기보다는 어두움을 두려워하는 것이 더 쉽게 학습된다는 뜻이다. 이러한 경향성은 존재하며 그 소인을 현실화시킬 적당한 경험(말하자면 어두움 속에서 악몽으로부터 깨어나는)만을 필요로 한다. 융(Jung, 1953)은 “그가 태어날 세계의 모습은 하나의 허상으로서 이미 그의 내부에 타고난다.”라고 기술하였다.[5]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