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태석"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개요)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6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8번째 줄: 8번째 줄:
 
| style="width:80px; text-align:center;" |'''이름''' || [[오태석]]
 
| style="width:80px; text-align:center;" |'''이름''' || [[오태석]]
 
|-  
 
|-  
| style="text-align:center;"|'''한자''' || 한자이름
+
| style="text-align:center;"|'''한자''' || 吳泰錫
 
|-  
 
|-  
 
| style="text-align:center;"|'''출생년''' || 1940년도~
 
| style="text-align:center;"|'''출생년''' || 1940년도~
 
|-  
 
|-  
| style="text-align:center;"|'''출생지''' || [[충청남도 서천]]
+
| style="text-align:center;"|'''출생지''' || [[충청남도]] [[서천]]
 
|-  
 
|-  
| style="text-align:center;"|'''직업''' || [[연출가,극작가,대학교수]]
+
| style="text-align:center;"|'''직업''' || [[연출가]], [[극작가]], [[대학교수]]
 
|-  
 
|-  
| style="text-align:center;"|'''학력''' || [[연세대학교]] 철학 학사
+
| style="text-align:center;"|'''학력''' || [[연세대학교]] 철학과 학사
 
|-  
 
|-  
| style="text-align:center;"|'''활동분야''' || [[공연연출,희곡창작,대학강의]]
+
| style="text-align:center;"|'''활동분야''' || 공연연출,희곡창작,대학강의
 
|-  
 
|-  
| style="text-align:center;"|'''관련단체''' || [[극단 목화,성좌극장,소극장 아룽구지대표  ]]  
+
| style="text-align:center;"|'''관련단체''' || [[극단 목화]]/성좌극장/[[극장 아룽구지]]대표
 
|-  
 
|-  
 
|}
 
|}
26번째 줄: 26번째 줄:
  
  
'''이름(출생년~사망년도)'''
+
'''오태석(1940년~)'''
 +
==개요==
 +
[[오태석]](1940년 10월 11일~)은 [[대한민국]]의 [[극작가]]이자 [[연출가]]이며, 대표작은 <[[태]]>, <[[초분]]>, <[[춘풍의 처]]> 등으로 다수의 작품을 남겼다.
 +
 
 
==생애==
 
==생애==
작가의 출생부터 생애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이 곳에 기술합니다.
 
  
==작품세계 (활동내역) ==
+
1940년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면 선암리에서 태어나 지금은 79세가 되었다. 1964년 연세대 철학과를 졸업했다.
작가(예술가)작품 세계에 대한 상세한 내용을 이곳에 기술합니다.
+
1963~1965년에 [[희로무대]]를 창단하였다. 1967년 조선일보 신촌문예에서 희곡 '[[웨딩드레서]]'당선 이후 쉼 없이 [[희곡]] 창작과 [[연출]]을 계속해 왔다. 50년간 약70여편을 썼고, 1년에 한 편 이상 작품을 발표해왔다.
 +
1972년 동랑레파토리 극단을 연출하면서 [[서울예술대학교]] 연극과 [[교수]]를 역임한다.
 +
1984년 [[극단 목화]]레파토리컴퍼니를 창단하였고 1990년 목화레파토리극장 충동 1,2를 개관하였다.
 +
이어 1998년 성좌극장대표, 1999년 [[극장 아룽구지]] 대표를 맡는다.동시에 99년에 [[국립극단]] 예술감독도 맡는다.
 +
 
 +
==작품세계관 ==
 +
[[오태석]]의 작품세계는 매우 다양하고 현란한 실험성을 보여주고 있으나 일관된 경향은 전통의 재발견과 현대적 수용을 통한 한국적 연극의 창조라 할 수 있다.
 +
 
 +
[[오태석]]의 작품세계는 1973년에 한국일보 연극영화상 작품상을 수상한 「[[초분]]」을 기점으로 초기의 서구적 드라마투르기와 [[부조리극]]경향으로부터 전통적이고 토속적인 경향으로 선회한다. 또 이 작품으로 미국 공연을 가짐으로써 한국 최초의 해외공연이라는 기록을 남겼다.
  
 +
미국에서의 다양한 관극체험을 바탕으로 그의 연극세계는 큰 비약을 가져오게 된다. 「[[태]]」(1974), 「[[춘풍의 처]]」(1976), 「[[물보라]]」(1978) 등 전통적 색채가 농후한 작품들을 계속하여 발표했다.
  
작가가 아닌 사람의 경우에는 주요한 업적을 중심으로 기술합니다.
+
1987년 「[[부자유친]]」으로 서울연극제 대상, 1991년에 「[[심청이는 왜 두 번 인당수에 몸을 던졌는가]]」로 동아연극상 대상, 그리고 1992년 「[[백구야 껑충 나지마라]]」로 김수근 문화상을 수상하였다. 1993년에 극단 이름을 목화레퍼터리 컴퍼니로 개명하고 그해 서울연극제 참가작인 「[[백마강 달밤에]]」로 1994 한국연극평론가협회상 창작극 부문을 수상하였다. 「[[태]]」, 「[[춘풍의 처]]」, 「[[부자유친]]」 등은 일본에서 공연되어 호평을 받기도 하였다.
 +
 
 +
1970~1980년대를 거치며 한국의 가장 대표적 극작가이자 연출가로 부상한 오태석의 작품세계는 매우 다양하고 현란한 실험성을 보여주고 있으나 일관된 경향은 전통의 재발견과 현대적 수용을 통한 한국적 연극의 창조라 할 수 있다. 이를 그 자신의 표현으로 말하자면 “마당놀이의 뛰어난 부분과 서구 드라마투르의 구조가 편하게 녹아 들어간 무대”가 되는 것이다.
 +
 
 +
==오태석 소개 영상==
 +
*EBS_선생님, 선생님, 우리 선생님-연극연출가 오태석 편
 +
<youtube>https://youtu.be/qICoZ2wuHIY</youtube>
  
 
==작품 및 저서==
 
==작품 및 저서==
 +
<공연>
 +
*[[템페스트]]
 +
*[[한강은 흐른다]]
 +
*[[백마강 달밤에]]
 +
*[[마늘먹고 쑥먹고 ]]
 +
*[[춘풍의 처]]
 +
*[[자전거]]
 +
*[[로미오와 줄리엣]]
 +
*[[도토리]]
 +
*[[분장실]]
 +
*[[봄봄]]
 +
*[[북청사자야 놀자]]
 +
*[[도라지]]
 +
*[[내사랑 DMZ]]
 +
*[[용호상박]]
 +
*[[심청이는 왜 두번 인당수에 몸을 던졌는가]]
 +
*[[백년언약]]
 +
*[[이원승이원숭이]]
 +
*[[황색여관]]
 +
*[[영영사랑]]
 +
*[[만파식적]]
 +
*[[태]]
  
작품이나 저서가 없는 사람의 경우에는 이 부분은 제외하고 기술합니다.
+
<저서>
 
+
*한국 현대희곡선(2017)
배우의 경우 출연작에 관한 내용으로 채워 주세요.
+
*백마강 달밤에(1995)
 +
*오태석 연극
 +
*심청이는 왜 두번 인당수에 몸을 던졌는가(1994)
 +
*불효자는 웁니다(1994)
 +
*도라지(1994)
 +
*천년의 수인(2000)
 +
*아프리카(1986)
  
 
==기타(수상내역 등)==
 
==기타(수상내역 등)==
  
 
+
*1967 조선일보 신춘문예 '[[웨딩드레스]]'당선
위 항목에 포함되지 않았지만, 해당 인물을 설명하기 위해서 필요한 정보를 자유롭게 기술합니다.
+
*1967 한국일보 장막희곡부문 가작
 +
*1967 조선일보 신춘문예 당선 서울 연극제 대상
 +
*1968 국립극장, 경향신문 공모 '[[환절기]]' 당선
 +
*1973 작품'[[초분]]' 한국일보 연극영화상 작품상 수상/작품'물보라'로 서울비평가그룹 제1회 작품상 수상
 +
*1987 작품'[[부자유친]]'서울연극제 대상
 +
*1991 작품'[[심청이는 왜 두번 인당수에 몸을 던졌는가]]'제28회 동아연극상 대상
 +
*1992 작품'[[백구야 껑충 나지마라]]'로 김수근 문화상 수상
 +
*1993 제1회 대산문학상 희곡부문
 +
*1994 한국예술평론가협회 최우수예술가
 +
*2004 제36회 대한민국 문화예술상
 +
*2005 제15회 호암상 예술상
 +
*2012 제48회 동아연극상 대상,연출상
  
 
==관련항목==
 
==관련항목==
52번째 줄: 108번째 줄: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주어(S)]] || [[목적어(O)]] || A는 B를 ~하다(P) ||  
+
| [[오태석]] || [[자전거]] || A는 B를 쓰다 ||  
 
|-
 
|-
|}
+
| [[오태석]] || [[템페스트]] || A는 B를 쓰다 ||
 
+
|-
==참고문헌==
+
| [[오태석]] || [[로미오와 줄리엣]] || A는 B를 쓰다 ||
 
+
|-
==작성자 및 기여자==
+
| [[오태석]] || [[초분]] || A는 B를 쓰다 ||
 
 
[[분류:인물]] [[분류:작성자이름]] [[분류:기여자이름]]
 
 
 
<onlyinclude>
 
{|class="metadata" style="background:#f2f2f2; width:320px; margin: 5px 5px 5px 5px;" cellspacing="10" align="right"
 
 
|-
 
|-
! colspan="2" style="background:#3ca9a9; color:#ffffff; font-size:130%; text-align:center;" | '''산불'''
+
| [[오태석]] || [[춘풍의 처]] || A는 B를 쓰다 ||
 
|-
 
|-
| colspan="2" style="text-align:center;" | [[파일:산불.PNG]]
+
| [[오태석]] || [[서천]] || A는 B에서 태어나다 ||  
|-
 
| style="width:80px; text-align:center;" |'''작품명''' || [[산불]]
 
|-
 
| style="text-align:center;"|'''저자''' || [[차범석]]
 
|-
 
| style="text-align:center;"|'''창작년도''' || 1962
 
|-
 
|}
 
</onlyinclude>
 
 
 
 
 
'''산불'''
 
==개요==
 
 
 
산 불
 
제1막
 
제2막
 
제3막
 
제4막
 
제5막
 
 
 
 
 
==줄거리==
 
 
 
남자들이 전쟁에 나가 여자들만 남겨진 시골마을에 탈출한 공비가 숨어 들어온다. 점례는 이 공비를 대숲에 숨겨주고 그에게 식사를 날라주다 공비와 정을 통하게 된다. 이웃에 사는 과부 사월이는 점례를 수상쩍게 생각하다 점례가 숨겨놓은 공비를 발견하게 된다.
 
 
 
색정에 눈이 먼 사월이는 남자를 같이 소유할 것을 점례에게 요구하면서 자신의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을 경우 신고를 하겠노라고 협박을 한다. 결국 사월이 역시 공비와 정을 통하게 되고 그러다 임신을 하게 된다. 남편도 없이 임신을 하게 된 사월이는 결국 자살을 하고…… 공비토벌을 위해 대숲에 불을 지르자 공비를 구하기 위해 불 속으로 뛰어든 점례는 결국 공비와 함께 죽는다.
 
 
 
이처럼 <산불>은 한국전을 소재로 하고 있지만 이데올로기나 사회적 이슈를 다루기보다는 고립된 마을에서 펼쳐지는 인간의 본능적 욕망을 다루고 있는 영화이다. 김수용 감독 특유의 감각적 영상이 돋보이며, 차범석 원작을 영화화하였다.
 
이미 우리들이 체험했던 한 시대의 비극이 비록 애욕적 본능의 부각에 치중되긴 했으나, 감각적인 터치와 리얼한 카메라 워크로 꽤 농밀하게 재현하고 있다.
 
 
 
==출판 및 공연 정보==
 
 
 
 
 
*공연: 국립극장 해오름극장에서 2017.10.25. ~ 2017.10.29동안 공연하였다.
 
 
 
 
 
==관련항목==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주어(S)]] || [[목적어(O)]] || A는 B를 ~하다(P) ||  
+
| [[오태석]] || [[연세대학교]] || A는 B를 졸업하다 ||  
 
|-
 
|-
 
|}
 
|}
  
 
==참고문헌==
 
==참고문헌==
 +
playdb사이트
 +
http://www.playdb.co.kr/artistdb/detail.asp?ManNo=2352
  
국립중앙도서관 산불
+
네이버 지식백과
http://www.nl.go.kr/nl/search/SearchDetail.nl?category_code=ct&service=KOLIS&vdkvgwkey=61509309&colltype=DAN_HOLD&place_code_info=100&place_name_info=%EC%84%9C%EA%B3%A0%EC%9E%90%EB%A3%8C%EC%8B%A0%EC%B2%AD%EB%8C%80%281%EC%B8%B5%29&manage_code=MA&shape_code=B&refLoc=null&category=dan&srchFlag=Y&h_kwd=%EC%82%B0%EB%B6%88&lic_yn=L&mat_code=GM&topF1=title_author&kwd=%EC%82%B0%EB%B6%88&dan=&yon=&disabled=&media=&web=&map=&music=&etc=&archive=&cip=&kolisNet=&korcis=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33648&cid=41708&categoryId=41737
  
네이버포털검색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sm=tab_hty.top&where=nexearch&query=%EC%97%B0%EA%B7%B9+%EC%82%B0%EB%B6%88&oquery=%EC%97%B0%EA%B7%B9&tqi=TwGMAdpySDGsssiBx7ZssssstDV-116066
 
 
==작성자 및 기여자==
 
==작성자 및 기여자==
  
[[분류:작품]] [[분류:작성자이름]]  [[분류:기여자이름]]
+
[[분류:인물]] [[분류:정미영]]  [[분류:서유라]] [[분류:이경선]]

2018년 6월 24일 (일) 21:35 기준 최신판


오태석(1940년~)

개요

오태석(1940년 10월 11일~)은 대한민국극작가이자 연출가이며, 대표작은 <>, <초분>, <춘풍의 처> 등으로 다수의 작품을 남겼다.

생애

1940년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면 선암리에서 태어나 지금은 79세가 되었다. 1964년 연세대 철학과를 졸업했다. 1963~1965년에 희로무대를 창단하였다. 1967년 조선일보 신촌문예에서 희곡 '웨딩드레서'당선 이후 쉼 없이 희곡 창작과 연출을 계속해 왔다. 50년간 약70여편을 썼고, 1년에 한 편 이상 작품을 발표해왔다. 1972년 동랑레파토리 극단을 연출하면서 서울예술대학교 연극과 교수를 역임한다. 1984년 극단 목화레파토리컴퍼니를 창단하였고 1990년 목화레파토리극장 충동 1,2를 개관하였다. 이어 1998년 성좌극장대표, 1999년 극장 아룽구지 대표를 맡는다.동시에 99년에 국립극단 예술감독도 맡는다.

작품세계관

오태석의 작품세계는 매우 다양하고 현란한 실험성을 보여주고 있으나 일관된 경향은 전통의 재발견과 현대적 수용을 통한 한국적 연극의 창조라 할 수 있다.

오태석의 작품세계는 1973년에 한국일보 연극영화상 작품상을 수상한 「초분」을 기점으로 초기의 서구적 드라마투르기와 부조리극의 경향으로부터 전통적이고 토속적인 경향으로 선회한다. 또 이 작품으로 미국 공연을 가짐으로써 한국 최초의 해외공연이라는 기록을 남겼다.

미국에서의 다양한 관극체험을 바탕으로 그의 연극세계는 큰 비약을 가져오게 된다. 「」(1974), 「춘풍의 처」(1976), 「물보라」(1978) 등 전통적 색채가 농후한 작품들을 계속하여 발표했다.

1987년 「부자유친」으로 서울연극제 대상, 1991년에 「심청이는 왜 두 번 인당수에 몸을 던졌는가」로 동아연극상 대상, 그리고 1992년 「백구야 껑충 나지마라」로 김수근 문화상을 수상하였다. 1993년에 극단 이름을 목화레퍼터리 컴퍼니로 개명하고 그해 서울연극제 참가작인 「백마강 달밤에」로 1994 한국연극평론가협회상 창작극 부문을 수상하였다. 「」, 「춘풍의 처」, 「부자유친」 등은 일본에서 공연되어 호평을 받기도 하였다.

1970~1980년대를 거치며 한국의 가장 대표적 극작가이자 연출가로 부상한 오태석의 작품세계는 매우 다양하고 현란한 실험성을 보여주고 있으나 일관된 경향은 전통의 재발견과 현대적 수용을 통한 한국적 연극의 창조라 할 수 있다. 이를 그 자신의 표현으로 말하자면 “마당놀이의 뛰어난 부분과 서구 드라마투르의 구조가 편하게 녹아 들어간 무대”가 되는 것이다.

오태석 소개 영상

  • EBS_선생님, 선생님, 우리 선생님-연극연출가 오태석 편

작품 및 저서

<공연>

<저서>

  • 한국 현대희곡선(2017)
  • 백마강 달밤에(1995)
  • 오태석 연극
  • 심청이는 왜 두번 인당수에 몸을 던졌는가(1994)
  • 불효자는 웁니다(1994)
  • 도라지(1994)
  • 천년의 수인(2000)
  • 아프리카(1986)

기타(수상내역 등)

  • 1967 조선일보 신춘문예 '웨딩드레스'당선
  • 1967 한국일보 장막희곡부문 가작
  • 1967 조선일보 신춘문예 당선 서울 연극제 대상
  • 1968 국립극장, 경향신문 공모 '환절기' 당선
  • 1973 작품'초분' 한국일보 연극영화상 작품상 수상/작품'물보라'로 서울비평가그룹 제1회 작품상 수상
  • 1987 작품'부자유친'서울연극제 대상
  • 1991 작품'심청이는 왜 두번 인당수에 몸을 던졌는가'제28회 동아연극상 대상
  • 1992 작품'백구야 껑충 나지마라'로 김수근 문화상 수상
  • 1993 제1회 대산문학상 희곡부문
  • 1994 한국예술평론가협회 최우수예술가
  • 2004 제36회 대한민국 문화예술상
  • 2005 제15회 호암상 예술상
  • 2012 제48회 동아연극상 대상,연출상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오태석 자전거 A는 B를 쓰다
오태석 템페스트 A는 B를 쓰다
오태석 로미오와 줄리엣 A는 B를 쓰다
오태석 초분 A는 B를 쓰다
오태석 춘풍의 처 A는 B를 쓰다
오태석 서천 A는 B에서 태어나다
오태석 연세대학교 A는 B를 졸업하다

참고문헌

playdb사이트 http://www.playdb.co.kr/artistdb/detail.asp?ManNo=2352

네이버 지식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33648&cid=41708&categoryId=41737

작성자 및 기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