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평양 전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개요)
37번째 줄: 37번째 줄:
  
 
== '''과정''' ==
 
== '''과정''' ==
 +
 +
 +
=== '''발발 배경''' ===
 +
  [[일본]]은 1931년 [[만주사변]]으로 만주국을 만든 이후 중국에 항일여론이 거세지자 1937년 [[노구교사건]](루거우차오사건)을 통해서 [[중일전쟁]]을 일으켰다. 그러나 제2차 국공합작을 통한 [[중국]]군의 유격전술로 전쟁은 점차 장기화되어갔다. [[일본]]은 군수물자를 원활하게 공급하기 위해서 인도차이나의 천연자원을 원했기 때문에, [[독일]]·[[이탈리아]]와 더불어 3국 동맹을 맺고, [[인도네시아]] 남부에 병력을 배치하기에 이르렀다. 이에 [[미국]]은 인도차이나와 [[중국]]에서 물러날 것을 요구하며 석유금수조치를 취했고, [[미국]] 내 [[일본]]자산의 동결과 함께 모든 교역의 금지조치를 취했다.
 +
 +
  이미 [[미국]]이 장개석 정부에 계속적으로 지원을 해 주고 있었기 때문에 두 나라의 관계는 이미 전쟁 직전의 상황으로까지 나빠진 상태였다. 게다가 천연자원이 나지 않는 [[일본]]은 [[미국]]이 자원수출을 중지한다면 진행하던 모든 것을 손에서 놓고 물러나든지 동남아시아의 천연자원을 얻든지 양자택일을 해야 했기 때문에 [[미국]]의 태평양 함대가 주둔해 있는 [[진주만]]을 기습하기에 이르렀다.
 +
 +
 +
=== '''전개 과정''' ===
 +
  [[진주만 기습]]은 대성공이었다. [[미국]] 함정 16척과 항공기 177대를 파괴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일본]]군 피해는 다만 항공기 29대에 불과했다. 그러나 [[일본]]의 공격은 두 가지 중요한 점에서 실패했다. [[일본]]이 [[진주만]]을 공격했을 당시 [[태평양]] 함대의 항공모함 3척은 바다에 나가 있어서 피해를 면했고, 이 항공모함들은 그 후 [[미국]] 해군의 초기 태평양 방위체제에서 핵심이 되었다. 또한 [[진주만]] 해안에 있던 군사시설과 유류 저장설비도 피해를 면하여, [[진주만]] 공습으로 [[미국]]이 입은 타격을 신속히 복구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되었다. [[진주만]] 공습으로 [[제1차 세계대전]] 이후 전쟁을 피하고자 했던 [[미국]] 내의 여론은 180도 바뀌어, [[미국]]이 직접적으로 [[제2차 세계대전]]에 개입하는 결과를 낳았다.
 +
 +
  [[일본]]은 순식간에 동남아시아 및 태평양 전역을 점령하기 시작했다. [[필리핀]]을 점령했고, 동남아시아와 [[미얀마]]의 대부분 지역, [[네덜란드]]령 동인도와 [[태평양]]의 많은 섬들을 점령했다. 이에 [[미국]]은 [[오스트레일리아]]와 [[남태평양]]을 잇는 긴 병참선을 확립하여 [[일본]]을 압박하려 하였다.
 +
 +
  미드웨이 해전은 태평양전쟁의 전환점이 되었다. [[일본]]군은 싸움에 결말을 내기 위해 해군력과 공군력을 미드웨이에 쏟아부었다. 그러나 그 후에 벌어진 전투에서 [[미군]]은 [[일본]]의 대형 항공모함 4척을 모두 격침하고, 대형 순양함도 1척 침몰시켰다. [[일본]]이 목표로 한 [[미국]]의 항공모함 요크타운 호는 격침되었지만 미드웨이 섬은 안전했다. [[일본]]은 미드웨이에서 가장 중요한 항공모함과 가장 우수한 해군 조종사를 거의 다 잃어버렸고, 그 후 [[일본]]과 연합군의 해군력은 사실상 역전되기 시작했다.
 +
 +
  이후 연합군은 [[일본]]이 점령한 지역들을 하나하나 탈환하기 시작했다. [[필리핀]]과 보르네이 섬이 연합국의 손에 들어가자 [[일본]]은 더 이상 석유를 수송할 수가 없게 되었고, [[일본]]은 더이상 전쟁을 수행할 수 없는 지경에 처했다. 결정적으로 나가사키와 히로시마에 원자 폭탄이 투하되자 [[일본]]은 1945년 8월 15일 패전을 선언하였다.
  
  
53번째 줄: 69번째 줄:
 
|}
 
|}
 
</onlyinclude>
 
</onlyinclude>
 
 
  
 
== '''관련 콘텐츠''' ==
 
== '''관련 콘텐츠''' ==

2022년 6월 10일 (금) 01:25 판




개요


관련 콘텐츠

RDF 및 네트워크 그래프

RDF

주어(S) 목적어(O) 관계:A는 B를 ~하다(P)
태평양 전쟁 문학잡지 이다
조선문단 월간잡지 이다
조선문단 1924년 창간되었다
조선문단 1936년 종간되었다
조선문단 조선문학사 발행되었다
조선문단 방인근 창간되었다
조선문단 이광수 창간되었다
조선문단 해외문학 소개되었다
조선문단 추천제 실시되었다


네트워크 그래프

출처 및 참고문헌

작성자 및 기여자

안민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