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의 다른 작품"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장편소설)
(출처)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4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2번째 줄: 2번째 줄: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의 후속작'''==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의 후속작'''==
  
(사진 삽입)
+
===그 산이 정말 거기 있었을까===
 +
[[파일:디지콘 그 산이 정말 거기 있었을까.jpg|200px]]
  
(후속 작들의 특징)
+
===그 남자네 집===
 +
[[파일:디지콘 그 남자네 집.jpg|200px]]
  
 
=='''박완서 작가의 책'''==
 
=='''박완서 작가의 책'''==
  
 
=== 장편소설 ===
 
=== 장편소설 ===
* 나목 (1970)
+
*나목 (1970)
* 목마른 계절 (1971~1972)
+
*목마른 계절 (1971~1972)
* 도시의 흉년 (1975~1979)
+
*도시의 흉년 (1975~1979)
* 휘청거리는 오후 (1976)
+
*휘청거리는 오후 (1976)
* 욕망의 응달 (1978~1979)
+
*욕망의 응달 (1978~1979)
* 살아 있는 날의 시작 (1979~1980)
+
*살아 있는 날의 시작 (1979~1980)
* 오만과 몽상 (1980~1982)
+
*오만과 몽상 (1980~1982)
* 그 해 겨울은 따뜻했네 (1982~1983)
+
*그 해 겨울은 따뜻했네 (1982~1983)
* 서 있는 여자 (1982~1983)
+
*서 있는 여자 (1982~1983)
* 미망 (1985~1990)
+
*미망 (1985~1990)
* 그대 아직도 꿈꾸고 있는가 (1989)
+
*그대 아직도 꿈꾸고 있는가 (1989)
*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1992)
+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1992)
* 그 산이 정말 거기 있었을까 (1995)
+
[[파일:디지콘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jpg|200px]]
* 아주 오래된 농담 (1999~2000)
+
*그 산이 정말 거기 있었을까 (1995)
* 그 남자네 집 (2004)
+
*아주 오래된 농담 (1999~2000)
 +
*그 남자네 집 (2004)
  
 
=== 단편소설 ===
 
=== 단편소설 ===
* 부끄러움을 가르칩니다 (1974) - 1976년 출간된 첫 번째 소설집의 표제작. <세모>, <어떤 나들이>, <세상에서 제일 무거운 틀니>, <부처님 근처>, <지렁이 울음소리>, <주말농장>, <맏사위>, <연인들>, <이별의 김포공항>, <어느 시시한 사내 이야기>, <닮은 방들>, <부끄러움을 가르칩니다>, <재수굿>, <카메라와 워커>, <도둑맞은 가난>, <서글픈 순방>, <겨울 나들이>, <저렇게 많이!>의 18편의 단편과 콩트 <다이아몬드>가 수록되어 있다.
+
 
* 도둑맞은 가난 (1975)
+
*부끄러움을 가르칩니다 (1974)  
* [[배반의 여름]] (1976) - 1978년 출간된 2번째 소설집의 표제작. <어떤 야만>, <포말의 집>, <배반의 여름>, <조그만 체험기>, <흑과부>, <더위먹은 버스>, <>, <여인들>, <그 살벌했던 날의 할미꽃>, <낙토의 아이들>, <꿈과 같이>, <공항에서 만난 사람>, <집보기는 그렇게 끝났다>의 13편의 단편과 콩트 <화랑에서의 포식>이 수록되어 있다.
+
** 세모, 어떤 나들이, 세상에서 제일 무거운 틀니, 부처님 근처, 지렁이 울음소리, 주말농장, 맏사위, 연인들, 이별의 김포공항, 어느 시시한 사내 이야기, 닮은 방들, 부끄러움을 가르칩니다, 재수굿, 카메라와 워커, 도둑맞은 가난, 서글픈 순방, 겨울 나들이, 저렇게 많이!, 다이아몬드 수록.
* 엄마의 말뚝 (1980~1991) - 3편으로 된 연작이자 1982년 출간된 3번째 소설집의 표제작. <엄마의 말뚝 1>, <엄마의 말뚝 2>, <그 가을의 사흘 동안>, <우리들의 부자>, <천변풍경>, <육복>, <추적자>, <침묵과 실어>, <내가 놓친 화합>, <황혼>의 10편의 단편이 수록되어 있다.
+
 
* 그 가을의 사흘 동안 (1980)
+
*도둑맞은 가난 (1975)
* 꽃을 찾아서 (1986) - 1986년 출간된 4번째 소설집의 표제작. <꽃을 찾아서>, <재이산>, <아저씨의 훈장>, <저녁의 해후>, <비애의 장>, <어느 이야기꾼의 수렁>, <해산바가지>, <울음소리>, <애보기가 쉽다고?>, <무서운 아이들>, <저물녘의 황홀>, <그의 외롭고 쓸쓸한 밤>, <지 알고 내 알고 하늘이 알건만>의 13편의 단편이 수록되어 있다.
+
 
* 저문 날의 삽화 (1987~1988) - 5편으로 된 연작이자 1991년 출간된 5번째 소설집의 표제작. <로열 박스>, <무중>, <소묘>, <초대>, <저문 날의 삽화 1>, <저문 날의 삽화 2>, <저문 날의 삽화 3>, <저문 날의 삽화 4>, <저문 날의 삽화 5>, <복원되지 못한 것들을 위하여>, <>, <우황청심환>, <엄마의 말뚝 3>, <여덟 개의 모자로 남은 당신>의 14편의 단편이 수록되어 있다.
+
*배반의 여름 (1976)
* 꿈꾸는 인큐베이터 (1993)
+
** 어떤 야만, 포말의 집, 배반의 여름, 조그만 체험기, 흑과부, 더위먹은 버스, 상, 여인들, 그 살벌했던 날의 할미꽃, 낙토의 아이들, 꿈과 같이, 공항에서 만난 사람, 집보기는 그렇게 끝났다, 화랑에서의 포식 수록.
* 나의 가장 나종 지니인 것 (1993)
+
 
* 그 여자네 집 (1997)
+
*엄마의 말뚝 (1980~1991) 엄마의 말뚝 1, 엄마의 말뚝 2 [[파일:디지콘 엄마의 말뚝 2.jpg|100px]], 그 가을의 사흘 동안, 우리들의 부자, 천변풍경, 육복, 추적자, 침묵과 실어, 내가 놓친 화합, 황혼 수록
* 너무도 쓸쓸한 당신 (1997) - 1998년 출간된 일곱 번째 소설집의 표제작. <마른 꽃>, <환각의 나비>, <참을 수 없는 비밀>, <길고 재미없는 영화가 끝나갈 때>, <너무도 쓸쓸한 당신>, <그 여자네 집>, <꽃잎 속의 가시>, <공놀이하는 여자>, <J-1 비자>의 9편의 단편과 콩트 <나의 웬수덩어리>가 수록되어 있다.
+
 
* 그리움을 위하여 (2001)
+
*그 가을의 사흘 동안 (1980)
* 친절한 복희씨(2006) - 2007년 출간된 8번째 소설집의 표제작. <그리움을 위하여>, <그 남자네 집>, <마흔아홉 살>, <후남아, 밥 먹어라>, <거저나 마찬가지>, <촛불 밝힌 식탁>, <대범한 밥상>, <친절한 복희씨>, <그래도 해피 엔드>의 9편의 단편이 수록되어 있다.
+
** 꽃을 찾아서 (1986) 꽃을 찾아서, 재이산, 아저씨의 훈장, 저녁의 해후, 비애의 장, 어느 이야기꾼의 수렁, 해산바가지, 울음소리, 애보기가 쉽다고?, 무서운 아이들, 저물녘의 황홀, 그의 외롭고 쓸쓸한 밤, 지 알고 내 알고 하늘이 알건만 수록
* 기나긴 하루 (2012) - 사후에 출간된 마지막 소설집으로, 말년에 발표된 단편들인 <석양을 등에 지고 그림자를 밟다>, <빨갱이 바이러스>, <갱년기의 기나긴 하루>가 수록되어 있다.
+
 
 +
* 저문 날의 삽화 (1987~1988)
 +
**로열 박스, 무중, 소묘, 초대, 저문 날의 삽화 1, 저문 날의 삽화 2, 저문 날의 삽화 3, 저문 날의 삽화 4, 저문 날의 삽화 5, 복원되지 못한 것들을 위하여, 가, 우황청심환, 엄마의 말뚝 3, 여덟 개의 모자로 남은 당신 수록
 +
 
 +
* 꿈꾸는 인큐베이터 (1993)
 +
 
 +
* 나의 가장 나종 지니인 것 (1993)
 +
 
 +
* 그 여자네 집 (1997)
 +
 
 +
* 너무도 쓸쓸한 당신 (1997)  
 +
** 마른 꽃, 환각의 나비, 참을 수 없는 비밀, 길고 재미없는 영화가 끝나갈 때, 너무도 쓸쓸한 당신, 그 여자네 집, 꽃잎 속의 가시, 공놀이하는 여자, J-1 비자의 9편의 단편과 콩트 나의 웬수덩어리 수록.
 +
 
 +
* 그리움을 위하여 (2001)
 +
 
 +
* 친절한 복희씨(2006)
 +
** 그리움을 위하여, 그 남자네 집, 마흔아홉 살, 후남아, 밥 먹어라, 거저나 마찬가지, 촛불 밝힌 식탁, 대범한 밥상, 친절한 복희씨, 그래도 해피 엔드 수록.
 +
 
 +
*기나긴 하루 (2012) 석양을 등에 지고 그림자를 밟다, 빨갱이 바이러스, 갱년기의 기나긴 하루 수록.
  
 
=== 기타 ===
 
=== 기타 ===
* 마지막 임금님
+
*마지막 임금님
* 꼴찌에게 보내는 갈채
+
*꼴찌에게 보내는 갈채
* 달걀은 달걀로 갚으렴
+
*달걀은 달걀로 갚으렴
* [[자전거 도둑#s-3]]
+
*자전거 도둑
* 나의 아름다운 이웃
+
[[파일:디지콘 자전거 도둑.jpg|200px]]
* 한 말씀만 하소서 - 1994년 출간된 6번째 작품집의 표제작으로, 일기 <한 말씀만 하소서>와 함께 <나의 가장 나종 지니인 것>, <가는 비, 이슬비> <티타임의 모녀>, <꿈꾸는 인큐베이터>, <오동의 숨은 소리여>의 5편의 단편이 실려 있다.
+
*나의 아름다운 이웃
* 못 가본 길이 더 아름답다
+
*한 말씀만 하소서 일기  
* [[옥상의 민들레꽃]] - 동화 형식의 단편소설. [[자살]]과 [[부동산]] 문제 등의 사회문제가 소재로 쓰였다. 중1 국어 교과서에도 수록되었다. 작중에 물질만 생각하는 어른들도 있으니 [[문화 지체]]를 보여주는 예로도 볼 수 있다.
+
**한 말씀만 하소서,나의 가장 나종 지니인 것, 가는 비, 이슬비,티타임의 모녀, 꿈꾸는 인큐베이터, 오동의 숨은 소리여.
* 10주기 추모 에세이 '모래알만 한 진실이라도'
+
*못 가본 길이 더 아름답다
* '정확하고 완전한 사랑의 기억'(맏딸 호원숙 작가)
+
*옥상의 민들레꽃
 +
*10주기 추모 에세이  
 +
**모래알만 한 진실이라도,정확하고 완전한 사랑의 기억
  
(표로 만들기 년도, 제목) (사진 삽입)
+
=='''소설 외 다른 작품'''==
  
(다른 작품들의 특징)
+
===전시===
 +
 
 +
나무와 두 여인(박수근 미술관)(2020.05.16 ~ 2021.04.18)
 +
 
 +
지금 여기 박완서(성북 예술 창작터)(2018.12.13 ~ 2019.01.22)
 +
 
 +
===영화===
 +
 
 +
20세기를 기억하는 슬기롭고 지혜로운 방법 (주연) (개봉 2008)
 +
 
 +
텐 텐 (주연) (본인 역)
 +
 
 +
그 해 겨울은 따뜻했네 (원작자) (1984.09.29)
 +
 
 +
휘청거리는 오후 (원작자) (1973.01.17)
  
 
=='''수상 이력'''==
 
=='''수상 이력'''==
  
(사진 삽입)
+
*'''제5회 [[이상문학상]] 수상'''
 +
**'''엄마의 말뚝 2(1981)'''
 +
 
 +
*'''제38회 [[현대문학상]] 수상'''
 +
**'''꿈꾸는 인큐베이터 (1993)'''
 +
 
 +
*'''제25회 동인문학상 수상'''
 +
**'''나의 가장 나종 지니인 것(1994)'''
 +
 
 +
*'''제1회 황순원문학상 수상'''
 +
**'''그리움을 위하여(2001)'''
 +
 
 +
[[파일:디지콘 엄마의 말뚝 2.jpg|180px]][[파일:디지콘 꿈꾸는 인큐베이터.jpg|180px]][[파일:디지콘 나의 가장 나종지니인것.jpg|180px]] [[파일:디지콘 그리움을 위하여.jpg|180px]]
 +
 
 +
=='''출처'''==
 +
 
 +
네이버 박완서 프로필
 +
 
 +
박완서 지식 백과
 +
 
 +
박완서 나무위키
 +
 
 +
YES 24

2022년 6월 21일 (화) 15:25 기준 최신판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의 후속작

그 산이 정말 거기 있었을까

디지콘 그 산이 정말 거기 있었을까.jpg

그 남자네 집

디지콘 그 남자네 집.jpg

박완서 작가의 책

장편소설

  • 나목 (1970)
  • 목마른 계절 (1971~1972)
  • 도시의 흉년 (1975~1979)
  • 휘청거리는 오후 (1976)
  • 욕망의 응달 (1978~1979)
  • 살아 있는 날의 시작 (1979~1980)
  • 오만과 몽상 (1980~1982)
  • 그 해 겨울은 따뜻했네 (1982~1983)
  • 서 있는 여자 (1982~1983)
  • 미망 (1985~1990)
  • 그대 아직도 꿈꾸고 있는가 (1989)
  •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1992)

디지콘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jpg

  • 그 산이 정말 거기 있었을까 (1995)
  • 아주 오래된 농담 (1999~2000)
  • 그 남자네 집 (2004)

단편소설

  • 부끄러움을 가르칩니다 (1974)
    • 세모, 어떤 나들이, 세상에서 제일 무거운 틀니, 부처님 근처, 지렁이 울음소리, 주말농장, 맏사위, 연인들, 이별의 김포공항, 어느 시시한 사내 이야기, 닮은 방들, 부끄러움을 가르칩니다, 재수굿, 카메라와 워커, 도둑맞은 가난, 서글픈 순방, 겨울 나들이, 저렇게 많이!, 다이아몬드 수록.
  • 도둑맞은 가난 (1975)
  • 배반의 여름 (1976)
    • 어떤 야만, 포말의 집, 배반의 여름, 조그만 체험기, 흑과부, 더위먹은 버스, 상, 여인들, 그 살벌했던 날의 할미꽃, 낙토의 아이들, 꿈과 같이, 공항에서 만난 사람, 집보기는 그렇게 끝났다, 화랑에서의 포식 수록.
  • 엄마의 말뚝 (1980~1991) 엄마의 말뚝 1, 엄마의 말뚝 2 디지콘 엄마의 말뚝 2.jpg, 그 가을의 사흘 동안, 우리들의 부자, 천변풍경, 육복, 추적자, 침묵과 실어, 내가 놓친 화합, 황혼 수록
  • 그 가을의 사흘 동안 (1980)
    • 꽃을 찾아서 (1986) 꽃을 찾아서, 재이산, 아저씨의 훈장, 저녁의 해후, 비애의 장, 어느 이야기꾼의 수렁, 해산바가지, 울음소리, 애보기가 쉽다고?, 무서운 아이들, 저물녘의 황홀, 그의 외롭고 쓸쓸한 밤, 지 알고 내 알고 하늘이 알건만 수록
  • 저문 날의 삽화 (1987~1988)
    • 로열 박스, 무중, 소묘, 초대, 저문 날의 삽화 1, 저문 날의 삽화 2, 저문 날의 삽화 3, 저문 날의 삽화 4, 저문 날의 삽화 5, 복원되지 못한 것들을 위하여, 가, 우황청심환, 엄마의 말뚝 3, 여덟 개의 모자로 남은 당신 수록
  • 꿈꾸는 인큐베이터 (1993)
  • 나의 가장 나종 지니인 것 (1993)
  • 그 여자네 집 (1997)
  • 너무도 쓸쓸한 당신 (1997)
    • 마른 꽃, 환각의 나비, 참을 수 없는 비밀, 길고 재미없는 영화가 끝나갈 때, 너무도 쓸쓸한 당신, 그 여자네 집, 꽃잎 속의 가시, 공놀이하는 여자, J-1 비자의 9편의 단편과 콩트 나의 웬수덩어리 수록.
  • 그리움을 위하여 (2001)
  • 친절한 복희씨(2006)
    • 그리움을 위하여, 그 남자네 집, 마흔아홉 살, 후남아, 밥 먹어라, 거저나 마찬가지, 촛불 밝힌 식탁, 대범한 밥상, 친절한 복희씨, 그래도 해피 엔드 수록.
  • 기나긴 하루 (2012) 석양을 등에 지고 그림자를 밟다, 빨갱이 바이러스, 갱년기의 기나긴 하루 수록.

기타

  • 마지막 임금님
  • 꼴찌에게 보내는 갈채
  • 달걀은 달걀로 갚으렴
  • 자전거 도둑

디지콘 자전거 도둑.jpg

  • 나의 아름다운 이웃
  • 한 말씀만 하소서 일기
    • 한 말씀만 하소서,나의 가장 나종 지니인 것, 가는 비, 이슬비,티타임의 모녀, 꿈꾸는 인큐베이터, 오동의 숨은 소리여.
  • 못 가본 길이 더 아름답다
  • 옥상의 민들레꽃
  • 10주기 추모 에세이
    • 모래알만 한 진실이라도,정확하고 완전한 사랑의 기억

소설 외 다른 작품

전시

나무와 두 여인(박수근 미술관)(2020.05.16 ~ 2021.04.18)

지금 여기 박완서(성북 예술 창작터)(2018.12.13 ~ 2019.01.22)

영화

20세기를 기억하는 슬기롭고 지혜로운 방법 (주연) (개봉 2008)

텐 텐 (주연) (본인 역)

그 해 겨울은 따뜻했네 (원작자) (1984.09.29)

휘청거리는 오후 (원작자) (1973.01.17)

수상 이력

  • 제25회 동인문학상 수상
    • 나의 가장 나종 지니인 것(1994)
  • 제1회 황순원문학상 수상
    • 그리움을 위하여(2001)
디지콘 엄마의 말뚝 2.jpg디지콘 꿈꾸는 인큐베이터.jpg디지콘 나의 가장 나종지니인것.jpg 디지콘 그리움을 위하여.jpg

출처

네이버 박완서 프로필

박완서 지식 백과

박완서 나무위키

YES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