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자 모자원숭이모양 연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37번째 줄: 37번째 줄:
 
===소유(관리)===
 
===소유(관리)===
 
*간송미술관
 
*간송미술관
*[http://kansong.org/ 간송미술문화재단]
+
 
 +
[http://kansong.org/ 간송미술문화재단]
  
  

2022년 11월 26일 (토) 04:00 판

청자 모자원숭이모양 연적

지정유형

  • 국보

지정일

  • 1992.4.20.

종류

  • 유물/공예

시대

  • 고려시대

시기

  • 미상

비고

  • 12세기 전반 제작 추정

소재지

  •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로 102-11 (성북동, 간송미술관)
지도를 불러오는 중...

소유(관리)

  • 간송미술관

간송미술문화재단


설명

간송미술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도자 공예품이다.

고려시대 만들어진 원숭이 모양의 청자 연적(먹을 갈 때 벼루에 따를 물을 담아 두는 그릇)이다.

크기는 높이 9.8cm, 몸통 지름 6.0cm이다.

원숭이 어미 머리 위에는 직경 1cm 정도의 물을 넣는 구멍이 나 있고, 새끼의 머리 위에는 직경 0.3cm 크기의 물을 따르는 구멍이 각각 뚫려 있다.

1146년에 제작된 청자과형화병, 청자합과 유약의 색깔이 동일하여 12세기 전반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고려청자 연적 중 원숭이 모양의 연적은 드물며 더욱이 모자(母子) 모양으로서는 유일한 예이다.

1992년 4월 20일 국보로 지정되었다.

사진


















작성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