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화봉사고려도경"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작품 설명)
(작품 설명)
41번째 줄: 41번째 줄:
 
*이 문헌은 모두 40권 29류로 구성되어 있고, 그 아래에 3백여 세목으로 구분되어 있다.
 
*이 문헌은 모두 40권 29류로 구성되어 있고, 그 아래에 3백여 세목으로 구분되어 있다.
  
*책의 명칭에서 보듯이, 1123년 [[휘종]](徽宗)의 명을 받고 사절로 고려에 와서 견문한 고려의 여러 가지 실정을 그림과 글로 설명했기 때문에 ‘도경'이라 칭하였다
+
*책의 명칭에서 보듯이, 1123년 [[휘종]](徽宗)의 명을 받고 사절로 고려에 와서 견문한 고려의 여러 가지 실정을 그림과 글로 설명했기 때문에 ‘도경'이라 칭하였다.
  
 
==관련 자료==
 
==관련 자료==

2022년 11월 28일 (월) 08:41 판

선화봉사고려도경.jpg

기본 정보

지정유형 문헌
성격 견문록
시대 고려
분야 고려시대
제작시기 1123년
권수 40권
편저자 서긍
간행자 중국 송

작품 소개

『선화봉사고려도경(宣和奉使高麗圖經)』은 1123년에 송나라국신사일행으로 고려에 온 송나라 사신 서긍(徐兢)이 저술한 견문록이다. 정식명칭은 『선화봉사고려도경(宣和奉使高麗圖經)』이지만, 흔히 줄여서 『고려도경』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작품 설명

  • 서긍은 한 달 남짓 고려에 머물면서 사신으로 공식적인 일정을 수행하였고 그 사이에 5~6차례의 외유를 다녀올 수 있었다. 서긍은 3개월간의 고려 방문 왕복 일정을 상세히 기록하였고 한 달 남짓의 고려 체류 기간 동안에 보고 들은 고려의 역사, 정치, 경제, 종교, 문화 등 각 방면의 정보를 글과 그림으로 세세히 서술하였다.좀 더 상세하게 보자면, 고려시대개경의 모습과 아울러 각종 풍습과 신앙, 생활모습 등이 다양하게 기록되어 있다. 이런 선화봉사고려도경은 고려사나 고려사절요에 한정된 고려시대의 기록을 보완해주고, 고려시대의 생활을 이해하는데 매우 귀중한 사료이다.
  • 이 문헌은 모두 40권 29류로 구성되어 있고, 그 아래에 3백여 세목으로 구분되어 있다.
  • 책의 명칭에서 보듯이, 1123년 휘종(徽宗)의 명을 받고 사절로 고려에 와서 견문한 고려의 여러 가지 실정을 그림과 글로 설명했기 때문에 ‘도경'이라 칭하였다.

관련 자료

사진 자료

영상 자료

  • KBS HD역사스페셜 30회 – 송나라 사신이 그린 천 년 전 국제도시 개경

문헌 자료

  • 12세기 중국인 서긍의 고려 여행기(eBook)

선화봉사고려도경 책.jpg

그 외 자료

작성자 및 기여자

디지털과 지식콘텐츠(22-2) 수업의 일환으로 작성.
작성자 한성현

나전칠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