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홍도 필 마상청앵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21번째 줄: 21번째 줄:
 
|}
 
|}
  
간송미술관이 보유하고 있는 18세기 화가 [[김홍도]](1745~1806 이후)의 회화. 2018.2.22.에 보물로 지정되었다.
+
간송미술관이 보유하고 있는 18세기 화가 [[김홍도]](1745~1806 이후)의 회화. 2018.2.22.에 대한민국의 보물 제 1970호로 지정되었다.
  
 
='''작품 설명'''=
 
='''작품 설명'''=
30번째 줄: 30번째 줄:
 
=='''역사성'''==
 
=='''역사성'''==
 
이 작품은 김홍도의 화면 위에 동료 화가였던 [[이인문]](李寅文, 1745~1824)의 시문이 쓰여 있어 두 사람의 교류를 알게 해 준다는 점에서 역사성이 높다.
 
이 작품은 김홍도의 화면 위에 동료 화가였던 [[이인문]](李寅文, 1745~1824)의 시문이 쓰여 있어 두 사람의 교류를 알게 해 준다는 점에서 역사성이 높다.
==
+
=소재지=
 +
'''간송미술관'''
 +
<div>
 +
{{
 +
#display_map:
 +
37.593904, 126.996856~[[간송 미술관]]
 +
|service=googlemaps3
 +
|width=300
 +
|height=300
 +
|type=normal
 +
|overlays=videos-1,wikipedia
 +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
}}​
 +
</div>
 +
 
 
=미디어 위키=
 
=미디어 위키=
 
*[[김현희]]에 의해 작성된 페이지입니다.(2022.11.03.)
 
*[[김현희]]에 의해 작성된 페이지입니다.(2022.11.03.)
 
[[분류:보물]][[분류:김홍도]][[분류:유물]][[분류:일반회화]][[분류:풍속화]][[분류:조선시대]][[분류:18세기]][[분류:19세기]][[분류:성북동]][[분류:성북구의 문화재]][[분류:간송미술관]]
 
[[분류:보물]][[분류:김홍도]][[분류:유물]][[분류:일반회화]][[분류:풍속화]][[분류:조선시대]][[분류:18세기]][[분류:19세기]][[분류:성북동]][[분류:성북구의 문화재]][[분류:간송미술관]]

2022년 11월 28일 (월) 17:07 판

김홍도 필 마상청앵도.jpg

사진: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이름 김홍도 필 마상청앵도
지정유형 보물
지정일 2018.02.22
소재지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로 102-11 (성북동, 간송미술관)
수량/면적 1폭
분류 유물 / 일반회화 / 풍속화
관리자(관리단체) 간송미술문화재단
시대 조선시대, 18세기 말 ~ 19세기 초

간송미술관이 보유하고 있는 18세기 화가 김홍도(1745~1806 이후)의 회화. 2018.2.22.에 대한민국의 보물 제 1970호로 지정되었다.

작품 설명

조선의 풍속을 소재로 삼아 자연과 교감하는 인간의 세심한 모습을 서정성 깊게 표현한 작품이다. 시동(侍童)을 대동한 선비가 말을 타고 길을 가던 중 꾀꼬리 한 쌍이 노니는 소리에 말을 멈추고 시선을 돌려 버드나무 위의 꾀꼬리를 무심히 바라보는 모습을 그린 것. 조선 풍속화 중 가장 서정미가 뛰어난 작품으로 학술적, 예술적 가치가 높다.

기법과 정서

인물 묘사에 사용된 섬세한 필선, 말과 마구에 사용된 부드러운 필법, 선비의 시선과 표정, 대담한 공간감 등이 잘 어우러져 김홍도 한국적인 정서가 잘 표출되었다.

역사성

이 작품은 김홍도의 화면 위에 동료 화가였던 이인문(李寅文, 1745~1824)의 시문이 쓰여 있어 두 사람의 교류를 알게 해 준다는 점에서 역사성이 높다.

소재지

간송미술관

지도를 불러오는 중...

미디어 위키

  • 김현희에 의해 작성된 페이지입니다.(2022.1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