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청사기 음각어문 편병"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참고문헌)
(내용)
31번째 줄: 31번째 줄:
 
=='''내용'''==
 
=='''내용'''==
  
조선시대 전기에 제작된 분청사기 편병으로 1974년 국보로 지정되었고, 배 부분이 앞·뒤 양면으로 납작한 편평한 모양이며, 크기는 높이 22.6㎝, 입지름 4.5㎝, 밑지름 8.7㎝이다.
+
조선시대 전기에 제작된 [[분청사기]] [[편병]]으로 1974년 국보로 지정되었고, 배 부분이 앞·뒤 양면으로 납작한 편평한 모양이며, 크기는 높이 22.6㎝, 입지름 4.5㎝, 밑지름 8.7㎝이다.
 +
 
 +
 
 +
백토분장(白土粉粧)을 두껍게 입히고 [[조화]](彫花)기법으로 무늬를 그린 위에 연한 청색의 투명한 유약을 칠하였다. 앞·뒷면과 옆면에 서로 다른 무늬와 위로 향한 두 마리의 물고기를 생동감이 넘치는 선으로 나타냈다. 물고기 무늬는 분청사기 조화수법의 특징을 충분히 표현하고 있는데 [[조화수법]]이란 백토로 분장한 그릇에 선으로 음각의 무늬를 새겨넣고 백토를 긁어내어 하얀선으로 된 문양을 만드는 기법이다. 양 옆면은 세 부분으로 나누어 위와 중간에 4엽 모란무늬을 새기고, 배경을 긁어냈으며 아랫부분에는 파초를 넣었다.
  
백토분장(白土粉粧)을 두껍게 입히고 조화(彫花)기법으로 무늬를 그린 위에 연한 청색의 투명한 유약을 칠하였다. 앞·뒷면과 옆면에 서로 다른 무늬와 위로 향한 두 마리의 물고기를 생동감이 넘치는 선으로 나타냈다. 물고기 무늬는 분청사기 조화수법의 특징을 충분히 표현하고 있는데 조화수법이란 백토로 분장한 그릇에 선으로 음각의 무늬를 새겨넣고 백토를 긁어내어 하얀선으로 된 문양을 만드는 기법이다. 양 옆면은 세 부분으로 나누어 위와 중간에 4엽 모란무늬을 새기고, 배경을 긁어냈으며 아랫부분에는 파초를 넣었다.
 
  
 
바탕흙은 회청색으로 백토분장이 된 곳과 분장이 안 된 곳과의 대조가 선명하다.
 
바탕흙은 회청색으로 백토분장이 된 곳과 분장이 안 된 곳과의 대조가 선명하다.

2022년 11월 28일 (월) 17:51 판

분청사기 음각어문 편병

(粉靑沙器 陰刻魚文 扁甁)

Buncheong Flat Bottle with Incised Fish Design

소개

이름 분청사기 음각어문 편병
지정유형 국보
분류 유물 / 생활공예 / 토도자공예 / 분청
지정일 1974.07.09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수량/면적 1개
시대 [[조선시대(16세기)
소유자 박***
관리자 국립중앙박물관

내용

조선시대 전기에 제작된 분청사기 편병으로 1974년 국보로 지정되었고, 배 부분이 앞·뒤 양면으로 납작한 편평한 모양이며, 크기는 높이 22.6㎝, 입지름 4.5㎝, 밑지름 8.7㎝이다.


백토분장(白土粉粧)을 두껍게 입히고 조화(彫花)기법으로 무늬를 그린 위에 연한 청색의 투명한 유약을 칠하였다. 앞·뒷면과 옆면에 서로 다른 무늬와 위로 향한 두 마리의 물고기를 생동감이 넘치는 선으로 나타냈다. 물고기 무늬는 분청사기 조화수법의 특징을 충분히 표현하고 있는데 조화수법이란 백토로 분장한 그릇에 선으로 음각의 무늬를 새겨넣고 백토를 긁어내어 하얀선으로 된 문양을 만드는 기법이다. 양 옆면은 세 부분으로 나누어 위와 중간에 4엽 모란무늬을 새기고, 배경을 긁어냈으며 아랫부분에는 파초를 넣었다.


바탕흙은 회청색으로 백토분장이 된 곳과 분장이 안 된 곳과의 대조가 선명하다.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지도를 불러오는 중...

관련자료

사진 자료

분청사기 음각어문 편병.jpg

참고문헌

『분청사기연구』(강경숙,일지사,1986)

『국보』-백자·분청사기-(정양모 편,예경산업사,1984)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그 외 자료

분청사기 음각어문 편병

작성자 및 기여자

디지털과 지식콘텐츠(22-2) 수업의 일환으로 작성.
작성자 장유진

분청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