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무외인(施無畏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gallery)
(gallery)
32번째 줄: 32번째 줄:
 
<br/>
 
<br/>
 
==gallery==
 
==gallery==
[https://terms.naver.com/imageDetail.naver?docId=901848&imageUrl=https%3A%2F%2Fdbscthumb-phinf.pstatic.net%2F0905_000_1%2F20120130134449946_QP60LBGBR.jpg%2Fac2_5392_i1.jpg%3Ftype%3Dm4500_4500_fst_n%26wm%3DY 시무외인]
+
[[https://terms.naver.com/imageDetail.naver?docId=901848&imageUrl=https%3A%2F%2Fdbscthumb-phinf.pstatic.net%2F0905_000_1%2F20120130134449946_QP60LBGBR.jpg%2Fac2_5392_i1.jpg%3Ftype%3Dm4500_4500_fst_n%26wm%3DY]]
 
[[파일:시무외인.jpg|400px]]
 
[[파일:시무외인.jpg|400px]]
  

2022년 11월 28일 (월) 23:46 판


소개

불교에서 여래나 보살이 취하는 수인(手印: Mudra) 중 하나이다. 이포외인 (離怖畏印)이라고도 한다. 말 그대로 중생에게 무외(無畏)를 베풀어 공포로부터 벗어나게 하고, 우환과 고난을 해소시키는 대자의 덕을 보이는 인상이다. 손의 모습은 오른손을 꺾어 어깨높이까지 올리고 다섯 손가락을 가지런히 펴서 손바닥이 밖으로 향하게 한 형태이다. 나를 믿으면 두려움이 없어진다는 뜻이다. 여원인(與願印)과 함께 한국 삼국 시대의 불상에서 그 종류와 관계없이 모두 취하고 있는 인상이다. 그래서 이 둘을 통인(通印)이라 한다. 여원인과 마찬가지로 부처님이 이 수인을 한 때와 장소가 뚜렷하지 않기 때문에 불상이 이 수인을 하였다고 해서 그것이 어떤 장소, 어떤 의미를 나타낸 것인지 확실치 않다.


gallery

[[1]] 시무외인.jpg

참조항목

불상, 여원인

역참조항목

청원 비중리 석조여래입상, 청원 영하리 석조여래좌상, 청원 괴정리 석조여래입상, 청원 산덕리 출토 금동여래입상, 공산성 출토 금동여래입상

관련 자료

영상 자료

역사

  • 간송 전형필의 문화재 사랑과 훈민정음 해례본 [만화로 즐기는 한글 이야기]
  • 훈민정음 1부 한글해설서, 훈민정음 해례본

드라마, 영화

예능

  • 눈먼 임금의 백성들을 위한 마지막 선물, ′훈민정음 해례본′ 차이나는 클라스 61회
  • The Brainiacs 훈민정음 해례본, 지금까지 전해질 수 있었던 이유 180814 EP.168
  • [신비한TV 서프라이즈] 세종대왕의 한글 창제부터 훈민정음 해례본이 현대에 전해지기까지! 역사 속 한글을 둘러싼 이야기가 펼쳐진다!, MBC 221009 방송

참고 문서

훈민정음 QR코드







 문화유산인 <훈민정음>에 대한 해설을 문화재청이 만든 서비스 '나만의 문화유산 해설사'를 통해 볼 수 있는 QR코드 입니다.

작성자 및 기여자

디지털과 지식콘텐츠(22-2) 수업의 일환으로 작성.
작성자 천성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