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하담소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200px 사진: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원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이름||'''송하담소도(松下談笑圖)''' |- |...)
 
35번째 줄: 35번째 줄:
 
다음은 제시의 내용이다.
 
다음은 제시의 내용이다.
  
{{인용문
+
{| class="wikitable"
|내용 = 중년에 이르러 자못 불교를 좋아하여/늙어서 집을 남산가에 터잡았네
+
|중년에 이르러 자못 불교를 좋아하여/늙어서 집을 남산가에 터잡았네<br>
흥이 오르면 매번 혼자 떠나가니/뛰어난 경치를 그저 나만 알뿐이네//
+
 
걸음이 다다르니 물이 끊긴 그곳이오/앉아서 바라보니 구름 이는 그 때로다
+
흥이 오르면 매번 혼자 떠나가니/뛰어난 경치를 그저 나만 알뿐이네//<br>
 +
 
 +
걸음이 다다르니 물이 끊긴 그곳이오/앉아서 바라보니 구름 이는 그 때로다<br>
 +
 
 
우연히 숲의 나무꾼 늙은이를 만나/이야기하고 웃느라 돌아갈 줄 모르네//
 
우연히 숲의 나무꾼 늙은이를 만나/이야기하고 웃느라 돌아갈 줄 모르네//
}}
+
|}
 +
 
 +
='''여담'''=
 +
[[김홍도]]가 쓴 제시는 구의 순서가 바뀌었거나 글자를 빼 먹는 등의 실수가 보이는데, 이를 통해 당시의 흥이 무르익어가는 분위기를 상상할 수 있다.
 +
시구를 적어 놓은 글 말미에 그림이 완성된 시간, 함께 있었던 친구들의 이름이 적혀있다.
 +
 
 +
=미디어 위키=
 +
*[[김현희]]에 의해 작성된 페이지입니다.(2022.11.03.)
 +
 
 +
=출처=
 +
[https://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25365 국립중앙박물관], [https://7-luck.tistory.com/28 칠복선사]
 +
 
 +
[[분류:이인문]][[분류:김홍도]][[분류:일반회화]][[분류:조선시대]][[분류:18세기]][[분류:19세기]][[분류:국립중앙박물관]]

2022년 11월 30일 (수) 16:37 판

송하담소도.jpg

사진: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원

이름 송하담소도(松下談笑圖)
이명 이인문필 산수도(李寅文筆山水圖)
작가 이인문
종류 수묵채색화
분류 문화예술/서화/회화/일반회화
크기 세로 109.4cm, 가로 57.9cm
소재지 국립중앙박물관
시대 조선시대

국립중앙박물관이 보유하고 있는 18세기 화원 이인문(1745 ~ 1824)의 회화.

작품 설명

<송하담소도(松下談笑圖)>는 1805년 61세의 이인문이 제작한 만년작품의 하나로 그의 구도상 특징과 활달한 운필법이 잘 드러난 대표작이다. 힘찬 필력으로 그려 올린 소나무 아래 두 사람이 앉아 이야기를 하고 있는 모습이 담겨 있다. 송하담소(松下談笑)는 '소나무 아래 이야기꽃이 피다." 라는 뜻이다. 일반적으로 <송하담소도>, <송하한담도>로 알려져있는데, 국립중앙박물관에서는 <이인문필 산수도(李寅文筆山水圖)>로 소개하고 있다.

특징

<송하담소도>는 동갑의 친구인 이인문김홍도가 갑년(甲年)이 되는 감회 깊은 해 정월을 맞아 역시 동갑인 동료 박유성의 집에 모여 슬을 한참 마시고 즐긴 후에 그린 작품이다. 이인문이 그리고 김홍도가 시를 적은 작품으로, 그림에서 두 사람의 돈독한 우정을 확인할 수 있다. 작품 속의 제시는 당(唐)의 시인 왕유(王維:701~761)의 <종남별업(終南別業)>이라는 오언고시(五言古時)이다.

다음은 제시의 내용이다.

중년에 이르러 자못 불교를 좋아하여/늙어서 집을 남산가에 터잡았네

흥이 오르면 매번 혼자 떠나가니/뛰어난 경치를 그저 나만 알뿐이네//

걸음이 다다르니 물이 끊긴 그곳이오/앉아서 바라보니 구름 이는 그 때로다

우연히 숲의 나무꾼 늙은이를 만나/이야기하고 웃느라 돌아갈 줄 모르네//

여담

김홍도가 쓴 제시는 구의 순서가 바뀌었거나 글자를 빼 먹는 등의 실수가 보이는데, 이를 통해 당시의 흥이 무르익어가는 분위기를 상상할 수 있다. 시구를 적어 놓은 글 말미에 그림이 완성된 시간, 함께 있었던 친구들의 이름이 적혀있다.

미디어 위키

  • 김현희에 의해 작성된 페이지입니다.(2022.11.03.)

출처

국립중앙박물관, 칠복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