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경상감영 측우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대구 경상감영 측우대'''" <onlyinclude> {|class="metadata" style="background:#f2f2f2; width:160px; margin: 5px 5px 5px 5px;" cellspacing="10" align="right" |- ! colspan="...)
(차이 없음)

2022년 11월 30일 (수) 20:12 판

"대구 경상감영 측우대"


개요

대구 경상감영 측우대는 조선시대의 강우량 관측기구 세트의 일부로, 화강암으로 만들어진 측우기의 받침대다. 대구 경상감영 측우대는 본래 대구에 위치한 경상감영에 설치되어 있던 것으로, 전면과 후면에 명문이 새겨져 있어 이를 통해 제작시기가 1770년(조선 영조 46년)임을 명확하게 알 수 있다. 측우대는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측우기 그 자체는 아니며, 정확하게는 측우기를 올려놓는 받침대를 지칭한다. 대구 경상감영 측우대와 함께 세트로 있던 측우기는 현재 전해지지 않는다. 하지만 본 측우대의 보존상태가 상당히 양호하며 측우대에 새겨진 명문만으로도 조선시대에 강우량 측정 제도가 있었음을 층분히 증명할 수 있어 그 가치가 높다고 할 수 있다.


국보지정사유

대구 경상감영 측우대는, 비록 측우기 실물은 함께 전해지지는 않지만, 명문이 잘 남아있어 제작연대가 명확하며 확실하고 조선왕조실록의 기록과도 일치하는 실제 유물이며 전래 및 입수 경위도 분명하여 그 가치가 높다. 또한 대구 경상감영 측우대는 현전하는 측우기 관련 유물(측우기, 측우대) 중 제작 시기가 명확한 것으로는 가장 오래된 것이다. 명문이 남아 제작 시기가 확실한 측우기 관련 유물로는 본 측우대 외에 공주 충청감영 측우기와 창덕궁 이문원 측우대가 있는데, 각각 1837년(헌종 3년)과 1782년(정조 6년)에 만들어진 것이라 1770년에 제작된 대구 경상감영 측우대가 시기적으로 가장 앞선다. 이 뿐만 아니라 본 측우대는 조선시대에 세계 최초로 국가 단위로 행해진 체계적이며 표준화된 강우량 측정 제도가 있었다는 것을 실록에 남은 기록뿐만 아니라 실제 유물로써도 증명하는 귀중한 문화재이기도 하다. 따라서 대구 경상감영 측우대는 한반도 과학사 연구에 있어서 대단히 중요한 자료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및 자료

“정선 필 청풍계도”,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작성자 및 기여자

  • 작성자 : 김상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