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18번째 줄: 18번째 줄:
 
|소재지: [[성북동]] || 소유(관리): [[간송미술관]]
 
|소재지: [[성북동]] || 소유(관리): [[간송미술관]]
 
|}
 
|}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600;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
|-
 +
|'''간송미술관 위치'''||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로 102-11
 +
{{
 +
#display_map:
 +
37.5942972, 126.9967062~ ~ ~ ~ ~간송미술관
 +
|service=googlemaps3
 +
|width=350
 +
|height=300
 +
|type=normal
 +
|overlays=videos-1,wikipedia
 +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
|zoom=100
 +
}}
 +
|}
 +
 
----
 
----
  

2022년 12월 1일 (목) 00:06 판

금보

금 보
|琴 譜|
금보

지정유형: 보물 지정일: 1963.01.21
종류: 기록유산 / 전적류 / 목판본 / 사간본
시대: 조선시대 시기: 조선 선조 5년(1572)
비고: 조선 중기 제작
소재지: 성북동 소유(관리): 간송미술관
간송미술관 위치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로 102-11
지도를 불러오는 중...

간송미술관이 보유하고 있는 1책의 목판본
  • 요약

선조 5년(1572)에 당시 장악첨정(掌樂僉正)이던 안상이 허억봉(許億鳳)적보(笛譜), 이무금(李無金)의 부고지보(缻鼓之譜)와 가사 ·육보(肉譜) 등을 합쳐 편찬한 거문고 악보.

금합자보(琴合字譜), 혹은 서문에 안상(安瑺)의 글이 실려 있어 안상금보라고도 한다.

  • 내용구성

금선(琴線)과 음정의 위치 및 손가락 쓰는 방법을 그림과 함께 상세히 설명해 합자보(合字譜)로 엮어 놓았고, 오음약보(五音略譜) 및 육보와 노래의 사설을 곁들였다. 또한, 피리의 오음약보 및 육보, 장고악보(長鼓樂譜)도 수록되어 있다.

수록된 곡은 조선 후기에 크게 성하여 가곡의 실마리가 된 만대엽(慢大葉), 북전(北殿) 등이 실려 있으며, 정석가(鄭石歌)사모곡(思母曲) 등의 고가요(古歌謠) 등도 수록되어 있다.

  • 역사적의의

이 책은 임진왜란 이전의 여러 가지 악보를 포함하고 있어 시용향악보와 더불어 가장 기본적인 악보로 취급되고 있으며, 당비파 음악을 전하는 유일한 자료로서 평가된다.


문서제작: 홍진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