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 필 삼청첩"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20번째 줄: 20번째 줄:
 
| style="text-align:center;"|'''관리''' ||[[간송미술관]]
 
| style="text-align:center;"|'''관리''' ||[[간송미술관]]
 
|}
 
|}
=소개=
+
==문화재 설명==
 +
===정의===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21119840000&pageNo=1_1_1_0 '이정 필 삼청첩']은 조선 17세기 종실 출신 화가 탄은 이정(1554~1626)이 1594년 12월 12일 충남 공주에서 그린 그림이다. 총 1첩의 54면으로 구성된다.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21119840000&pageNo=1_1_1_0 '이정 필 삼청첩']은 조선 17세기 종실 출신 화가 탄은 이정(1554~1626)이 1594년 12월 12일 충남 공주에서 그린 그림이다. 총 1첩의 54면으로 구성된다.
이정은 조선시대 묵죽화를 대표하는 인물이며, 이 화첩에는 이정의 묵죽화 뿐만 아니라 매화와 난 그림이 수록돼 그의 다방면의 작품세계를 보여준다. 해당 그림은 쪽빛으로 물들인 비단 위에 금니로 사군자의 생태와 관련된 모습을 정교하게 묘사해 화려하고 섬세함이 드러난다.
+
===의미===
 +
삼청은 본래 도교에서 신선이 사는 천상세계인 옥청과 상청, 태청을 지칭하는 용어로 최고 이상향을 뜻한다. 그러나 삼청첩의 첩명은 이러한 도교적 측면의 의미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이지 않으며, 그보다는 삼청첩의 화재가 군자의 덕성을 표상하는 식물들인 매화, 대나무, 난이기 때문에 글자 그대로 '세 가지 맑은 것'이라는 의미로 첩의 이름을 지었을 가능성이 다분하다.
 +
이정은 조선시대 묵죽화를 대표하는 인물이며, 이 화첩에는 이정의 묵죽화 뿐만 아니라 매화와 난 그림이 수록돼 그의 다방면의 작품세계를 보여준다. 해당 그림은 쪽빛으로 물들인 비단 위에 금니로 사군자의 생태와 관련된 모습을 정교하게 묘사해 화려하고 섬세함이 드러난다.
 
‘삼청첩’에는 이정의 그림 뿐 아니라 최립(1539~1612), 차천로(1556~1615) 등 이정과 교유한 당대인들, 윤신지(1582~1657), 송시열(1607~1689) 등 후대인들의 발문이 포함돼 이 화첩의 제작시기와 전래경로를 명확하게 전해준다는 점에서 역사적 가치를 더해 주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이 화첩은 조선시대 사군자화의 흐름을 파악하는 데에 중요한 작품이자 조선시대 최고의 묵죽화가 이정의 수준 높은 필력을 보여주는 대표작이라는 점에서도 학술적, 예술적 가치가 높다.
 
‘삼청첩’에는 이정의 그림 뿐 아니라 최립(1539~1612), 차천로(1556~1615) 등 이정과 교유한 당대인들, 윤신지(1582~1657), 송시열(1607~1689) 등 후대인들의 발문이 포함돼 이 화첩의 제작시기와 전래경로를 명확하게 전해준다는 점에서 역사적 가치를 더해 주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이 화첩은 조선시대 사군자화의 흐름을 파악하는 데에 중요한 작품이자 조선시대 최고의 묵죽화가 이정의 수준 높은 필력을 보여주는 대표작이라는 점에서도 학술적, 예술적 가치가 높다.
==삼청첩의 의미==
+
==추사 김정희==
삼청은 본래 도교에서 신선이 사는 천상세계인 옥청과 상청, 태청을 지칭하는 용어로 최고 이상향을 뜻한다. 그러나 삼청첩의 첩명은 이러한 도교적 측면의 의미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이지 않으며, 그보다는 삼청첩의 화재가 군자의 덕성을 표상하는 식물들인 매화, 대나무, 난이기 때문에 글자 그대로 '세 가지 맑은 것'이라는 의미로 첩의 이름을 지었을 가능성이 다분하다.
+
===소개===
==그림의 의미==
+
조선 중기에 활동한 왕실 종친이자 서화가로서 묵죽화로 유명하다. 이정은 묵죽 뿐 아니라 묵란과 묵매에도 솜씨를 보였고, 시와 글씨도 빼어났다.
삼청첩에는 대나무가 양적 질적 면에서 우수하게 그려져있다. 그러나 난과 매화는 비교적 그 질과 양에서 완성도가 떨어지며, 양식적인 면에서도 대나무에 비해 중국의 영향과 자취가 강하게 묻어난다. 이는 대나무를 전문으로 그렸던 이정의 개인적인 기호나 숙련도 관점에서 이해될 수 있다. 더불어 이러한 삼청첩은 우리나라 사군자화의 발전 정도를 보여주는 지표이기도 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삼청첩의 그림들은 이정이 어떤 소재와 방식으로 자신의 전형 양식을 수립해 나아갔는지 추정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조선 중기 사군화의 양상과 특징을 실체적으로 보여준다는 점에서 미술사적인 의미가 매우 크다.
+
===일생===
==영상==
+
이정은 상당 여유 있게 살았던 사람으로, 서화를 즐기는 일생을 살았다. 정확히 어느 시기부터 그림을 그렸는지는 알 수 없으나, 묵죽화가로 화명을 떨치기 시작한 것은 30대 이전부터인 것으로 짐작된다.
*‘삼청첩’의 마지막 작품! 고죽| 이정 [굿모닝 정보세상] 57회 20190821
+
이정은 당시 서화에 많은 관심을 쏟던 선조의 격려로 적극적으로 그림을 그렸다는 점을 허균의  『성소부부고(惺所覆瓿藁)』에서 찾아볼 수 있다.《삼청첩》 제작 이후, 50대-60대에는 이전 시기에 이뤄 놓은 양식을 좀 더 원숙하고 세련되게 발전시켰다.  
<youtube>eA7Y-AdiBBM</youtube>
 
==기타==
 
*소개 참고 문헌:[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jsessionid=EHtmCF2z9PyNm0pZ4y2AadlpqGU2pVH8cmhjGhKCWr2r1Fkib8177vBWQRXleKr0.cpawas2_servlet_engine1?pageNo=1_1_2_0&ccbaCpno=1121119840000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보물 이정 필 삼청첩']
 
 
 
*삼청첩의 의미 및 그림의 의미 참고 문헌:[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783838 '백인산. (2013). 간송미술관 소장 《삼청첩(三淸帖)》의 역사성에 대한 고찰. 문화재, 46(2), 186-205.']
 
 
=이외 조선시대 간송미술관 문화재=
 
=이외 조선시대 간송미술관 문화재=
 
*[[김득신 야묘도추]]
 
*[[김득신 야묘도추]]
44번째 줄: 42번째 줄:
 
*[[신윤복 야금모행]]
 
*[[신윤복 야금모행]]
 
*[[심사정 필 촉잔도권]]
 
*[[심사정 필 촉잔도권]]
=미디어위키=
+
==관련전시==
*[[박희진 22]]에 의해 작성된 페이지입니다.(2022.11.03)
+
#[[간송문화전 4부 : 매.난.국.죽. - 선비의 향기]]
 +
#[[새 보물 납시었네, 신국보보물전2017-2019]]
 +
==소재지 위치==
 +
[http://kansong.org/ 간송미술관]
 +
 
 +
{{
 +
#display_map:
 +
Seoul City;
 +
37.594, 126.996
 +
|service=googlemaps3
 +
|width=300
 +
|height=300
 +
|type=normal
 +
|overlays=videos-1, wikipedia
 +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
|zoom=17
 +
}}
 +
==동영상==
 +
*‘삼청첩’의 마지막 작품! 고죽| 이정 [굿모닝 정보세상] 57회 20190821
 +
<youtube>eA7Y-AdiBBM</youtube>
 +
===기타===
 +
작성자: [[박희진 22]]
 
[[분류:성북구의 문화재]][[분류:간송미술관]][[분류:보물]][[분류:유물]][[분류:일반회화]][[분류:사군자]][[분류:조선시대]][[분류:15세기]]
 
[[분류:성북구의 문화재]][[분류:간송미술관]][[분류:보물]][[분류:유물]][[분류:일반회화]][[분류:사군자]][[분류:조선시대]][[분류:15세기]]

2022년 12월 1일 (목) 02:03 판

문화재 설명

정의

'이정 필 삼청첩'은 조선 17세기 종실 출신 화가 탄은 이정(1554~1626)이 1594년 12월 12일 충남 공주에서 그린 그림이다. 총 1첩의 54면으로 구성된다.

의미

삼청은 본래 도교에서 신선이 사는 천상세계인 옥청과 상청, 태청을 지칭하는 용어로 최고 이상향을 뜻한다. 그러나 삼청첩의 첩명은 이러한 도교적 측면의 의미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이지 않으며, 그보다는 삼청첩의 화재가 군자의 덕성을 표상하는 식물들인 매화, 대나무, 난이기 때문에 글자 그대로 '세 가지 맑은 것'이라는 의미로 첩의 이름을 지었을 가능성이 다분하다.
이정은 조선시대 묵죽화를 대표하는 인물이며, 이 화첩에는 이정의 묵죽화 뿐만 아니라 매화와 난 그림이 수록돼 그의 다방면의 작품세계를 보여준다. 해당 그림은 쪽빛으로 물들인 비단 위에 금니로 사군자의 생태와 관련된 모습을 정교하게 묘사해 화려하고 섬세함이 드러난다.

‘삼청첩’에는 이정의 그림 뿐 아니라 최립(1539~1612), 차천로(1556~1615) 등 이정과 교유한 당대인들, 윤신지(1582~1657), 송시열(1607~1689) 등 후대인들의 발문이 포함돼 이 화첩의 제작시기와 전래경로를 명확하게 전해준다는 점에서 역사적 가치를 더해 주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이 화첩은 조선시대 사군자화의 흐름을 파악하는 데에 중요한 작품이자 조선시대 최고의 묵죽화가 이정의 수준 높은 필력을 보여주는 대표작이라는 점에서도 학술적, 예술적 가치가 높다.

추사 김정희

소개

조선 중기에 활동한 왕실 종친이자 서화가로서 묵죽화로 유명하다. 이정은 묵죽 뿐 아니라 묵란과 묵매에도 솜씨를 보였고, 시와 글씨도 빼어났다.

일생

이정은 상당 여유 있게 살았던 사람으로, 서화를 즐기는 일생을 살았다. 정확히 어느 시기부터 그림을 그렸는지는 알 수 없으나, 묵죽화가로 화명을 떨치기 시작한 것은 30대 이전부터인 것으로 짐작된다.
이정은 당시 서화에 많은 관심을 쏟던 선조의 격려로 적극적으로 그림을 그렸다는 점을 허균의  『성소부부고(惺所覆瓿藁)』에서 찾아볼 수 있다.《삼청첩》 제작 이후, 50대-60대에는 이전 시기에 이뤄 놓은 양식을 좀 더 원숙하고 세련되게 발전시켰다. 

이외 조선시대 간송미술관 문화재

관련전시

  1. 간송문화전 4부 : 매.난.국.죽. - 선비의 향기
  2. 새 보물 납시었네, 신국보보물전2017-2019

소재지 위치

간송미술관

지도를 불러오는 중...

동영상

  • ‘삼청첩’의 마지막 작품! 고죽| 이정 [굿모닝 정보세상] 57회 20190821

기타

작성자: 박희진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