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궐도(1989)"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파일:문경 오층석탑.gif =='''동궐도(1989) (東闕圖(1989))'''== ===지정유형=== 국보 ===종류=== 유물/궁궐도 ===시기=== 조선 순조 연간(1801-1834) ==...)
 
(설명)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1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문경 오층석탑.gif]]
+
[[파일:동궐도.jpg]]
  
=='''동궐도(1989) (東闕圖(1989))'''==
+
=='''''동궐도(1989) (東闕圖(1989))'''''==
 
===지정유형===
 
===지정유형===
 
국보
 
국보
17번째 줄: 17번째 줄:
 
1종 1점
 
1종 1점
  
==소개==
+
==설명==
본궁인 경복궁 동쪽에 있는 창덕궁과 창경궁을 그린 것으로 동궐도(東闕圖)라는 제목이 붙어있는 궁궐그림 2점이다.
+
[[창덕궁]]과 [[창경궁]]을 그린 것으로 사진은 동궐도의 궁궐그림 2점이다.
  
크기는 가로 576㎝, 세로 273㎝로 16첩 병풍으로 꾸며져 있다. 오른쪽 위에서 비껴 내려 보는 시각으로 산과 언덕에 둘러싸인 두 궁의 전각과 다리, 담장은 물론 연꽃과 괴석 등 조경까지 실제와 같은 모습으로 선명하고 세밀하게 묘사하고 있다. 배경이 되는 산과 언덕에 대한 묘사는 중국 남종화의 준법을 따르고 있으나, 건물의 표현과 원근 처리에 있어서는 서양화 기법에 영향을 받은 듯하다. 또 다른 그림도 똑같은 형식과 기법, 크기를 하고 있으나 채색을 하고 검은 글씨로 건물의 명칭을 써 넣은 점이 다르다.
+
동궐도의 크기는 576x273(cm)로 16첩의 병풍으로 이루어져 있다. 산과 언덕에 둘러싸인 두 창덕궁과 창경궁의 전각과 다리,담장은 물론 연꽃과 괴석 등 조경까지 실제모습과 같이 선명하고 디테일 하게 묘사하고 있다. 산과 언덕에 대한 묘사는 중국 [[남종화]]의 준법을 따르고 있고, 건물의 표현과 원근 처리에 대해선 서양화 기법의 영향을 받았다.  
 
 
그림에 들어있는 건물들의 소실여부와 재건된 연대 등으로 짐작하여 순조 30년(1830년) 이전에 도화서 화원들이 그린 것으로 추정된다. 이 두 점의 그림은 회화적 가치보다는 궁궐 건물 연구에 더 큰 의미를 갖고 있다. 평면도인 궁궐지나 동궐도형보다 건물 배치나 전경을 시각적으로 잘 표현하고 있어 고증적 자료로서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
그림에 나오는 건물들의 소실여부와 재건된 연대 등으로 짐작하여 [[순조]]30년(1830년) 이전에 도화서 회원들이 그린 것으로 추정된다. 이 그림은 회화적 가치보다는 궁궐 건물 연구에 치중해 있다. 평면도인 궁궐지보다 건물 배치나 전경을 시각적으로 잘 묘사되어있어 중요한 자료로 손꼽힌다.
  
 
==외부링크==
 
==외부링크==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ulPageNo=2&region=&searchCondition=&searchCondition2=&s_kdcd=&s_ctcd=11&ccbaKdcd=11&ccbaAsno=02490100&ccbaCtcd=11&ccbaCpno=1111102490000&ccbaCndt=&ccbaLcto=16&stCcbaAsno=&endCcbaAsno=&stCcbaAsdt=&endCcbaAsdt=&ccbaPcd1=&chGubun=&header=region&returnUrl=%2fheri%2fcul%2fculSelectRegionList.do&pageNo=1_1_3_1&sngl=Y 동궐도(1989)]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ulPageNo=2&region=&searchCondition=&searchCondition2=&s_kdcd=&s_ctcd=11&ccbaKdcd=11&ccbaAsno=02490100&ccbaCtcd=11&ccbaCpno=1111102490000&ccbaCndt=&ccbaLcto=16&stCcbaAsno=&endCcbaAsno=&stCcbaAsdt=&endCcbaAsdt=&ccbaPcd1=&chGubun=&header=region&returnUrl=%2fheri%2fcul%2fculSelectRegionList.do&pageNo=1_1_3_1&sngl=Y 동궐도(1989)]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12163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
==참고자료==
 +
<youtube>i5TKByVyNtQ</youtube>
  
 
==기타==
 
==기타==
===조선후기===
+
===조선후기 문화재===
 
사영 김병기 일가 옷
 
사영 김병기 일가 옷
 +
 
혼천의 및 혼천시계
 
혼천의 및 혼천시계
 +
 
동궐도(1989)
 
동궐도(1989)
청구도(2008-3)
+
 
 +
[https://hwiki.eumstory.co.kr/index.php/%EC%B2%AD%EA%B5%AC%EB%8F%84(2008-3) 청구도(2008-3)]
 +
 
 
서울 흥천사 대방
 
서울 흥천사 대방
  

2022년 12월 5일 (월) 23:25 기준 최신판

동궐도.jpg

동궐도(1989) (東闕圖(1989))

지정유형

국보

종류

유물/궁궐도

시기

조선 순조 연간(1801-1834)

소재지

성북동

지정일

1989.08.01

소유(관리)

고려대학교

수량/면적

1종 1점

설명

창덕궁창경궁을 그린 것으로 사진은 동궐도의 궁궐그림 2점이다.

동궐도의 크기는 576x273(cm)로 16첩의 병풍으로 이루어져 있다. 산과 언덕에 둘러싸인 두 창덕궁과 창경궁의 전각과 다리,담장은 물론 연꽃과 괴석 등 조경까지 실제모습과 같이 선명하고 디테일 하게 묘사하고 있다. 산과 언덕에 대한 묘사는 중국 남종화의 준법을 따르고 있고, 건물의 표현과 원근 처리에 대해선 서양화 기법의 영향을 받았다.

그림에 나오는 건물들의 소실여부와 재건된 연대 등으로 짐작하여 순조30년(1830년) 이전에 도화서 회원들이 그린 것으로 추정된다. 이 그림은 회화적 가치보다는 궁궐 건물 연구에 치중해 있다. 평면도인 궁궐지보다 건물 배치나 전경을 시각적으로 잘 묘사되어있어 중요한 자료로 손꼽힌다.

외부링크

동궐도(1989)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참고자료

기타

조선후기 문화재

사영 김병기 일가 옷

혼천의 및 혼천시계

동궐도(1989)

청구도(2008-3)

서울 흥천사 대방


작성자:2211170 김선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