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흥천사 대방"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설명)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1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서울 흥천사 대방.jpg]]
 
[[파일:서울 흥천사 대방.jpg]]
  
=='''서울 흥천사 대방 (서울 興天寺 大房)'''==
+
=='''''서울 흥천사 대방 (서울 興天寺 大房)'''''==
 
===지정유형===
 
===지정유형===
 
국가등록문화재
 
국가등록문화재
10번째 줄: 10번째 줄:
 
등록문화재/기타/종교시설
 
등록문화재/기타/종교시설
 
===시대===
 
===시대===
근대
+
1865년 고종시대
 
===소재지===
 
===소재지===
 
서울특별시 성북구 돈암동
 
서울특별시 성북구 돈암동
18번째 줄: 18번째 줄:
 
대한불교조계종 흥천사
 
대한불교조계종 흥천사
  
==소개==
+
==설명==
흥천사 대방은 정토 염불 사상이 크게 성행하던 근대기의 시대적 상황을 반영하여 염불 수행 공간과 누ㆍ승방ㆍ부엌 등의 부속 공간을 함께 갖추고 대웅전을 실제적ㆍ상징적 불단으로 삼아 염불 수행을 하도록 구성된 독특한 형식의 복합 법당이다.
+
서울 흥천사 대방은 대한불교조계종 [[흥천사]]에서 소유하고 있듯 조선시대 종교문화를 반영하고 있는 문화재 중 하나이다.
  
기존의 전통적 방식을 벗어나 복합적이고 기능적인 근대적 건축의 성립을 보여주고 있는 등 역사적 가치뿐만 아니라 독특한 건축 형식과 공간 구성 및 시대정신을 담고 있다.
+
서울 흥천사 대방은 정토 염불 사상을 크게 성행했던 근대기를 잘 반영하고 있으며 염불 수행공간,누,승방,부엌등의 부속공간을 함께 갖추고 대웅전을 실제적 불단으로 삼아 [[염불]] 수행을 하도록 구성된 법당이다.
 +
 
 +
조선시대 기존의 전통적 건축 방식을 벗어나 복합적이고 기능적인 건축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등 역사적 가치 뿐 아니라 독특한 건축 형식이 시대정신을 담고 있다는 것에 현장감과 흥미를 느끼게 해주는 문화재이다.
  
 
==외부링크==
 
==외부링크==
 
[https://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ulPageNo=1&region=2&searchCondition=%ec%84%9c%ec%9a%b8%ed%9d%a5%ec%b2%9c%ec%82%ac+%eb%8c%80%eb%b0%a9&searchCondition2=&s_kdcd=00&s_ctcd=11&ccbaKdcd=79&ccbaAsno=05830000&ccbaCtcd=11&ccbaCpno=4411105830000&ccbaCndt=&ccbaLcto=16&stCcbaAsno=&endCcbaAsno=&stCcbaAsdt=&endCcbaAsdt=&ccbaPcd1=&chGubun=&header=region&returnUrl=%2fheri%2fcul%2fculSelectRegionList.do&pageNo=1_1_3_1&sngl=Y 국가문화유산포털]
 
[https://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ulPageNo=1&region=2&searchCondition=%ec%84%9c%ec%9a%b8%ed%9d%a5%ec%b2%9c%ec%82%ac+%eb%8c%80%eb%b0%a9&searchCondition2=&s_kdcd=00&s_ctcd=11&ccbaKdcd=79&ccbaAsno=05830000&ccbaCtcd=11&ccbaCpno=4411105830000&ccbaCndt=&ccbaLcto=16&stCcbaAsno=&endCcbaAsno=&stCcbaAsdt=&endCcbaAsdt=&ccbaPcd1=&chGubun=&header=region&returnUrl=%2fheri%2fcul%2fculSelectRegionList.do&pageNo=1_1_3_1&sngl=Y 국가문화유산포털]
  
==기타(내부링크)==
+
[http://www.buddhism.or.kr/jongdan/main/index.php 대한불교조계종]
 +
 
 +
==참고자료==
 +
<youtube>WR18Etz8fic​</youtube>
 +
 
 +
==기타==
 +
===조선후기 문화재===
 
[https://hwiki.eumstory.co.kr/index.php/%EC%82%AC%EC%98%81_%EA%B9%80%EB%B3%91%EA%B8%B0_%EC%9D%BC%EA%B0%80_%EC%98%B7 사영 김병기 일가 옷]
 
[https://hwiki.eumstory.co.kr/index.php/%EC%82%AC%EC%98%81_%EA%B9%80%EB%B3%91%EA%B8%B0_%EC%9D%BC%EA%B0%80_%EC%98%B7 사영 김병기 일가 옷]
 +
 +
혼천의 및 혼천시계
 +
 +
동궐도(1989)
 +
 +
청구도(2008-3)
 +
 +
서울 흥천사 대방
 +
 +
 +
 +
 
작성자:[[2211170 김선우]]
 
작성자:[[2211170 김선우]]
  
 
[[분류:성북구의 문화재]] [[분류:국가등록문화재]]  [[분류:대한불교조계종 흥천사]]  [[분류:근대]]
 
[[분류:성북구의 문화재]] [[분류:국가등록문화재]]  [[분류:대한불교조계종 흥천사]]  [[분류:근대]]

2022년 12월 5일 (월) 23:27 기준 최신판

서울 흥천사 대방.jpg

서울 흥천사 대방 (서울 興天寺 大房)

지정유형

국가등록문화재

수량/면적

1동,521m제곱

분류

등록문화재/기타/종교시설

시대

1865년 고종시대

소재지

서울특별시 성북구 돈암동

지정일

2013.12.20

소유자(소유단체)

대한불교조계종 흥천사

설명

서울 흥천사 대방은 대한불교조계종 흥천사에서 소유하고 있듯 조선시대 종교문화를 반영하고 있는 문화재 중 하나이다.

서울 흥천사 대방은 정토 염불 사상을 크게 성행했던 근대기를 잘 반영하고 있으며 염불 수행공간,누,승방,부엌등의 부속공간을 함께 갖추고 대웅전을 실제적 불단으로 삼아 염불 수행을 하도록 구성된 법당이다.

조선시대 기존의 전통적 건축 방식을 벗어나 복합적이고 기능적인 건축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등 역사적 가치 뿐 아니라 독특한 건축 형식이 시대정신을 담고 있다는 것에 현장감과 흥미를 느끼게 해주는 문화재이다.

외부링크

국가문화유산포털

대한불교조계종

참고자료

기타

조선후기 문화재

사영 김병기 일가 옷

혼천의 및 혼천시계

동궐도(1989)

청구도(2008-3)

서울 흥천사 대방



작성자:2211170 김선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