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산무진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강산무진도.jpg|700px]]
+
[[파일:강산무진도.jpg|700px]]
 +
전체 모습. 가로 길이가 총 '''8m'''가 넘는다.
 +
 
 +
[[파일:이인문 필 강산무진도.jpg|400px]]
 +
강산무진도의 일부분.
  
 
사진:국립중앙박물관
 
사진:국립중앙박물관
12번째 줄: 16번째 줄:
 
|크기||세로 43.9cm, 가로 856cm
 
|크기||세로 43.9cm, 가로 856cm
 
|-
 
|-
|분류||문화예술/서화/회화/일반회화/풍속화
+
|분류||문화예술/서화/회화/일반회화/[[풍속화]]
 
|-
 
|-
 
|관리단체||[https://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1007 국립중앙박물관]
 
|관리단체||[https://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1007 국립중앙박물관]
26번째 줄: 30번째 줄:
 
=='''묘사'''==
 
=='''묘사'''==
 
*변화무쌍하고 화려한 준법의 구사를 통한 산세의 묘사가 이루어졌다.
 
*변화무쌍하고 화려한 준법의 구사를 통한 산세의 묘사가 이루어졌다.
*'''아주 작고 세밀하게 그려진 인물들의 꼼꼼한 묘사'''가 어우러져 시선을 옮길 때마다 드라마틱한 장관을 보여준다.  
+
*아래 <강산무진도>의 부분을 보면 '''아주 작고 세밀하게 그려진 인물들의 꼼꼼한 묘사'''가 어우러져 시선을 옮길 때마다 드라마틱한 장관을 보여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
[[파일:강산무진도 부분.jpg|400px]]
 +
자세히 보면 '''사람들의 모습'''이 보인다.
 
*높은 곳에서 멀리 내려다보는 듯한 시점으로 산수의 변화무쌍함을 장대하게 재구성하였다.
 
*높은 곳에서 멀리 내려다보는 듯한 시점으로 산수의 변화무쌍함을 장대하게 재구성하였다.
 
*세련된 필치, 감각적인 색채는 이인문의 완숙한 솜씨를 잘 보여준다.
 
*세련된 필치, 감각적인 색채는 이인문의 완숙한 솜씨를 잘 보여준다.
 +
 +
=='''여담'''==
 +
*이 작품은 화면 앞뒤에 ‘추사(秋史)’와 ‘추사진장(秋史珍藏)’이라고 새겨진 도장이 찍혀 있어 [[김정희]](金正喜, 1786~1856)의 소장품이었음을 알 수 있다.
 +
 +
[[파일:강산무진도 도장.jpg|200px]]
 +
 +
=='''관련 영상'''==
 +
<youtube>DroVPsBKS2Q</youtube>
 +
 +
=소재지=
 +
'''[https://www.museum.go.kr/site/main/home 국립중앙박물관]'''
 +
<div>
 +
{{
 +
#display_map:
 +
37.5238506, 126.9804702~[[국립중앙박물관]]
 +
|service=googlemaps3
 +
|width=300
 +
|height=300
 +
|type=normal
 +
|overlays=videos-1,wikipedia
 +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
}}​
 +
</div>
 +
 +
=미디어 위키=
 +
*[[김현희]]에 의해 작성된 페이지입니다.(2022.11.03.)
 +
 +
=참고문헌=
 +
[https://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1007 국립중앙박물관]
 +
 +
[[분류:이인문]][[분류:풍속화]][[분류:일반회화]][[분류:조선시대]][[분류:18세기]][[분류:19세기]][[분류:국립중앙박물관]]

2022년 12월 7일 (수) 23:11 기준 최신판

강산무진도.jpg
전체 모습. 가로 길이가 총 8m가 넘는다.
이인문 필 강산무진도.jpg
강산무진도의 일부분.

사진:국립중앙박물관

이름 강산무진도(江山無盡圖)
작가 이인문
지정유형 보물
크기 세로 43.9cm, 가로 856cm
분류 문화예술/서화/회화/일반회화/풍속화
관리단체 국립중앙박물관
시대 조선시대 (조선 후기)

국립중앙박물관이 보유하고 있는 18세기 화원 이인문(1745 ~ 1824)의 회화.

작품 설명

<강산무진도>는 한국회화사상 유래 없는 대작으로, 5개의 비단을 잇대어 바탕을 만들고 그 위에 끝없이 펼쳐진 이상향을 표현하였고, 만고불변의 자연과 그 자연의 섭리 속에서 순응하며 살아가는 사람들의 다양한 모습들을 다채롭게 나타내었다.

묘사

  • 변화무쌍하고 화려한 준법의 구사를 통한 산세의 묘사가 이루어졌다.
  • 아래 <강산무진도>의 부분을 보면 아주 작고 세밀하게 그려진 인물들의 꼼꼼한 묘사가 어우러져 시선을 옮길 때마다 드라마틱한 장관을 보여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강산무진도 부분.jpg
자세히 보면 사람들의 모습이 보인다.
  • 높은 곳에서 멀리 내려다보는 듯한 시점으로 산수의 변화무쌍함을 장대하게 재구성하였다.
  • 세련된 필치, 감각적인 색채는 이인문의 완숙한 솜씨를 잘 보여준다.

여담

  • 이 작품은 화면 앞뒤에 ‘추사(秋史)’와 ‘추사진장(秋史珍藏)’이라고 새겨진 도장이 찍혀 있어 김정희(金正喜, 1786~1856)의 소장품이었음을 알 수 있다.

강산무진도 도장.jpg

관련 영상

소재지

국립중앙박물관

지도를 불러오는 중...

미디어 위키

  • 김현희에 의해 작성된 페이지입니다.(2022.11.03.)

참고문헌

국립중앙박물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