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청사기 음각어문 편병"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소개)
(소개)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2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분청사기 음각어문 편병'''
 
'''분청사기 음각어문 편병'''
  
(粉靑沙器 陰刻魚文 扁甁)
+
(''粉靑沙器 陰刻魚文 扁甁'')
  
Buncheong Flat Bottle with Incised Fish Design
+
'''Buncheong Flat Bottle with Incised Fish Design'''
  
 
=='''소개'''==
 
=='''소개'''==
10번째 줄: 10번째 줄:
 
|'''이름''' || 분청사기 음각어문 편병
 
|'''이름''' || 분청사기 음각어문 편병
 
|-
 
|-
|'''지정유형''' || [[국보]]
+
|'''지정유형''' || 국보
 
|-
 
|-
|'''분류''' || [[유물]] / [[생활공예]] / [[토도자공예]] / [[분청]]
+
|'''분류''' || [[유물]] / 생활공예 / 토도자공예 / [[분청사기]]
 
|-
 
|-
 
|'''지정일'''|| 1974.07.09
 
|'''지정일'''|| 1974.07.09
 
|-
 
|-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
 
|-
 
|'''수량/면적'''|| 1개
 
|'''수량/면적'''|| 1개
 
|-
 
|-
|'''시대'''|| [[조선시대(16세기)
+
|'''시대'''|| 조선시대(16세기)
 
|-
 
|-
 
|'''소유자'''|| 박***
 
|'''소유자'''|| 박***
 
|-
 
|-
|'''관리자'''|| 국립중앙박물관
+
|'''관리자'''|| [[국립중앙박물관]]
 
|}
 
|}
  
31번째 줄: 31번째 줄:
 
=='''내용'''==
 
=='''내용'''==
  
조선시대 전기에 제작된 분청사기 편병으로 배 부분이 앞·뒤 양면으로 납작한 편평한 모양이며, 크기는 높이 22.6㎝, 입지름 4.5㎝, 밑지름 8.7㎝이다.
+
'''조선시대 전기'''에 제작된 [[분청사기]] 편병으로 '''1974년 국보'''로 지정되었고, 배 부분이 앞·뒤 양면으로 납작한 편평한 모양이며, 크기는 높이 ''22.6㎝'', 입지름 ''4.5㎝'', 밑지름 ''8.7㎝''이다.
  
 +
'''백토분장'''(白土粉粧)을 두껍게 입히고 '''조화'''(''彫花'')'''기법'''으로 무늬를 그린 위에 연한 청색의 투명한 유약을 칠하였다. 앞·뒷면과 옆면에 서로 다른 무늬와 위로 향한 두 마리의 물고기를 생동감이 넘치는 선으로 나타냈다. 물고기 무늬는 분청사기 조화기법의 특징을 충분히 표현하고 있는데 '''[https://www.gimhae.go.kr/06351/06352/06356.web 조화기법]'''이란 백토로 분장한 그릇에 선으로 음각의 무늬를 새겨넣고 백토를 긁어내어 하얀선으로 된 문양을 만드는 기법이다. 양 옆면은 세 부분으로 나누어 위와 중간에 4엽 모란무늬을 새기고, 배경을 긁어냈으며 아랫부분에는 '''파초'''를 넣었다. 바탕흙은 '''회청색'''으로 백토분장이 된 곳과 분장이 안 된 곳과의 대조가 선명하다.
  
=='''소재'''==
+
=='''소재지'''==
  
=='''관련자료'''==
+
 
 +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
 
 +
<div>
 +
{{
 +
#display_map:
 +
37.5241, 126.9806~[[국립중앙박믈관]]
 +
|service=googlemaps3
 +
|width=500
 +
|height=500
 +
|type=normal
 +
|overlays=videos-1,wikipedia
 +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
}}​
 +
</div>
 +
 
 +
=='''관련자료 <sup>사진 & 영상 </sup>'''==
 
===사진 자료===
 
===사진 자료===
  
42번째 줄: 59번째 줄:
  
 
===영상 자료===
 
===영상 자료===
===문서 자료===
+
*조화기법
 +
 
 +
<youtube>RWsCR9gHtbQ</youtube>
 +
 
 +
 
 +
===참고문헌===
 +
 
 +
『분청사기연구』(강경숙,일지사,1986)
 +
 
 +
『국보』-백자·분청사기-(정양모 편,예경산업사,1984)
 +
 
 +
===그 외 자료===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jsessionid=MGgsbVp2yBnnwFA0WzC3ZRaOZTdjXfqLiqQFYMn4Fa1fd55SboRQibxoTk7f1SjO.cpawas_servlet_engine1?pageNo=1_1_2_0&VdkVgwKey=11,01780000,11/ 분청사기 음각어문 편병]
  
 
=='''작성자 및 기여자'''==
 
=='''작성자 및 기여자'''==
49번째 줄: 78번째 줄:
 
''[[디지털과 지식콘텐츠(22-2)]]'' 수업의 일환으로 작성. <br/> 작성자 ''[[장유진]]''
 
''[[디지털과 지식콘텐츠(22-2)]]'' 수업의 일환으로 작성. <br/> 작성자 ''[[장유진]]''
  
[[분청사기]][[분류:국보]][[분류:유물]][[분류:공예]][[분류:생활공예]][[분류:토도자공예]][[분류:분청]][[분류:조선시대]][[분류:16세기]]
+
[[분류:국보]][[분류:유물]][[분류:공예]][[분류:생활공예]][[분류:토도자공예]][[분류:분청]][[분류:조선시대]][[분류:16세기]]

2022년 12월 8일 (목) 22:20 기준 최신판

분청사기 음각어문 편병

(粉靑沙器 陰刻魚文 扁甁)

Buncheong Flat Bottle with Incised Fish Design

소개

이름 분청사기 음각어문 편병
지정유형 국보
분류 유물 / 생활공예 / 토도자공예 / 분청사기
지정일 1974.07.09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수량/면적 1개
시대 조선시대(16세기)
소유자 박***
관리자 국립중앙박물관

내용

조선시대 전기에 제작된 분청사기 편병으로 1974년 국보로 지정되었고, 배 부분이 앞·뒤 양면으로 납작한 편평한 모양이며, 크기는 높이 22.6㎝, 입지름 4.5㎝, 밑지름 8.7㎝이다.
백토분장(白土粉粧)을 두껍게 입히고 조화(彫花)기법으로 무늬를 그린 위에 연한 청색의 투명한 유약을 칠하였다. 앞·뒷면과 옆면에 서로 다른 무늬와 위로 향한 두 마리의 물고기를 생동감이 넘치는 선으로 나타냈다. 물고기 무늬는 분청사기 조화기법의 특징을 충분히 표현하고 있는데 조화기법이란 백토로 분장한 그릇에 선으로 음각의 무늬를 새겨넣고 백토를 긁어내어 하얀선으로 된 문양을 만드는 기법이다. 양 옆면은 세 부분으로 나누어 위와 중간에 4엽 모란무늬을 새기고, 배경을 긁어냈으며 아랫부분에는 파초를 넣었다. 바탕흙은 회청색으로 백토분장이 된 곳과 분장이 안 된 곳과의 대조가 선명하다.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지도를 불러오는 중...

관련자료 사진 & 영상

사진 자료

분청사기 음각어문 편병.jpg

영상 자료

  • 조화기법


참고문헌

『분청사기연구』(강경숙,일지사,1986)
『국보』-백자·분청사기-(정양모 편,예경산업사,1984)

그 외 자료

분청사기 음각어문 편병

작성자 및 기여자

디지털과 지식콘텐츠(22-2) 수업의 일환으로 작성.
작성자 장유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