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㉑선인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500px| 선인문의 선인은 ‘인을 널리 펼친다‘는 뜻이며 홍화문에서 이어진 궁 담장의 남쪽 곧 창경궁 동남쪽 담장에...)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선인문문.jpg|500px|]]
 
[[파일:선인문문.jpg|500px|]]
  
선인문의 선인은 ‘인을 널리 펼친다‘는 뜻이며 홍화문에서 이어진 궁 담장의 남쪽 곧 창경궁 동남쪽 담장에 있는 궁문이다. 이 문은 성종 때 처음 세워졌으나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고, 광해군 때 재건되지만, 1857년에 다시 소실되었다. 현재의 문은 고종 연간에 재건한 것으로 보인다.
+
창경궁의 정문인 홍화문을 따라 남쪽으로 내려가다 보면 선인문이 보인다. 주로 궐내각사에 근무하는 신하들이 이 문으로 출입하였다고 한다.
 +
이문은 조선왕실의 비극과 관련이 많습니다. 중종반정으로 물러난 연산군이 유배를 떠날 때 나간 문이고, 사도세자가 선인문 안쪽 동궁에서 뒤주에 갇혀 죽음을 맞이하였으며, 인현왕후를 죽게 한 벌로 사약을 마시고 죽은 장희빈도 이 문을 통해 궁을 나간다.
 +
 
 +
선인문의 선인은 ‘인을 널리 펼친다‘는 뜻이며 홍화문에서 이어진 궁 담장의 남쪽 곧 창경궁 동남쪽 담장에 있는 궁문이다. 이 문은 성종 때 처음 세워졌으나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고, 광해군 때 재건한 것으로 보인다.
 
『동국여지비고』에 의하면 이 문의 예전 이름은 서린문이며, 동궁의 정문으로 조정의 신하들이 출입하였다.
 
『동국여지비고』에 의하면 이 문의 예전 이름은 서린문이며, 동궁의 정문으로 조정의 신하들이 출입하였다.

2023년 6월 17일 (토) 13:58 기준 최신판

선인문문.jpg

창경궁의 정문인 홍화문을 따라 남쪽으로 내려가다 보면 선인문이 보인다. 주로 궐내각사에 근무하는 신하들이 이 문으로 출입하였다고 한다. 이문은 조선왕실의 비극과 관련이 많습니다. 중종반정으로 물러난 연산군이 유배를 떠날 때 나간 문이고, 사도세자가 선인문 안쪽 동궁에서 뒤주에 갇혀 죽음을 맞이하였으며, 인현왕후를 죽게 한 벌로 사약을 마시고 죽은 장희빈도 이 문을 통해 궁을 나간다.

선인문의 선인은 ‘인을 널리 펼친다‘는 뜻이며 홍화문에서 이어진 궁 담장의 남쪽 곧 창경궁 동남쪽 담장에 있는 궁문이다. 이 문은 성종 때 처음 세워졌으나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고, 광해군 때 재건한 것으로 보인다. 『동국여지비고』에 의하면 이 문의 예전 이름은 서린문이며, 동궁의 정문으로 조정의 신하들이 출입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