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촌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onlyinclude> {|class="metadata" style="background:#f2f2f2; width:320px; margin: 5px 5px 5px 5px;" cellspacing="10" align="right" |- ! colspan="2" style="background:#3ca9a9; color:#f...)
 
5번째 줄: 5번째 줄:
 
|-  
 
|-  
 
|-  
 
|-  
| style="width:80px; text-align:center;" |'''명칭''' || [[인촌상]]
+
| style="width:80px; text-align:center;" |'''사건명''' || [[대한민국 문학상]] [[大韓民國文學賞]]  
 
|-  
 
|-  
| style="text-align:center;"|'''재정년도''' || 1987.0717|-  
+
| style="text-align:center;"|'''발생년도''' || 1987년 7월17일
| style="text-align:center;"|'''주관단체''' || 인촌문화회, 동아일보회|}
+
|-
 +
| style="text-align:center;"|'''주관장소''' || [[인촌기념회]]
 +
|-  
 +
| style="text-align:center;"|'''개요''' || 1987년부터 인촌기념회와 동아일보사에서 주관하여 매년 10월11일에 교육, 언론·문화, 인문·사회, 과학·기술 5개분야 시상했던 상
 +
|}
 
</onlyinclude>
 
</onlyinclude>
  
  
 +
'''대한민국문학상'''
 
==개요==
 
==개요==
전라북도 군산시에서 재정한 전국 공모 형식의 문학상. [[채만식]]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여 [[채만식]]의 작가 정신을 기리기 위해 제정되었다.
+
1976년부터 한국문화예술진흥원에서 주관하여 매년 10월에 시상했던 문학상이다.
 +
시상부문은 일반·평론·아동·번역·신인 등 5개 부문으로 대별되는데, 한국의 문학상 중 가장 다양하고 종합적인 상이다.
 +
 
 +
 
 +
 
 +
==상세항목==
 +
 
 +
문인들의 창작의욕 고취, 우수 번역가의 발굴 및 양성으로 한국문학의 진흥과 해외선양에 기여하고자 제정한 것이다.대상작품은 한국문화예술진흥원장이 정하는 기간에 발표된 대한민국 국민이 창작한 문학작품으로 본상과 우수상, 신인상을 두어 상장과 상금이 수여된다. 1976년에 반공문학상으로 시작하여 1980년에 그 명칭을 대한민국문학상으로 바꿨다. 1981년 신인부문을 첨가하였고, 1983년에는 흙의문학부문과 자유문학부문을 통합하여 일반부문으로 하고 새로이 번역부문을 첨가하였다. 1992년까지 시상하다가 폐지되었다.
 +
 
 +
 
 +
==관련항목==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이강백]] || [[대한민국 문학상]] || A는 B를 수상하다(P) ||
 +
|-
 +
|}
 +
 
 +
==참고문헌==
 +
[네이버 지식백과] 대한민국문학상 [大韓民國文學賞] (두산백과)
 +
 
 +
==작성자 및 기여자==
  
==개설 및 변천==
+
[[분류:사건]]  [[분류:박준범]]  [[분류:기여자이름]]
군산시와 군산 문화원 등이 2002년 백릉 탄생 100돌을 맞아 제정하였으며 채만식 문학상 운영 위원회를 설립해 주관하게 하였다. 2002년 제정 당시 10월 5일 군산 시민의 날에 시상하는 것으로 규정해 2003년과 2004년에 시상하였다. 그러나 2005년 채만식의 친일 행적이 논란이 되면서 폐지요구가 있었고 잠시 중단되었다가 2006년 다시 부활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문학상 첫 해 상금은 7,000,000원(칠백만원)이었으나 2008년부터는 10,000,000원(일천만원)으로 상금을 올려 수여하고 있다.
 

2019년 6월 6일 (목) 17:07 판


대한민국문학상

개요

1976년부터 한국문화예술진흥원에서 주관하여 매년 10월에 시상했던 문학상이다. 시상부문은 일반·평론·아동·번역·신인 등 5개 부문으로 대별되는데, 한국의 문학상 중 가장 다양하고 종합적인 상이다.


상세항목

문인들의 창작의욕 고취, 우수 번역가의 발굴 및 양성으로 한국문학의 진흥과 해외선양에 기여하고자 제정한 것이다.대상작품은 한국문화예술진흥원장이 정하는 기간에 발표된 대한민국 국민이 창작한 문학작품으로 본상과 우수상, 신인상을 두어 상장과 상금이 수여된다. 1976년에 반공문학상으로 시작하여 1980년에 그 명칭을 대한민국문학상으로 바꿨다. 1981년 신인부문을 첨가하였고, 1983년에는 흙의문학부문과 자유문학부문을 통합하여 일반부문으로 하고 새로이 번역부문을 첨가하였다. 1992년까지 시상하다가 폐지되었다.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이강백 대한민국 문학상 A는 B를 수상하다(P)

참고문헌

[네이버 지식백과] 대한민국문학상 [大韓民國文學賞] (두산백과)

작성자 및 기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