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강백"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작품 및 저서)
45번째 줄: 45번째 줄:
 
==작품 및 저서==
 
==작품 및 저서==
  
작품이나 저서가 없는 사람의 경우에는 이 부분은 제외하고 기술합니다.
+
*유토피아를 먹고 잠들다
 
+
*칠산리
배우의 경우 출연작에 관한 내용으로 채워 주세요.
+
*물거품
 +
*동지섣달 꽃 본듯이
 +
*영월행 일기
 +
*봄날
 +
*느낌,극락같은
 +
*황색여관
 +
*보석과 여인
 +
*다섯
 +
*셋
 +
*알
 +
*파수꾼
 +
*결혼
 +
*내마
  
 
==기타(수상내역 등)==
 
==기타(수상내역 등)==

2018년 5월 30일 (수) 17:33 판


이강백(1947~)

생애

1947년 12월 1일 전북 전주 출생. 1971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희곡 「다섯」이 당선되어 등단하였다.

작품세계 (활동내역)

이강백의 작품은 늘 당대의 시대와 긴밀한 연관성을 지니고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시대의 변화에 따라서 작품의 경향이 달라지는 것이 한눈에 드러나는 작가였다. 연극 평론가 이경미는 “이강백의 작품은 늘 작품이 발표된 ‘그 시대’의 작품으로 보인다. 그렇기에 이강백의 70, 80년대의 작품은 많이 공연되지 않는다.” 라고 평했다. 시대의 변화에 대응하는 방식이 곧 이강백 희곡의 발전양상이라는 판단에 기초해 현재까지의 변화양상을 살펴보자

-1기 정치 비판 경향 (1971년 <다섯> ~ 1979년 <개뿔>) 이 시기는 이강백이 등단했던 유신집권기 라는 시대와 맞물려 초기와, 후기로 나뉜다. 초기에는 단막극을 쓰면서 위기를 조장하는 세력들이 어떠한 방식으로 권력을 유지하는 지를 살폈다. 그리고 그 상관관계를 극으로 표현해냈다. 또한 정치사에 대한 장막극이 나타나는데 이러한 소재의 채용은 근본적으론 비민주적인 권력에 대한 비판의식을 노리는 것이었다. 또한 초창기로서 우의적 비유<파수꾼>, 설화의 채용<알>, 등 그의 작품들의 기본적인 특성이 대두되는 시기이기도 했다. 이 시기의 대표작으론 <파수꾼>, <알>, <내마> 등이 있다.

-2기 빈부의 갈등 비판 경향 (1980년 <족보> ~ 1992년 <영자와 진택>) 1980년 발표한 <족보>부터 이강백은 가진 자와 못가진 자의 문제를 다루는데 전념한다. <족보>는 그 동안 남을 속이며 살아온 집안의 가장이 유서로 그 동안 남을 속이며 모아온 재물을 모두 돌려주라는 유언을 남기는 데서 시작하는 작품이다. 뒤이어 나온 <쥬라기의 사람들>은 탄광촌의 쟁의가 소재이다. 돈을 적게 들이려 노력하는 회사의 입장을 대변하는 소장과 노동자들의 갈등이 기본 구조다. 이 시기에는 단순히 소재만이 바뀐 것이 아니라 의도적으로 알레고리를 약화시키려는 시도로 사실성을 높이거나 혹은 설화의 이야기 구조를 차용하려고 한다. 그뿐이 아니라 서사극적 기법의 실험, 겹시공간의 창조 등 새로운 시도도 무르익는 시기다. 이시기의 대표작으론 <칠산리>, <봄날>, 등이 있다.

-기타 사회비판의식이 약한 작품들

이강백은 비판의식이 있는 작품만 발표한 것은 아니다. <결혼>을 시작으로 해서 1970년대 후반에 비판의식이 약해진 박품을 다수 발표한다. 이 작품들은 <결혼>이 재물이 되는 등, 보이지 않는 내면의 가치에 대해서 이야기 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재미있는 것은 2기의 후반으로 파악되는 1980년대 말미에도 이런 사회 비판의식이 흐려진 작품들이 다수 발표되었다는 것이다. <물거품> 등에서 드러나듯이 이 80년대의 작품군들도 보이지 않는 것의 가치를 논한다. 이강백은 인터뷰를 통해서 1970년대의 변화는 알레고리의 틀에서 벗어나기 위한 일환이라고 말한 바가 있다. 1980년대 말기에도 이러한 작품군들 이후에 <북어대가리>부터는 작품 경향이 변하는데 이렇게 보면 이러한 작품들의 발표는 새로운 변화를 모색하는 단계에서의 이강백의 작가격 특성이기도 하다.

작품 및 저서

  • 유토피아를 먹고 잠들다
  • 칠산리
  • 물거품
  • 동지섣달 꽃 본듯이
  • 영월행 일기
  • 봄날
  • 느낌,극락같은
  • 황색여관
  • 보석과 여인
  • 다섯
  • 파수꾼
  • 결혼
  • 내마

기타(수상내역 등)

위 항목에 포함되지 않았지만, 해당 인물을 설명하기 위해서 필요한 정보를 자유롭게 기술합니다.

  • 수상내역
  • 1971년 작품명 '다섯' -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희곡 「다섯」이 당선
  • 1982년 동아연극상
  • 1986년 대한민국 문학상
  • 1989년 서울연극제 희곡상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주어(S) 목적어(O) A는 B를 ~하다(P)

참고문헌

작성자 및 기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