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석"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작품세계 (활동내역))
(참고문헌)
70번째 줄: 70번째 줄:
  
 
네이버 지식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00167&cid=40942&categoryId=34432
 
네이버 지식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00167&cid=40942&categoryId=34432
 +
 +
네이버 지식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997147&cid=47328&categoryId=47328#TABLE_OF_CONTENT4
 +
 
==작성자 및 기여자==
 
==작성자 및 기여자==
 
[[정윤서]]
 
[[정윤서]]
  
 
[[분류:백석]] [[분류:시인]] [[분류:정윤서]]  [[분류:기여자이름]]
 
[[분류:백석]] [[분류:시인]] [[분류:정윤서]]  [[분류:기여자이름]]

2018년 6월 5일 (화) 16:47 판


백석(1912.7.1~1996)

생애

1912년 7월 1일 평안북도 정주에서 태어나 오산소학교를 졸업하고 오산학교에 입학하였다. 그는 오산학교를 다니며 독서에 빠지게 되었고 6년 선배인 김소월을 동경하면서 시인의 꿈을 키웠다.

1929년 오산학교 졸업 후 일본 도쿄의 아오야마 학원 영어사범과에 입학하였다. 그는 유학 중에 일본 시인 이시카와 다쿠보쿠(石川啄木)의 시를 즐겨 읽었고, 모더니즘 운동에 관심을 가졌다.

졸업 후 귀국하여 조선일보 출판사에서 근무하였으며 1935년 조선일보에 시 '정주성'을 발표하며 등단하였다. 1936년 시집 <사슴>을 한정판으로 간행하였다. 같은 해에 조선일보사를 그만 두고 함경남도 함흥으로 가 영생고보의 영어 교사로 부임하였다. 함흥에서 기생 김영한을 만나 사랑에 빠지고 그녀에게 '자야'라는 이름을 지어주었다.

지방적,민속적인 것에 집착하며 특이한 경지를 개척하는데 성공한 시인으로 8·15광복 후에는 고향에 머물렀다. 1963년을 전후하여 협동농장에서 사망한 것으로 알려졌으나, 최근 연구자에 의해 유족 확인을 거친 후, 사망연도가 1996년임이 밝혀졌다.


작품세계 (활동내역)

백석은 당대의 어떤 문단이나 유파에도 속하지 않는 독특한 작품 세계를 보여준다. 언뜻 보기에는 매우 편안하고 일상적인 언어와 평북 지방의 방언을 사용하는 백석의 시는 향토적이고 토속적인 분위기를 강하게 풍기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그러나 그러면서도 그 체험을 조직하는 데 있어 매우 탁월하고 모더니즘적인 느낌을 풍기고 있기도 하다. 이런 점은 초기 백석의 시에서 두드러지는데 고향의 풍물과 민속, 인물들을 다루고 있지만 이를 이야기하는 방식은 묘사를 통해 감정과 정서를 표현하지 않고 매우 객관적으로 절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던 것이다.

그러나 시집 〈사슴〉을 발표한 이후에는 묘사 이외에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담담하게 직접 표현하는 방식으로 시가 변화하게 된다. 백석은 38년 이후의 시에서는 이러한 낭만주의적 시작 태도를 보이면서, 공간성보다도 시간성과 역사성에 관심을 보이게 된다. 이 땅의 역사에서도, 시인 개인으로서도 힘들었던 이 시기에 백석의 시는 원초적이고 공동체적인 삶에 대한 역사성과 깊은 인식을 보여준다.

백석은 앞서 말했듯이 고향의 자연과 풍속, 사람들을 대상으로 시를 썼다. 이 소재들은 단순히 하나의 풍물을 제시하는 것으로서가 아니라 고향의 삶과 역사에 깊이 관련을 맺는 것들이었다. 백석의 시에서 고향은 〈모닥불〉에서 보이듯이 모든 살아있는 존재들이 정겹게 하나 되는 곳으로, 〈여우난곬족〉에서 볼 수 있듯이 인간과 자연, 귀신과 사람까지도 화해롭게 공존하는 제의적이고 풍요로운 공동체적인 공간으로 그려지고 있다. 백석의 시에서 주인공은 고향과 공동체의 품에 안겨 있지만, 현실의 자신은 공동체적 세계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다. 그리고 이러한 모순 속에서 따뜻한 공동체적 삶을 지향하는 마음과 이와 상반되는 현실의 상황이 백석 시에 의미와 생명력을 주고 있는 것이다.

김영한과의 관계

대표작

  •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
  • 여우난 곬족
  • 통영
  • 고향
  • 북방에서
  • 적막강산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백석 김영한 백석은 김영한의 옛 연인이다

참고문헌

네이버 지식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57058&cid=46645&categoryId=46645

네이버 지식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00167&cid=40942&categoryId=34432

네이버 지식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997147&cid=47328&categoryId=47328#TABLE_OF_CONTENT4

작성자 및 기여자

정윤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