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 비로자나불좌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소재지||서울특별시 성북동 |- !지정일||1975.5.10. |- !시대||고려시대 중기 |- !소유(관리)|간송미술관 |- !...)
 
(작성자)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6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소재지||서울특별시 성북동
+
{|class="metadata" style="background:#f2f2f2; width:200px; margin: 5px 5px 5px 5px;" cellspacing="10"
 
|-
 
|-
!지정일||1975.5.10.
+
! colspan="2" style="background:#3ca9a9; color:#ffffff; font-size:130%; text-align:center;" | '''석 비로자나불좌상'''<br/>(石 毘盧舍那佛 坐像)
 
|-
 
|-
!시대||고려시대 중기
+
| colspan="2" style="text-align:center;" | [[파일:석조비로자나불좌상.jpg|섬네일|350px|center|출처: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pageNo=1_1_1_1&ccbaCpno=2111100310000 국가문화유산포털]]]
 +
|-
 +
| style="width:80px; text-align:center;" |'''소재지''' || style="text-align:center;"| 서울특별시 [[성북동]]
 +
|-
 +
| style="text-align:center;"|'''지정일''' || style="text-align:center;"| 1975년 5월 10일
 +
|-
 +
| style="text-align:center;"|'''소유(관리)''' || style="text-align:center;"|[[간송미술관]]
 
|-
 
|-
!소유(관리)|간송미술관
+
| style="text-align:center;"|'''지정유형''' || style="text-align:center;"|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
 
|-
!지정유형||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
| style="text-align:center;"|'''위치''' || {{
 +
#display_map:
 +
Seoul City;
 +
37.59463, 126.99763
 +
|service=googlemaps3
 +
|width=250
 +
|height=200
 +
|type=normal
 +
|overlays=videos-1,wikipedia
 +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
|zoom=12
 +
}}
 
|}
 
|}
 +
 +
 +
==개요==
 +
화강암으로 제작된 높이 1.5m의 석조 불상으로, 현재 [[간송미술관]]에서 소장 중이다.
 +
==이름 유래==
 +
석 비로자나불좌상은 돌(石)로 제작된 비로자나불(毘盧舍那佛)의 앉은 형태의 불상(坐像)이라는 의미로 해석이 가능하다. 이중 비로자나불은 삼신불 중 하나에 해당하는 부처이다.
 +
==특징==
 +
화강암으로 제작된 좌상으로, 머리 부분에 작은 소라 형태의 머리칼이 붙여져 있으며, 형식화된 주름선을 가진 옷이 양 어깨를 감싸는 모습을 보인다.
 +
===대좌===
 +
불상이 앉은 사각형의 대좌에 겹으로 연꽃무늬가 새겨져 있는데, 고려 중기 전후로 나타난 양식으로 알려져 있다.
 +
==문화재 지정==
 +
1975년 5월 10일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
==작성자==
 +
[[정세헌]]
 +
[[분류:유물]] [[분류:불교]] [[분류:유형문화재]] [[분류:석조]] [[분류:불상]] [[분류:성북구의 문화재]] [[분류:간송미술관]] [[분류:성북구]][[분류:고려]][[분류:정세헌]]

2022년 12월 1일 (목) 03:14 기준 최신판


개요

화강암으로 제작된 높이 1.5m의 석조 불상으로, 현재 간송미술관에서 소장 중이다.

이름 유래

석 비로자나불좌상은 돌(石)로 제작된 비로자나불(毘盧舍那佛)의 앉은 형태의 불상(坐像)이라는 의미로 해석이 가능하다. 이중 비로자나불은 삼신불 중 하나에 해당하는 부처이다.

특징

화강암으로 제작된 좌상으로, 머리 부분에 작은 소라 형태의 머리칼이 붙여져 있으며, 형식화된 주름선을 가진 옷이 양 어깨를 감싸는 모습을 보인다.

대좌

불상이 앉은 사각형의 대좌에 겹으로 연꽃무늬가 새겨져 있는데, 고려 중기 전후로 나타난 양식으로 알려져 있다.

문화재 지정

1975년 5월 10일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작성자

정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