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극장(1941)"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26번째 줄: 26번째 줄:
  
 
==(주요)공연연보==
 
==(주요)공연연보==
해당 극단의 주요한 공연작품을 일람할 수 있도록 정리하여 기술합니다.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34%;"
 +
!style="width:8%"|연도!!style="width:8%"|제n회!!style="width:8%"|작품명!!style="width:5%"|극작가!!style="width:5%"|연출자
 +
|-
 +
|}
 +
  1941년  제1회 공연작  흑룡강  유치진  주영섭
 +
  1941년  제2회 공연작  흑경정  함세덕  유치진
 +
  1942년  제3회 공연작  북진대  유치진  주영섭
 +
  1942년  제1회 국민극 경연대회 출품작  대추나무  유치진  서항석
 +
  1943년  제4회 공연작  에밀레종  함세덕  서항석
 +
  1943년  제5회 공연작  봄밤에 온 사나이  이서향  유치진
 +
  1943년  제6회 공연작  남풍  함세덕   
 +
  1943년  제7회 공연작  로나부인행장기  김승구   
 +
  1943년  제8회 공연작  춘성부부   
 +
  1943년  제2회 국민극 경연대회 출품작  황해  함세덕  유치진
 +
  1943년  제9회 공연작  어머니와 아들  함세덕 (번안) 
 +
  1944년  제10회 공연작  무장선 셔먼호  조천석  유치진
 +
  1944년  제11회 공연작  청춘  함세덕  유치진
 +
  1944년  제12회 공연작  낙화암  함세덕  안영일
 +
  1944년  제13회 공연작  봉선화  함세덕  안영일
 +
  1944년  제14회 공연작  뇌명  진우촌   
 +
  1945년  제15회 공연작  백야  함세덕   
 +
  1945년  제16회 공연작  청춘의 윤리  이광래 (각색)   
 +
  1945년  제17회 공연작  애정무한  박재성  유치진
 +
  1945년  제18회 공연작  산비둘기  박재성  유치진
 +
  
 
==관련 인물 ==
 
==관련 인물 ==
37번째 줄: 61번째 줄: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주어(S)]] || [[목적어(O)]] || A는 B를 ~하다(P) ||  
+
| [[함세덕]] || [[현대극장]] || 함세덕은 현대극장에서 근무했다||  
 
|-
 
|-
 +
| [[유치진]] || [[현대극장]] || 유치진은 현대극장에서 근무했다||
 +
|-
 +
 
|}
 
|}
  

2018년 6월 18일 (월) 10:04 판

틀:단체(극단) 정보


현대극장(영문명)

개요

1941년 3월 16일 국민연극의 이론 수립과 그 실천을 표방하고 조직된 극단이다. 현대극장 설립은 유치진과 함세덕이 주도하였다

상세소개

조직 목표

총독부 당국과 당대 연극계의 지도적 인물들이 담합하여 국민연극의 주도적인 위치를 차지하기 위하여 조직하였다. 국민연극의 수립을 위한 우수한 연극인의 육성과 그 정신의 함양을 목표로 하였다.

극단 구성원

토월회, 극예술연구회, 동경학생예술좌, 상업극단 등에 관여하였던 사람들로 폭넓게 이루어졌다.
유치진(柳致眞)을 대표로 선양부 이헌구(李軒求), 무대부 주영섭(朱永涉), 연구부 함대훈(咸大勳), 단원으로는 강정애(姜貞愛)‧강홍식(姜弘植)‧김동혁(金東爀)‧김신재(金信哉)‧김양춘(金陽春)‧김영옥(金映玉)‧마완영(馬完英)‧서항석(徐恒錫)‧유계선(劉桂仙)‧이백수(李白水)‧이웅(李雄)‧이원경(李源庚)‧이해랑(李海浪)‧전옥(全玉)‧함세덕(咸世德)‧현지섭(玄芝涉) 등이 참여하였다.


(주요)공연연보

연도 제n회 작품명 극작가 연출자
  1941년   제1회 공연작  흑룡강  유치진   주영섭 
  1941년   제2회 공연작  흑경정  함세덕   유치진 
  1942년   제3회 공연작  북진대  유치진   주영섭 
  1942년   제1회 국민극 경연대회 출품작  대추나무  유치진   서항석 
  1943년   제4회 공연작  에밀레종  함세덕   서항석 
  1943년   제5회 공연작  봄밤에 온 사나이  이서향   유치진 
  1943년   제6회 공연작  남풍  함세덕    
  1943년   제7회 공연작  로나부인행장기  김승구    
  1943년   제8회 공연작  춘성부부     
  1943년   제2회 국민극 경연대회 출품작  황해  함세덕   유치진 
  1943년   제9회 공연작  어머니와 아들  함세덕 (번안)   
  1944년   제10회 공연작  무장선 셔먼호  조천석   유치진 
  1944년   제11회 공연작  청춘  함세덕   유치진 
  1944년   제12회 공연작  낙화암  함세덕   안영일 
  1944년   제13회 공연작  봉선화  함세덕   안영일 
  1944년   제14회 공연작  뇌명  진우촌    
  1945년   제15회 공연작  백야  함세덕    
  1945년   제16회 공연작  청춘의 윤리  이광래 (각색)    
  1945년   제17회 공연작  애정무한  박재성   유치진 
  1945년   제18회 공연작  산비둘기  박재성   유치진 

관련 인물

유치진, 함세덕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함세덕 현대극장 함세덕은 현대극장에서 근무했다
유치진 현대극장 유치진은 현대극장에서 근무했다

참고문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현대문학대사전

작성자 및 기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