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용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생애)
(생애)
27번째 줄: 27번째 줄: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width:70%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width:70%
 
|-
 
|-
|1901년 5월 22일 대구시 중구 서문로 2가 11번지에서 부친 이시우(李時雨), 모친 김신자(金愼子)의 차남으로 출생
+
|1879년 8월 29일 ||충청도 결성현 현내면 박철리에서 아버지 한응준, 어머니 방숙영의 두 아들 중 차남으로 출생
 
|-
 
|-
|1923년 3월 ||부친 이시우 사망, 상정 12세, 상화 8세, 상백 6세, 상오 4세
+
|1905년 ||설악산 백담사에서 정식으로 득도
 
|-
 
|-
|1914년 ||한문수학을 마친 후 1년간 신학문(일어, 산술, 박물 등 초등학교 과정)을 배움
+
|1909년 ||《조선불교유신론》 집필
 
|-
 
|-
|1915년 ||서울 계동 32번지에서 하숙하면서 정규교육기관인 경성 중앙학교 입학
+
|1910년 ||한일불교동맹을 반대철폐하고 이회영, 박은식, 김동삼 등의 독립지사들을 만나 독립운동을 협의
 
|-
 
|-
|1917년 ||경성 중앙학교 3년 수료, 7월 강원도 일대 방랑
+
|1914년 ||『채근담 菜根譚』 저술, 조선불교청년동맹 결성
 
|-
 
|-
|1919년 ||백기만 등과 대구 3 · 1운동거사 당시 학생운동 배후조종, 선전문 등 사
+
|1917년 ||조선불교회 회장 취임
 +
|-
 +
|1918년 ||불교 최초의 잡지인《유심》발행
 +
|-
 +
|1919년 ||3.1 만세 운동 당시 독립선언을 하여 체포당한 뒤 3년간 서대문 형무소에서 복역 후 출소
 +
|-
 +
|1926년 ||〈님의 침묵〉 발표
 +
|-
 +
|1927년 ||신간회 결성에 주도적으로 참여
 +
|-
 +
|1931년 ||잡지 《불교》를 인수하여 사장으로 취임
 +
|-
 +
|1935년 ||1935년『조선일보』에 장편소설 「흑풍」연재
 +
|-
 +
|1944년 6월 29일 ||심우장에서 중풍으로 별세
 
|-
 
|-
 
|}
 
|}
 
1879년 8월 29일 충청도 결성현 현내면 박철리에서 아버지 한응준, 어머니 방숙영의 두 아들 중 차남으로 출생
 
  
 
==작품목록==
 
==작품목록==

2022년 5월 31일 (화) 01:53 판

개요

생애

1879년 8월 29일 충청도 결성현 현내면 박철리에서 아버지 한응준, 어머니 방숙영의 두 아들 중 차남으로 출생
1905년 설악산 백담사에서 정식으로 득도
1909년 《조선불교유신론》 집필
1910년 한일불교동맹을 반대철폐하고 이회영, 박은식, 김동삼 등의 독립지사들을 만나 독립운동을 협의
1914년 『채근담 菜根譚』 저술, 조선불교청년동맹 결성
1917년 조선불교회 회장 취임
1918년 불교 최초의 잡지인《유심》발행
1919년 3.1 만세 운동 당시 독립선언을 하여 체포당한 뒤 3년간 서대문 형무소에서 복역 후 출소
1926년 〈님의 침묵〉 발표
1927년 신간회 결성에 주도적으로 참여
1931년 잡지 《불교》를 인수하여 사장으로 취임
1935년 1935년『조선일보』에 장편소설 「흑풍」연재
1944년 6월 29일 심우장에서 중풍으로 별세

작품목록

1. 님의 침묵

2. 이별은 미의 창조

3. 알 수 없어요

4. 나는 잊고저

5. 가지 마서요

6. 고적한 밤

7. 나의 길

8. 꿈 깨고서

9. 藝術家

10. 이별

11. 길이 막혀

12. 自由貞操

13. 하나가 되어주셔요

14. 나룻배와 행인

15. 차라리

16. 나의 노래

17. 당신이 아니더면

18. 잠 없는 꿈

19. 生命

20. 사랑의 測量

21. 眞珠

22. 슬픔의 삼매

23. 의심하지 마셔요

24. 당신은

25. 행복

26. 錯認

27. 밤은 고요하고

28. 秘密

29. 사랑의 存在

30. 꿈과 근심

31. 葡萄酒

32. 誹謗

33. 「?」

34. 님의 손길

35. 海棠花

36. 당신을 보았습니다

37. 비

38. 복종

39. 참아 주셔요

40. 어느것이 참이냐

41. 情天恨海

42. 첫 키스

43. 禪師의 說法

44. 그를 보내며

45. 金剛山

46. 님의 얼굴

47. 심은 버들

48. 樂園은 가시덤풀에서

49. 참말인가요

50. 꽃이 먼저 알아

51. 찬송

52. 論介의 愛人이 되어서 그의 廟에

53. 後悔

54. 사랑하는 까닭

55. 당신의 편지

56. 거짓 이별

57. 꿈이라면

58. 달을 보며

59. 因果律

60. 잠꼬대

61. 桂月香에게

62. 滿足

63. 反比例

64. 눈물

65. 어디라도

66. 떠날 때의 님의 얼굴

67. 最初의 님

68. 두견새

69. 나의 꿈

70. 우는 때

71. 타골의 詩를 읽고

72. 수의 비밀

73. 사랑의 불

74. 「사랑」을 사랑하여요

75. 버리지 아니하면

76. 당신 가신 때

77. 妖術

78. 당신의 마음

79. 여름밤이 길어요

80. 冥想

81. 칠석

82. 생의 예술

83. 꽃싸움

84. 거문고 탈 때

85. 오셔요

86. 쾌락

87. 苦待

88. 사랑의 끝판

89.讀者에게


한시

기타시

1. 心

2. 一萃艸의 生命

3. 가갸날에 對하야

4. 成佛과 往生

5. 聖誕

6. 비바람

7. 반달과 小女

8. 山村의 여름 저녁

9. 歲暮

10. 淺日

11. 山居

12. 산골 물

13. 矛盾

14. 쥐

15. 日出

16. 海村의

17. 江배

18. 落花

19. 一萃草

20. 모기

21. 파리

시조

1. 尋牛在

2. 還家

3. 禪友에게

4. 早春

5. 春畵

6. 襌境

7. 秋夜短

8. 春朝

9. 코스모스

10. 漁翁

11. 男兒

12. 成功

13. 秋花

14. 織業婦人

15. 漂娥

16. 秋夜夢

17. 漢江에서

18. 사랑

19. 우리 님

20. 無題 一四 수

21. 無窮花 심으과저

소설

「黑風」, 《朝鮮日報》, 1935.4.9~1936.2.1

「後悔」(50회 연재중 폐간), 《朝鮮中央日報》, 1936

「鐵血美人」, 《新佛敎》 1~2호, 1937.3.~4

「薄命」, 《朝鮮日報》, 1938.5.18~1939.3.10

「三國志」, 《朝鮮日報》, 1939.11.1.~1940.8.11

단행본

조선불교유신론(朝鮮佛敎維新論)』, 불교서관. 1913

『불교대전(佛敎大典)』, 범어사, 1914

『정선강의(精選講義) 채근담(菜根譚)』, 신문관(新文館), 1917

『十玄談註解』, 法寶會, 1925.6.7

수상목록

기념관

문학적 가치

출처

기여자

느낌있조

강서연

박민선

송영찬

송찬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