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자 상감운학문 매병"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청자 상감운학문 매병== <div style="text-align:center; width:auto;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청자 상감운학문 매병'''</div> <div style="text-align:c...)
 
7번째 줄: 7번째 줄:
 
[[파일:청자 상감운학문 매병.jpg|가운데|청자 상감운학문 매병]]
 
[[파일:청자 상감운학문 매병.jpg|가운데|청자 상감운학문 매병]]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600;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
|지정유형: [[국보]] || 지정일: 1962.12.20
 +
|-
 +
|종류: 유물 / 공예 / 청자
 +
|-
 +
|시대: [[고려|고려시대]] || 시기: 12세기 후반
 +
|-
 +
|비고: 고려시대 12세기 후반 제작 || 
 +
|-
 +
|소재지: [[성북동]] || 소유(관리): [[간송미술관]]
 +
|}
 
----
 
----
  
 +
<div style="text-align:center; width:auto;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간송미술관이 보유하고 있는 고려청자</div>
 +
*요약
 +
12세기 말에 제작된 고려청자.
 +
 +
고려 [[매병|매병(梅甁)]]은 중국 [[송나라|송(宋)나라]] 매병에서 유래된 것이지만, 12세기경에 이르러 고려만의 풍만하면서도 유연한 선의 아름다움이 나타난다.
 +
이 문화재는 이러한 고려 매병의 양식을 따라 세련미의 극치를 보여주고 있다.
 +
 +
*크기 및 모양
 +
높이 42.1㎝, 입지름 6.2㎝, 밑지름 17㎝. 매병의 구연부는 작고 낮으며 밖으로 살짝 벌어져 있다.
 +
[[구연부]]의 아랫부분에는 꽃무늬를 둘렀으며 굽 위로는 연꽃무늬를 둘렀다.
 +
몸통 전면에는 [[구름]]과 [[학]]을 새겨 넣었는데, 흑백상감한 원 안에는 하늘을 향해 날아가는 학과 구름무늬를, 원 밖에는 아래쪽을 향해 내려가는 학과 구름무늬를 새겼다.
 +
학의 진행방향을 다르게 표현한 것은 도자기 표면이라는 일정한 제약을 넘어 사방으로 공간을 확산시켜 짜여진 구획으로부터의 자유로움을 추구한 듯하다.
 +
 +
 +
*역사적의의
 +
표현상의 변화 추구와 함께 문양처리의 능숙함에서 고려 도자기의 우수함과 고려인의 창의력을 엿볼 수 있다.
 
----
 
----
  

2022년 11월 25일 (금) 12:17 판

청자 상감운학문 매병

청자 상감운학문 매병
|靑磁 象嵌雲鶴文 梅甁|
청자 상감운학문 매병

지정유형: 국보 지정일: 1962.12.20
종류: 유물 / 공예 / 청자
시대: 고려시대 시기: 12세기 후반
비고: 고려시대 12세기 후반 제작
소재지: 성북동 소유(관리): 간송미술관

간송미술관이 보유하고 있는 고려청자
  • 요약

12세기 말에 제작된 고려청자.

고려 매병(梅甁)은 중국 송(宋)나라 매병에서 유래된 것이지만, 12세기경에 이르러 고려만의 풍만하면서도 유연한 선의 아름다움이 나타난다. 이 문화재는 이러한 고려 매병의 양식을 따라 세련미의 극치를 보여주고 있다.

  • 크기 및 모양

높이 42.1㎝, 입지름 6.2㎝, 밑지름 17㎝. 매병의 구연부는 작고 낮으며 밖으로 살짝 벌어져 있다. 구연부의 아랫부분에는 꽃무늬를 둘렀으며 굽 위로는 연꽃무늬를 둘렀다. 몸통 전면에는 구름을 새겨 넣었는데, 흑백상감한 원 안에는 하늘을 향해 날아가는 학과 구름무늬를, 원 밖에는 아래쪽을 향해 내려가는 학과 구름무늬를 새겼다. 학의 진행방향을 다르게 표현한 것은 도자기 표면이라는 일정한 제약을 넘어 사방으로 공간을 확산시켜 짜여진 구획으로부터의 자유로움을 추구한 듯하다.


  • 역사적의의

표현상의 변화 추구와 함께 문양처리의 능숙함에서 고려 도자기의 우수함과 고려인의 창의력을 엿볼 수 있다.


문서제작: 홍진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