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인훈"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력)
(생애)
19번째 줄: 19번째 줄:
  
 
=='''생애'''==
 
=='''생애'''==
'''최인훈'''(崔仁勳, 1936년 4월 13일~2018년 7월 23일)은 [[그레이 구락부 전말기]],[[라울전]]을 자유문학지에 발표하며 등단한 이후, [[화두]], [[회색인]], [[웃음소리]], [[서유기]], [[화유기]]대표작을 저술한 대한민국의 소설가이다. 최인훈은 아버지 최국성(崔國星), 어머니 김경숙(金敬淑)의 장남으로, 함경북도 회령에서 태어나 가족과 월남 후 경기도 고양시에서 사망했다.
+
 
 +
===작가소개===
 +
'''최인훈(崔仁勳, 1936년 4월 13일~2018년 7월 23일)'''전근대적인 상황과 양대 이데올로기의 틈새에서 끊임없는 화두를 던진 전후 한국현대문학의 대표 작가이다. 근대성에 대한 관심, 이데올로기에 대한 저항, 그리고 새로운 형식의 탐구를 바탕으로 “신이 죽은 시대, 신화가 사라진 시대에 신비주의와 소재주의에 빠지지 않고 자기의 방법론으로 개발한 내면성 탐구의 절정”에 선 작가이다.
 +
 
 +
1936년에 함경북도 회령에서 태어나서 8.15 해방 이후 함경남도 원산으로 이사하여 그 곳에서 중학교를 다녔다. 이어 원산고등학교를 다니던 중 6.25 전쟁이 발발하자 월남하여 목포고등학교를 거쳐서 서울대 법대에 재학하였으나 중퇴하였다. 1959년 『자유문학』에 「그레이구락부전말기」와 「라울전」을 발표하면서 등단하였다. 이 두 작품은 관념과 현실, 그리고 자아와 세계의 대립 구도를 바탕으로 하고 있는데 이는 최인훈 소설에서 나타나는 현실인식의 기본적인 구도를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이후 「9월의 다알리아」, 「우상의 집」, 「가면고」 등을 발표하였고 1960년 11월에 『새벽』에 중편소설 「광장」을 발표하였다.
 +
 
 +
「광장」 이후 최인훈은 「회색인」, 「서유기」, 「총독의 소리」 연작,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태풍」 많은 소설을 발표하였다. 각 소설마다 환상과 현실을 넘나드는 새로운 형식과 자아와 현실에 대한 성찰의 결과라고 할 수 있는 사변적인 내용으로 인하여 지속적인 주목을 받고 있다. 오랜 동안 소설 창작을 중지하고 희곡 창작에 전념하기도 하였는데 희곡 「옛날 옛적에 훠어이 훠이」 등의 작품은 한국의 신화적인 세계를 통해서 민족의 본성을 탐구한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
 
 +
1994년에는 자기 존재의 실존적 의미를 탐구한 자전적인 장편소설 「화두」를 발표하여 이산문학상을 수상하면서 새롭게 주목을 받았다. 동인문학상과 한국연극영화예술상 희곡상, 중앙문화대상 예술부문 장려상, 서울 극평가그룹상 등 많은 상을 수상하였다. 1979년에 문학과지성사에서 『최인훈 전집』을 출간하고 1977년부터 2001년 5월까지 서울예술대학 문예창작과 교수로 재직하였으며, 퇴임 이후에도 명예교수로 예우받았다. 그리고 2018년 7월 23일 별세했다.
 +
 
  
 
===연보===
 
===연보===

2020년 6월 20일 (토) 23:00 판


생애

작가소개

최인훈(崔仁勳, 1936년 4월 13일~2018년 7월 23일)은 전근대적인 상황과 양대 이데올로기의 틈새에서 끊임없는 화두를 던진 전후 한국현대문학의 대표 작가이다. 근대성에 대한 관심, 이데올로기에 대한 저항, 그리고 새로운 형식의 탐구를 바탕으로 “신이 죽은 시대, 신화가 사라진 시대에 신비주의와 소재주의에 빠지지 않고 자기의 방법론으로 개발한 내면성 탐구의 절정”에 선 작가이다.

1936년에 함경북도 회령에서 태어나서 8.15 해방 이후 함경남도 원산으로 이사하여 그 곳에서 중학교를 다녔다. 이어 원산고등학교를 다니던 중 6.25 전쟁이 발발하자 월남하여 목포고등학교를 거쳐서 서울대 법대에 재학하였으나 중퇴하였다. 1959년 『자유문학』에 「그레이구락부전말기」와 「라울전」을 발표하면서 등단하였다. 이 두 작품은 관념과 현실, 그리고 자아와 세계의 대립 구도를 바탕으로 하고 있는데 이는 최인훈 소설에서 나타나는 현실인식의 기본적인 구도를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이후 「9월의 다알리아」, 「우상의 집」, 「가면고」 등을 발표하였고 1960년 11월에 『새벽』에 중편소설 「광장」을 발표하였다.

「광장」 이후 최인훈은 「회색인」, 「서유기」, 「총독의 소리」 연작,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태풍」 등 많은 소설을 발표하였다. 각 소설마다 환상과 현실을 넘나드는 새로운 형식과 자아와 현실에 대한 성찰의 결과라고 할 수 있는 사변적인 내용으로 인하여 지속적인 주목을 받고 있다. 오랜 동안 소설 창작을 중지하고 희곡 창작에 전념하기도 하였는데 희곡 「옛날 옛적에 훠어이 훠이」 등의 작품은 한국의 신화적인 세계를 통해서 민족의 본성을 탐구한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1994년에는 자기 존재의 실존적 의미를 탐구한 자전적인 장편소설 「화두」를 발표하여 이산문학상을 수상하면서 새롭게 주목을 받았다. 동인문학상과 한국연극영화예술상 희곡상, 중앙문화대상 예술부문 장려상, 서울 극평가그룹상 등 많은 상을 수상하였다. 1979년에 문학과지성사에서 『최인훈 전집』을 출간하고 1977년부터 2001년 5월까지 서울예술대학 문예창작과 교수로 재직하였으며, 퇴임 이후에도 명예교수로 예우받았다. 그리고 2018년 7월 23일 별세했다.


연보

시간정보 내용
1934년 함경북도 회령출생(공식 출생기록은 1936년)
1950년 고등학교 재학 중 한국전쟁 발발로 월남
1952년 서울대 법대 입학
1956년 서울대 중퇴
1958년 군 입대, 6년간 통역장교로 복무
1959년 군 복무 중 쓴 단편소설 '그레이 구락부 전말기', '라울전'을 '자유문학지'에 발표하며 등단
1960년 '새벽'지에 중편소설 '광장' 발표
1963~ '회색인, '서유기', 총독의 소리' 연작, '화두' 등 대표작 발표, 이 외 소설 '태풍', '크리스마스 캐럴/가면고', '하늘의 다리/두만감', '우상의 집' 등과 희곡집 '옛날 옛적에 훠어이 훠이', 산문집 '유토피아의 꿈', '문학과 이데올로기', '길에 관한 명상' 등 발표
1966년 동인문학상 수상
1977~2001년 서울예술대학 문예창작과 교수로 활동
2003년 단편 '바다의 편지' 계간지에 발표
2008년 '최인훈 전집'발간
2018년 7월 23일 대장암 투병 중 향년 84세로 별세


수상내역

  • 1966 제 11회 동인문학상
  • 1977 한국연극영화예술상 희곡상
  • 1994 제 6회 이산문학상
  • 1994 서울시문학상
  • 1994 한국일보 희곡상
  • 1994 문화훈장 대통령장
  • 2011 제 1회 박경리문학상
  • 2018 금관문화훈장


경력

  • 1995년 문학의해 조직위원회 위원
  • 1977~2011년 서울예술대학 문예창작과 교수
  • 2001~ 서울예술대학 문예창작과 명예교수

작품

관련자료

최인훈 영상

문학과지성사 4.19 특별대담 전편, 후편 동영상(김치수, 최인훈)

연구 및 비평

최인훈 관련 동영상

최인훈 광장 1부: 6.25분단 70년 역사상 최고의 소설(일당백)

지식의 기쁨-최인훈, 제3의 이상향을 찾아서(ebs교양)

학위논문

  • 최인훈 소설에 나타난 공포와 죄의식 연구 :‘언캐니(uncanny)' 개념을 중심으로

유예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 1960년대 한국 민족주의와 최인훈 소설의 담론적 대응에 관한 연구 :탈식민주의적 관점을 중심으로

반재영,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 최인훈의 소설 창작론 연구 :'풍속'과 '방법'을 중심으로

장소영,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 최인훈 문학의 탈식민성 연구

구연주(Gu, Yeon Ju),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 최인훈 소설의 자기 반영적 글쓰기 연구

연남경,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 최인훈 소설의 유토피아 의식 연구

Khan, Afzal Ahmad,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 최인훈의 <가면고>에 나타난 실존주의의 영향

백주현, 고려대학교, [2007] [국내석사]

  • 최인훈 희곡의 탈식민성 연구

정수진, 한국예술종합학교, [2008] [국내석사]

  • 최인훈 소설 연구 :인식 태도와 서술 방식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서은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박사]

  • 최인훈의 반사실주의 소설 연구 :[가면고], [구운몽], [서유기]를 중심으로

유초선,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국내학술연구

  • 최인훈 문학의 관념성 연구  : 최인훈의 문학 에세이를 중심으로 = Ideality of Choi In-hun’s Literature -Based on His Literary Essays

배지연(Bae, Ji-yeon), (한국언어문학 Vol.78 No.-,[2011])[KCI등재]

  • 최인훈 문학의 ‘이언어적 말걸기’ 양상 연구  : 최인훈의 언어의식을 중심으로

안지영, (한국민족문화 Vol.71 No.-,[2019])[KCI등재]

  • 최인훈 문학에 나타난 희생제의 연구  : 최인훈 작품 세계 연구 (Ⅰ) = A study on works of In-hun Choi (Ⅰ)

김남석, (한국학연구 Vol.15 No.-,2011)][KCI등재]

  • 최인훈의 에세이에 나타난 문학론 연구 = A Study on Choi, Inhoon(崔仁勳)‘s Literal Essays

권성우,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55 No.-,[2012]),[KCI등재]

  • 최인훈의 단편소설

공종구(Jong Goo Kong), (현대소설연구 Vol.- No.34,[2007])[KCI등재]

  • 최인훈 소설의 주체 양상 연구 = 인물의 역할과 의미를 중심으로

한창석(Chang Suk Han), (현대소설연구 Vol.- No.32,[2006])[KCI등재]


2차저작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