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아있는 이중생 각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참고문헌 및 출처)
5번째 줄: 5번째 줄:
  
 
==줄거리==
 
==줄거리==
 +
 +
==작품 해설==
 +
===작품 제목의 의미===
 +
*반어적과 동시에 강한 풍자성을 띠고 있다. 엄연히 살아 있는 사람을‘살아 있는’이라고 강조하면서 조롱하며 살아 있으면서 죽은 척하는 인물의 이중적인 행태와 자식에게 자신의 존재를 부정당하는 것에서 살아 있지만 살아 있다고 할 수 없는 반어적 의미를 나타낸다, 또한‘각하’라는 높은 호칭을 사용하여 부정적인 이중생의 모습을 풍자한다.
 +
 +
===작품의 시사성===
 +
*1949년 친일파 경제 사범을 소재로 하는 사회풍자극이다. 반일 감정과 반공 의식으 드러나며 '이중생'의 부정적인 모습을 통해 인간 군상에 대한 고발 의식을 보여주고 있다.
  
  

2018년 6월 17일 (일) 13:08 판

살아있는 이중생 각하

개요

극작가 오영진이 1949년에 발표한 3막 4장으로 구성된 희곡으로 <인생차압(人生差押)>이라는 이름으로 공연되었으며 극예술협회에서 1949년 6월에 초연되었다.

줄거리

작품 해설

작품 제목의 의미

  • 반어적과 동시에 강한 풍자성을 띠고 있다. 엄연히 살아 있는 사람을‘살아 있는’이라고 강조하면서 조롱하며 살아 있으면서 죽은 척하는 인물의 이중적인 행태와 자식에게 자신의 존재를 부정당하는 것에서 살아 있지만 살아 있다고 할 수 없는 반어적 의미를 나타낸다, 또한‘각하’라는 높은 호칭을 사용하여 부정적인 이중생의 모습을 풍자한다.

작품의 시사성

  • 1949년 친일파 경제 사범을 소재로 하는 사회풍자극이다. 반일 감정과 반공 의식으 드러나며 '이중생'의 부정적인 모습을 통해 인간 군상에 대한 고발 의식을 보여주고 있다.


공연 정보

살아있는 이중생 각하 공연 정보 출처:DA-Arts 한국예술디지털아카이브
공연날짜 공연명 공연단체 공연장소
0.00.00 ~ 0.00.00 살아있는 이중생(李重生) 각하 극단 연우무대 문예회관
2000.06.26 ~ 2000.06.27 살아있는 이중생 각하 한국대학 연극학가 교수협의회 문예회관
2011.01.08 ~ 2011.01.16 살아있는 이중생 각하 연희단거리패 대학로예술극장
2014.09.12 ~ 2014.09.28 살아있는 이중생 각하 국립극단 국립극장

공연 영상

  • 국립극단
    • 연극 살아있는 이중생 각하


참고문헌 및 출처

작성자 및 기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