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인제 극단"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11번째 줄: 11번째 줄:
  
 
==특징==
 
==특징==
===[[부족리극]]===
+
===[[부조리극]]===
*동인제 극단은 [[부조리극]]의 산파역할을 하였다. 동인제 극단은 대부분 [[실험극]] 내지는 [[전위극]]을 표방하였는데, 그 레퍼토리는 [[부조리극]]으로 채워졌다. 이러한 사실은 곧 부조리극을 [[전위극]]의 대명사로 인식한 당시의 정황을 잘 말해준다.
+
*동인제 극단은 [[부조리극]]의 산파역할을 하였다. 동인제 극단은 대부분 [[실험극]] 내지는 [[전위극]]을 표방하였는데, 그 레퍼토리는 [[부조리극]]으로 채워졌다.
 
 
 
*[[부조리극]] 대표 극단
 
*[[부조리극]] 대표 극단
 
**여러 동인제 극단 중에서도 특리 [[부조리극]] 소개에 적극적이었던 극장이다.
 
**여러 동인제 극단 중에서도 특리 [[부조리극]] 소개에 적극적이었던 극장이다.
 
**[[실험극장]], [[민중극장]], [[자유극장]], [[극단 드라마센터]], [[극단 에저또]], [[극단 산울림]]
 
**[[실험극장]], [[민중극장]], [[자유극장]], [[극단 드라마센터]], [[극단 에저또]], [[극단 산울림]]
  
===대중화 운동===
+
===연극 대중화 운동===
  
 
==의의==
 
==의의==

2018년 6월 19일 (화) 16:11 판

동인제 극단


정의

모든 단원이 극단에 대한 권리와 의무를 동시에 지는 운영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극단을 의미한다. 60년대 이후 등장한 극단 들로, 당대 젊은 연극인들이 주축이 되어 만들었다.


연원 및 변천

동인제는 1960년대 한국 연극 극단에 널리 수용되었다.동인제 극단들은 활발한 활동으로 극계를 이끌어갔다. 이들은 1950년대와는 달리 직업 극단으로서의 체제를 선언하고 나섰다. 이들 동인제 극단의 구성원들 중 상당수가 1950년대와는 달리 연극을 직업으로 하여 극단 활동에 몰두하였기 때문에 연극계에 새로운 토대를 형성하는 에너지를 발휘할 수 있었다.

특징

부조리극

연극 대중화 운동

의의

극단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주어(S) 목적어(O) A는 B를 ~하다(P)

참고문헌

작성자 및 기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