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미주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와일드)
(오스카 와일드)
 
8번째 줄: 8번째 줄:
 
와일드는 예술가가 도덕적 기준과 관습에 상관없이 예술 표현을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자율성과 독창성을 지녀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의 주장으로 문학의 경계가 더욱 넓어졌으며 예굴가의 역할과 책임을 재규정했다.  
 
와일드는 예술가가 도덕적 기준과 관습에 상관없이 예술 표현을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자율성과 독창성을 지녀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의 주장으로 문학의 경계가 더욱 넓어졌으며 예굴가의 역할과 책임을 재규정했다.  
 
  "세상에는 도덕적인 책도, 비도덕적인 책도 없다. 잘 쓴 책과 그렇기 못한 책이 있을 뿐이다. 그게 전부다"  
 
  "세상에는 도덕적인 책도, 비도덕적인 책도 없다. 잘 쓴 책과 그렇기 못한 책이 있을 뿐이다. 그게 전부다"  
   -와일드, 도리안 그레이의 초상-
+
   -와일드, [[도리안 그레이의 초상]]-
  
 
==네트워크 그래프==
 
==네트워크 그래프==

2022년 6월 15일 (수) 21:35 기준 최신판

정의

예술적 가치와 윤리적 가치는 무관하기에 따로 보아야한다는 주장이다. 심미주의를 주장하는 사람들은 윤리나 도덕적 기준으로 예술적 가치를 판단해서는 안되며 예술은 예술을 위한 예술일 뿐이기에 미적 가치만을 추구하는 것이 목적이라고 한다.

  • 한계: 예술과 예술가의 사회적 영향력을 간과했다.

오스카 와일드

오스카 와일드는 심미주의를 주장하던 대표적인 사람이다. 와일드는 예술가가 도덕적 기준과 관습에 상관없이 예술 표현을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자율성과 독창성을 지녀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의 주장으로 문학의 경계가 더욱 넓어졌으며 예굴가의 역할과 책임을 재규정했다.

"세상에는 도덕적인 책도, 비도덕적인 책도 없다. 잘 쓴 책과 그렇기 못한 책이 있을 뿐이다. 그게 전부다" 
 -와일드, 도리안 그레이의 초상-

네트워크 그래프

작성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