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북구의 주요 문화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혼천의및 혼천시계)
(혼천의및 혼천시계)
8번째 줄: 8번째 줄:
  
 
시계의 지름은 40㎝이고, 그 중심에 위치한 지구의(地球儀)의 지름은 약 8.9㎝이다. 2개의 추 운동에 의하여 움직이는데, 하나는 시각을 위한 바퀴와 톱니바퀴들을 회전시키고, 다른 하나는 종을 치는 장치를 위한 것으로, 여러 개의 쇠구슬이 홈통 안을 굴러 내려감으로써 종을 치는 망치가 걸려 곧 종이 울리고, 회전바퀴 살에 붙은 주걱들에 의하여 쇠구슬이 들리면서 이 작동이 반복된다. 즉, 2개의 축을 동력으로 하여 여러 가지 톱니바퀴를 움직이는 시계 장치와 지구의가 설치된 혼천의 두 부분이 연결되어 있어 시간과 천체의 위치를 동시에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시계의 지름은 40㎝이고, 그 중심에 위치한 지구의(地球儀)의 지름은 약 8.9㎝이다. 2개의 추 운동에 의하여 움직이는데, 하나는 시각을 위한 바퀴와 톱니바퀴들을 회전시키고, 다른 하나는 종을 치는 장치를 위한 것으로, 여러 개의 쇠구슬이 홈통 안을 굴러 내려감으로써 종을 치는 망치가 걸려 곧 종이 울리고, 회전바퀴 살에 붙은 주걱들에 의하여 쇠구슬이 들리면서 이 작동이 반복된다. 즉, 2개의 축을 동력으로 하여 여러 가지 톱니바퀴를 움직이는 시계 장치와 지구의가 설치된 혼천의 두 부분이 연결되어 있어 시간과 천체의 위치를 동시에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youtube>BYy5fWpOHqI</youtube>
+
 
 +
<youtube>bmPymwaEmZA</youtube>
  
 
===동궐도===
 
===동궐도===

2022년 6월 21일 (화) 10:32 판

국보

혼천의및 혼천시계

혼천의 및 혼천시계.jpeg

1985.08.09
#독창적 
#천문시계

조선 현종 10년 천문학 교수였던 송이영이 만든 천문시계로, 조선시대에 만든 천문시계 중 유일하게 남아있는 유물이다. 홍문관에 설치하여 시간 측정과 천문학 교습을 위해 쓰였다.

시계의 지름은 40㎝이고, 그 중심에 위치한 지구의(地球儀)의 지름은 약 8.9㎝이다. 2개의 추 운동에 의하여 움직이는데, 하나는 시각을 위한 바퀴와 톱니바퀴들을 회전시키고, 다른 하나는 종을 치는 장치를 위한 것으로, 여러 개의 쇠구슬이 홈통 안을 굴러 내려감으로써 종을 치는 망치가 걸려 곧 종이 울리고, 회전바퀴 살에 붙은 주걱들에 의하여 쇠구슬이 들리면서 이 작동이 반복된다. 즉, 2개의 축을 동력으로 하여 여러 가지 톱니바퀴를 움직이는 시계 장치와 지구의가 설치된 혼천의 두 부분이 연결되어 있어 시간과 천체의 위치를 동시에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동궐도

동궐도.jpg

1989.08.01
#궁궐도

본궁인 경복궁 동쪽에 있는 창덕궁과 창경궁을 그린 궁궐그림 2점이다. 크기는 가로 576㎝, 세로 273㎝로 16첩 병풍으로 꾸며져 있다. 오른쪽 위에서 비껴 내려 보는 시각으로 산과 언덕에 둘러싸인 두 궁의 전각과 다리, 담장은 물론 연꽃과 괴석 등 조경까지 실제와 같은 모습으로 선명하고 세밀하게 묘사하고 있다. 배경이 되는 산과 언덕에 대한 묘사는 중국 남종화의 준법을 따르고 있으나, 건물의 표현과 원근 처리에 있어서는 서양화 기법에 영향을 받은 듯하다. 또 다른 그림도 똑같은 형식과 기법, 크기를 하고 있으나 채색을 하고 검은 글씨로 건물의 명칭을 써 넣은 점이 다르다. 그림들은 순조 30년(1830년) 이전에 도화서 화원들이 그린 것으로 추정된다. 회화적 가치보다 궁궐 건물 연구에 큰 의미를 가지고 있다.

청자 모자원숭이모양 연적

2279363.jpg

1992.04.20
#고려_청자_연적 #원숭이_모양 #모자(母子)_모양

고려시대 때 만들어진 원숭이 모양 청자 연적으로, 크기는 높이 9.8㎝, 몸통 지름 6.0㎝이다. 어미 원숭이 머리 위에는 지름 1.0㎝ 정도의 물을 넣는 구멍이, 새끼의 머리 위에는 지름 0.3㎝인 물을 벼루에 따라내는 구멍이 각각 뚫려 있어 연적임을 알 수 있다. 두 원숭이의 손가락과 발가락은 그 사이사이를 파내어 도드라지게 표현하였고, 어미 원숭이의 눈, 코와 새끼 원숭이의 눈은 검은 색 안료로 점을 찍어 나타냈다. 어미 원숭이의 엉거주춤한 자세, 보채는 새끼의 모습을 통해 원숭이 모자의 사랑을 재미있게 묘사하였다.

보물

동인지문사육

동인지문사육 권1~3, 4~6, 10~12, 13~15

동인지문사육 권1~6

동인지문사육 권7~9

1613712.jpg

  • 동인지문사육 권1~3, 4~6, 10~12, 13~15

1613717.jpg

  • 동인지문사육 권1~6

1613734.jpg

  • 동인지문사육 권7~9
1981.03.18
#시문의_선발_책자가_이루어진_것을_확인해볼_수_있는_최초_시문선집

동인지문사육은 고려시대의 문인인 최해(崔瀣,1287∼1340)가 편집한 책이다. 신라와 고려시대의 문장을 모은 것으로, 권 1∼6의 총 6권 2책이다. 이 책 권 5의 마지막 간행물에 나타난 고려시대 역대 왕의 휘호인 건(健), 무(武), 운(運), 요(堯), 치(治) 등의 글자는 획을 빠뜨리거나 대신 다른 글자를 쓰고 있는데 이는 고려본의 공통된 특징이다.

대동여지도

1614093.jpg

수선전도 목판

1614110.jpg

묘법연화경 권3~4, 5~7(2014)

2016101116240702.jpg

용비어천가 권1~2, 7~8

1614866.jpg

해동팔도봉화산악지도

1614896.jpg

서궐도안

1614899.jpg

청구도

1614935.jpg

백자 청화 흥녕부대부인 묘지 및 석함

2021102917334104.jpg

앙부일구

2022022210162300.jpg

국가민속문화재

사영 김병기 일가 옷

1633024.jpg

고대박물관 소장 홍진종 의복

1633265.jpg

서울특별시유형문화재

계미동경소진첩

1636541.jpg

괴원성회록

1636545.jpg

몽산화상육도보설

E383c4ca-e13f-4f.png

묘법연화경

Search.pstatic.jpg

서울특별시문화재자료

선가귀감

2021080310095803.jpg

국가등록문화재

서울 보화각

201912301538360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