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송미술관의 문화재(국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주요소장품)
(동국정운)
34번째 줄: 34번째 줄:
  
 
===동국정운===
 
===동국정운===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style="caption-side:bottom; text-align:left;"|출처: 간송미술관
 +
|-
 +
|발행년도 || 1448년
 +
|-
 +
|반곽 || 34.1x20.2cm
 +
|-
 +
|국보 || 제71호
 +
|}
 +
우리나라의 한자음을 바로잡아 통일된 표준음을 정하려는 목적으로 간행된 책이다. 세종 30년인 1448년에 신숙주, 성산문, 최향, 박팽년 등이 왕명을 받고 편찬하여 간행했다.
 +
6권 6책의 활자본으로 그 중 1권과 6권이 남아 있다.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한자음을 우리의 음으로 표기하였다는 점에 역사적 의의가 있으며, 국어 연구 자료로서 중요성도 매우 높다.
  
 
===청자상감운학문매병===
 
===청자상감운학문매병===

2022년 6월 22일 (수) 00:43 판

간송미술관

간송미술관에 대해

간송미술관은 간송 전형필이 설립한 우리나라 최초의 사립 미술관이다. 서울 성북구 성북로에 위치해 있으며 한국 최초의 근대 건축가 박길룡이 설계했고, 1938년 완공되었다.

위치

지도를 불러오는 중...

주요소장품

훈민정음

출처: 간송미술관
발행년도 1446년
반곽 23.3x16.6cm
국보 제70호

세종 28년(1446)에 훈민정음의 창제목적, 자모글자 내용, 해설을 묶어 만든 책이다. 책 이름을 글자이름인 훈민정음과 똑같이 했는데 해례가 붙어있어서 '훈민정음해례본' 또는 '훈민정음원본'이라고도 한다.

동국정운

출처: 간송미술관
발행년도 1448년
반곽 34.1x20.2cm
국보 제71호

우리나라의 한자음을 바로잡아 통일된 표준음을 정하려는 목적으로 간행된 책이다. 세종 30년인 1448년에 신숙주, 성산문, 최향, 박팽년 등이 왕명을 받고 편찬하여 간행했다. 6권 6책의 활자본으로 그 중 1권과 6권이 남아 있다.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한자음을 우리의 음으로 표기하였다는 점에 역사적 의의가 있으며, 국어 연구 자료로서 중요성도 매우 높다.

청자상감운학문매병

청자기린유개항로

계미명금동삼존불입상

출처: 간송미술관
추정년도 563년
높이 17.7cm
국보 제72호

6세기 초반부터 중국과 우리나라에서 호신불로 유행하던 금동삼존 불상이다. 연꽃잎 모양의 광배 중심에 주불입상이 원형 두과오가 타원형 신광을 짊어지고 서 있고 그 좌우에 보살입상이 연꽃 봉오리같은 지물을 들고 서 있다. 두원광 안에는 당초라 부르는 넝쿨 장식과 동심원 장식이 중복되고 상부에는 횃불모양이 높에 돋을새김되어있다. 신광도 타원형 융기선이 중복되면서 그 사이에 연꽃 봉오리가 선각으로 새겨졌다. 그 밖으로 광배 전면에 불꽃 모양이 마치 아지랑이처럼 위로 겹겹이 돌아 오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