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선 필 청풍계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30번째 줄: 30번째 줄:
 
[[정선]] 문서 참고.
 
[[정선]] 문서 참고.
  
===작품 배경===
+
===문화재 배경===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피그말리온]]에 관한 작품.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피그말리온]]에 관한 작품.
[[피그말리온]]은 여인들에게 혐오감을 느껴 그들을 멀리한 채 조각을 하는 데만 몰두하다가, 이상적인 여인 그 자체인 조각상을 만들었다. 너무나 자신의 이상형이다보니, 자신이 만든 그 조각상을 사랑하게 되었다. 그는 이후 간절히 기도했는데 그의 정성에 감동받은 사랑의 여신 [[아프로디테]]에 의해 그 조각상은 실제의 여인이 되었고, [[ 피그말리온]]은 이 여인과 결혼하여 행복한 삶을 누리게 되었다.
+
정선 필 〈청풍계도〉는 현실 공간인 청풍계가 마치 눈앞에 있는 것처럼 펼쳐져 있으면서 구축적인 구도와 강렬한 필 묵법, 활달한 필치 등을 활용해 청풍계의 장소적 의미를 강조한 독특하면서도 개성 있는 화풍을 보여주었다. 시대를 풍미했던 문예론을 공유했던 정선 자신이 그림에서 진 (眞)의 시각화를 구현한 결과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이 우리 강산을 주제로 한 그의 실경산수화가 [[진경산수화]]로 불리는 이유라고 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피그말리온]], [[갈라테아]], [[아프로디테]] 참고.
 
  
 
===특징===
 
===특징===
41번째 줄: 39번째 줄:
  
 
==같은 소재의 작품==
 
==같은 소재의 작품==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
 
|+ style="caption-side:bottom; text-align:left|
 
!회화||조각||희곡
 
|-
 
|장 레옹 제롬, 피그말리온과 갈라테이아<ref>https://news.naver.com/main/read.nhn?oid=015&aid=0002746690</ref>||에티엔느 모리스 팔코네, 피그말리온과 갈라테아<ref>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492697&cid=46704&categoryId=46743</ref>||조지버나드쇼, 피그말리온<ref>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6677990</ref>
 
|-
 
|[[파일:장레옹제롬.jpg|200px|center]]||[[파일:에티엔느모리스팔코네.jpg|200px|center]]||[[파일:조지버나드쇼.jpg|200px]]
 
|}
 
  
 
==참고문헌 및 자료==
 
==참고문헌 및 자료==

2022년 11월 3일 (목) 13:00 판

"정선 필 청풍계도"


개요

간송미술관에서 보유하고 있는 회화이다. 한국의 화가 안동김씨 김상용(1676~1759)의 고택을 정선(1676~1759)이 1739년에 그린 기년작이다.

상세

작가

정선 문서 참고.

문화재 배경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피그말리온에 관한 작품.

정선 필 〈청풍계도〉는 현실 공간인 청풍계가 마치 눈앞에 있는 것처럼 펼쳐져 있으면서 구축적인 구도와 강렬한 필 묵법, 활달한 필치 등을 활용해 청풍계의 장소적 의미를 강조한 독특하면서도 개성 있는 화풍을 보여주었다. 시대를 풍미했던 문예론을 공유했던 정선 자신이 그림에서 진 (眞)의 시각화를 구현한 결과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이 우리 강산을 주제로 한 그의 실경산수화가 진경산수화로 불리는 이유라고 할 수 있다.

특징

짜임새 있는 구도와 조형감각, 경물의 특징표현에 적합한 필묵법의 사용, 자신감 넘치는 농익은 필치의 구사, 약간의 채색이 전달하는 생동감의 부여 등 정선의 진경산수화를 대표할만한 사례이다.


같은 소재의 작품

참고문헌 및 자료

“정선 필 청풍계도”,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작성자 및 기여자

  • 작성자 : 김상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