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 필 삼청첩"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4번째 줄: 4번째 줄:
 
! colspan="2" style="background:#3ca9a9; color:#ffffff; font-size:130%; text-align:center;" | '''이정 필 삼청첩'''
 
! colspan="2" style="background:#3ca9a9; color:#ffffff; font-size:130%; text-align:center;" | '''이정 필 삼청첩'''
 
|-
 
|-
| colspan="2" style="text-align:center;" | [[파일:이정 필 삼청첩.jpeg|200px]]
+
| colspan="2" style="text-align:center;" | [[파일:이정필삼청첩.jpeg|200px]]
 
|-  
 
|-  
 
| style="width:80px; text-align:center;" |'''작품명''' || 이정 필 삼청첩
 
| style="width:80px; text-align:center;" |'''작품명''' || 이정 필 삼청첩

2022년 12월 1일 (목) 01:49 판

소개

'이정 필 삼청첩'은 조선 17세기 종실 출신 화가 탄은 이정(1554~1626)이 1594년 12월 12일 충남 공주에서 그린 그림이다. 총 1첩의 54면으로 구성된다. 이정은 조선시대 묵죽화를 대표하는 인물이며, 이 화첩에는 이정의 묵죽화 뿐만 아니라 매화와 난 그림이 수록돼 그의 다방면의 작품세계를 보여준다. 해당 그림은 쪽빛으로 물들인 비단 위에 금니로 사군자의 생태와 관련된 모습을 정교하게 묘사해 화려하고 섬세함이 드러난다. ‘삼청첩’에는 이정의 그림 뿐 아니라 최립(1539~1612), 차천로(1556~1615) 등 이정과 교유한 당대인들, 윤신지(1582~1657), 송시열(1607~1689) 등 후대인들의 발문이 포함돼 이 화첩의 제작시기와 전래경로를 명확하게 전해준다는 점에서 역사적 가치를 더해 주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이 화첩은 조선시대 사군자화의 흐름을 파악하는 데에 중요한 작품이자 조선시대 최고의 묵죽화가 이정의 수준 높은 필력을 보여주는 대표작이라는 점에서도 학술적, 예술적 가치가 높다.

삼청첩의 의미

삼청은 본래 도교에서 신선이 사는 천상세계인 옥청과 상청, 태청을 지칭하는 용어로 최고 이상향을 뜻한다. 그러나 삼청첩의 첩명은 이러한 도교적 측면의 의미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이지 않으며, 그보다는 삼청첩의 화재가 군자의 덕성을 표상하는 식물들인 매화, 대나무, 난이기 때문에 글자 그대로 '세 가지 맑은 것'이라는 의미로 첩의 이름을 지었을 가능성이 다분하다.

그림의 의미

삼청첩에는 대나무가 양적 질적 면에서 우수하게 그려져있다. 그러나 난과 매화는 비교적 그 질과 양에서 완성도가 떨어지며, 양식적인 면에서도 대나무에 비해 중국의 영향과 자취가 강하게 묻어난다. 이는 대나무를 전문으로 그렸던 이정의 개인적인 기호나 숙련도 관점에서 이해될 수 있다. 더불어 이러한 삼청첩은 우리나라 사군자화의 발전 정도를 보여주는 지표이기도 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삼청첩의 그림들은 이정이 어떤 소재와 방식으로 자신의 전형 양식을 수립해 나아갔는지 추정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조선 중기 사군화의 양상과 특징을 실체적으로 보여준다는 점에서 미술사적인 의미가 매우 크다.

영상

  • ‘삼청첩’의 마지막 작품! 고죽| 이정 [굿모닝 정보세상] 57회 20190821

기타

이외 조선시대 간송미술관 문화재

미디어위키

  • 박희진 22에 의해 작성된 페이지입니다.(2022.1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