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1번째 줄: 1번째 줄:
{{동음이의}}
+
[[파일:정조.PNG]]
 +
 
 +
[사진 출처: 나무위키]
 +
 
 +
 
 +
=='''기본 정보'''==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
|'''이칭''' || [[형운(亨運)]], [[홍재(弘齋)]], [[문성무열성인장효왕(文成武烈聖仁莊孝王)]], [[이산(李祘)]]
 +
|-
 +
|'''분야''' || [[조선시대사]]
 +
|-
 +
|'''유형''' || [[인물]]
 +
|-
 +
|'''출생일'''|| [[1752년(영조28)]]
 +
|-
 +
|'''사망일'''|| [[1800년(정조24) 6월]]
 +
|-
 +
|'''시대'''|| [[조선]]
 +
|-
 +
|'''본관'''|| [[전주]]
 +
|-
 +
|'''저작'''|| [[홍재전서]]
 +
|-
 +
|'''성별'''|| 남
 +
|-
 +
|'''성격'''|| 왕
 +
|}
  
==팀소개==
+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정조(正祖))]
근대 작가인 [[채만식]]을 주제로 토의한 조입니다.
 
==조원==
 
[[홍석준]]
 
  
[[권회형]]
+
----
  
[[최서윤]]
 
  
[[안민주]]
+
=='''소개 및 업적'''==
==선정한 작가==
 
[[채만식]]
 
  
==개인별 작성 콘텐츠==
+
정조(正祖)는 조선후기(1776~1800) 제22대 왕이다. 정조는 [[사도세자]]의 죽음으로, 요절한 [[영조]]의 맏아들 효창세자의 후사로서 왕위에 올랐다.
===[[홍석준]]===
+
핵심 정치 기구 규장각을 중심으로 강한 왕권을 가지고 문화정치를 펼쳤으며 각 붕당의 주장이 옳은지 그른지를 명백히 가리는 적극적인 탕평책을 추진했다.
[[이상한 선생님(소설)|이상한 선생님]]
+
정조(正祖)는 핵심 정치 기구 [[규장각]] 설치,국왕의 친위 부대 장용영 설치, [[수원 화성]]을 포함한 수원 도시 건설, 서적 편찬 등 많은 업적을 남겼다.
  
[[미스터 방(소설)|미스터 방]]
+
=='''정조의 편찬 사업'''==
  
[[논 이야기(소설)|논 이야기]]
+
대전통편(법전,경국대전 증보), 동문휘고(외교 문서 정리), 추관지(형조 업무)
 +
탁지지(호조 업무), 내각일력(정조~고종까지의 규장각 일기)
 +
무예도보통지(병법서), 홍재전서(정조의 시문집), 증보동국문헌비고(동국문헌비고 증보)
 +
규장전운(어학책), [[일성록]], 춘관통고(의례서), 홍문관지(홍문관 역사)
  
[[혜성(잡지)]]
 
===[[권회형]]===
 
[[개벽사]]
 
  
[[별건곤]]
+
=='''참고 영상'''==
 +
<youtube>=6sGrEZLLv0Y</youtube>
  
[[세길로]]
 
  
[[조남주]]
+
=='''작성자'''==
===[[최서윤]]===
 
[[와세다 대학]]
 
  
[[조선문인협회]]
+
[[박혜리]]
  
[[탁류]]
 
  
[[치숙]]
 
===[[안민주]]===
 
[[태평천하]]
 
  
[[레디메이드 인생]]
+
[[분류:한국의 문화재]][[분류:인물]][[분류:조선]][[분류:조선 왕]][[분류:조선시대 후기]][[분류:영조2]]
  
[[태평양 전쟁]]
 
  
[[조선문단]]
+
{{동음이의}}

2022년 12월 1일 (목) 14:32 판

정조.PNG

[사진 출처: 나무위키]


기본 정보

이칭 형운(亨運), 홍재(弘齋), 문성무열성인장효왕(文成武烈聖仁莊孝王), 이산(李祘)
분야 조선시대사
유형 인물
출생일 1752년(영조28)
사망일 1800년(정조24) 6월
시대 조선
본관 전주
저작 홍재전서
성별
성격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정조(正祖))]



소개 및 업적

정조(正祖)는 조선후기(1776~1800) 제22대 왕이다. 정조는 사도세자의 죽음으로, 요절한 영조의 맏아들 효창세자의 후사로서 왕위에 올랐다. 핵심 정치 기구 규장각을 중심으로 강한 왕권을 가지고 문화정치를 펼쳤으며 각 붕당의 주장이 옳은지 그른지를 명백히 가리는 적극적인 탕평책을 추진했다. 정조(正祖)는 핵심 정치 기구 규장각 설치,국왕의 친위 부대 장용영 설치, 수원 화성을 포함한 수원 도시 건설, 서적 편찬 등 많은 업적을 남겼다.

정조의 편찬 사업

대전통편(법전,경국대전 증보), 동문휘고(외교 문서 정리), 추관지(형조 업무) 탁지지(호조 업무), 내각일력(정조~고종까지의 규장각 일기) 무예도보통지(병법서), 홍재전서(정조의 시문집), 증보동국문헌비고(동국문헌비고 증보) 규장전운(어학책), 일성록, 춘관통고(의례서), 홍문관지(홍문관 역사)


참고 영상


작성자

박혜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