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시성 (2018)"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영화의 역사적 배경)
(영화의 역사적 배경)
34번째 줄: 34번째 줄:
 
===영화의 역사적 배경===
 
===영화의 역사적 배경===
  
  안시성 전투는 645년(보장왕 4) 고구려가 당나라 군대와 안시성에서 벌인 공방전이다. 644년 당나라 태종(太宗)은 상당한 반대여론을 무릅쓰고 고구려 침공을 결심했다.
+
  안시성 전투는 645년(보장왕 4) 고구려가 당나라 군대와 안시성에서 벌인 공방전이다.  
 +
 
 +
644년 당나라 태종(太宗)은 상당한 반대여론을 무릅쓰고 고구려 침공을 결심했다.
  
 
이를 위해 치밀한 계획을 세워 군량·선박·각종 공성구(攻城具) 등을 준비하는 한편, 소수의 병력을 파견해 고구려 변경지대의 형세를 정탐했다. 이어 연개소문(淵蓋蘇文)이 영류왕과 대신들을 살해하고 집권했으므로 성토하지 않을 수 없다는 구실을 내세워 고구려 침공을 실천에 옮겼다.
 
이를 위해 치밀한 계획을 세워 군량·선박·각종 공성구(攻城具) 등을 준비하는 한편, 소수의 병력을 파견해 고구려 변경지대의 형세를 정탐했다. 이어 연개소문(淵蓋蘇文)이 영류왕과 대신들을 살해하고 집권했으므로 성토하지 않을 수 없다는 구실을 내세워 고구려 침공을 실천에 옮겼다.

2023년 6월 12일 (월) 04:13 판

영화 안시성(2018)


영화의 역사적 배경

안시성 전투는 645년(보장왕 4) 고구려가 당나라 군대와 안시성에서 벌인 공방전이다. 

644년 당나라 태종(太宗)은 상당한 반대여론을 무릅쓰고 고구려 침공을 결심했다.

이를 위해 치밀한 계획을 세워 군량·선박·각종 공성구(攻城具) 등을 준비하는 한편, 소수의 병력을 파견해 고구려 변경지대의 형세를 정탐했다. 이어 연개소문(淵蓋蘇文)이 영류왕과 대신들을 살해하고 집권했으므로 성토하지 않을 수 없다는 구실을 내세워 고구려 침공을 실천에 옮겼다.

소개

예고편

줄거리

우리는 물러서는 법을 배우지 못했다! 우리는 무릎 꿇는 법을 배우지 못했다! 우리는 항복이라는 걸 배우지 못했다! 천하를 손에 넣으려는 당 태종은 수십만 대군을 동원해 고구려의 변방 안시성을 침공한다. 20만 당나라 최강 대군 VS 5천명의 안시성 군사들. 40배의 전력 차이에도 불구하고, 안시성 성주 양만춘과 전사들은 당나라에 맞서 싸우기로 결심하는데… 동아시아 역사상 가장 위대한 승리를 이끈 안시성 전투가 시작된다!

인물 설명

  • 실존 인물

양만춘 (배우 조인성)

  • 양만춘 (배우 조인성)

우리는 물러서는 법을 배우지 못했다
안시성의 성주. 쿠데타를 일으킨 연개소문에게 복종하지 않았으며 당군으로부터 성을 지켜낸 인물.


이세민 (배우 박성웅)

  • 이세민 (배우 박성웅)

머지않아 안시성을 발 밑에 두겠구나
고구려를 침략한 당나라의 황제, 당 태종.


연개소문 (배우 유오성)

  • 연개소문 (배우 유오성)

고구려의 영류왕을 죽여 쿠데타를 일으키고 정권을 잡은 고구려의 실권자.
영류왕이 친중국적 성향을 갖고 있어, 그 쿠데타로 당 태종은 전쟁의 명분을 삼았다.


  • 그 외 영화 속 캐릭터


  • 사물 (배우 남주혁): 연개소문으로부터 비밀 지령을 받고 안시성에 침투하는 태학도 수장.
  • 추수지 (배우 배성우): 유려한 창술과 뛰어난 처세술을 가진 안시성의 오랜 부관.
  • 파소 (배우 엄태구): 태학 출신으로 용맹함으로 무장한 안시성의 기마대장.
  • 백하 (배우 설현): 양만춘의 여동생이자 여군 부대의 수장. 백하의 실제 모델은 연개소문의 여동생 '연수영'이다.
  • 풍(배우 박병은): 수려한 칼솜씨를 뽐내는 환도수장.
  • 활보 (배우 오대환): 쌍도끼를 제 몸처럼 다루는 부월 수장.
  • 시미 (배우 정은채): 미래를 예지하며 신의 말을 전하는 선녀.

영화로 보는 역사

실제 역사와의 차이점

영화 선정 이유 및 영화의 의의

안시성 전투는 국가의 운명을 가르는 결정적인 전투였고 그 규모도 엄청났다. 이 전투에 당 나라 군은 약 50만명까지 투입됐으며 이 전까진 개모성, 요동성, 백암성이 차례 차례 함락 당하며 연속해서 많은 위기가 있었지만 결국 이 전투에서 고구려가 승리하였다. 안시성 전투의 승리 요인은 안시성 앞에 적을 방어해주는 요하강, 그 강 유역의 곡창지대를 통해 군량을 수급받을 수 있었던 것, 천산산맥을 뒤에 등지고 있던 것처럼 최적의 자연 환경이 있었지만 안시성 사람들의 '내부적 단결'이 크다고 생각한다. 영화 '안시성'은 이 단결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