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해한용운심우장"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33번째 줄: 33번째 줄:
 
==개요==
 
==개요==
  
만해한용운심우장 이하 심우장이라 칭하겠다. 1933년 즉, [[일제강점기]]에 지어진 심우장은 특이하게도 당시에 보기 드문 북향집이다. 또한 심우장은 1985년 7월 5일 서울특별시기념물 제 7호로 지정된 독립운동가 만해(萬海) [[한용운]](1879~1944)의 유택이다. 심우장의 면적은 374㎡ 이며 정면 4칸, 측면 2칸 규모의 장방형 평면에 팔작지붕을 올린 민도리 소로수장집이다.
+
만해한용운심우장 이하 심우장이라 칭하겠다. 1933년 즉, [[일제강점기]]에 지어진 심우장은 특이하게도 당시에 보기 드문 북향집이다. 또한 심우장은 1985년 7월 5일 서울특별시기념물 제 7호로 지정된 독립운동가 만해(萬海) [[한용운]](1879~1944)의 유택이다.  
  
 
==상세 내용==
 
==상세 내용==
심우장은 [[독립운동가]] [[한용운]]이 1933년 부터 1944년까지 일생을 보내다가 세상을 떠난 곳이다. 심우장의 대문을 통과하면 왼쪽에 심우장과 맞은편에 관리자의 주택이 서있음을 확일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했 듯, 심우장은 여타 한옥과는 다르게 북향집인데 이 이유는 [[한용운]]이 그가 집을 남향으로 지으면 조선총독부와 마주보게 되므로 이를 거부하고 반대편 산비탈의 북향터를 선택하였기 때문이다. 심우장이란 명칭은 선종의 '깨달음'의 경지에 이르는 과정을 잃어버린 소를 찾는 것에 비유한 열가지 단계별 수행 중 하나인 '자기 본성인 소를 찾는다' 라는 심우(尋牛)에서 유래한 것이다.  
+
심우장은 [[독립운동가]] [[한용운]]이 1933년 부터 1944년까지 일생을 보내다가 세상을 떠난 곳이다. 심우장의 대문을 통과하면 왼쪽에 심우장과 맞은편에 관리자의 주택이 서있음을 확일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했 듯, 심우장은 여타 한옥과는 다르게 북향집인데 이 이유는 [[한용운]]이 그가 집을 남향으로 지으면 조선총독부와 마주보게 되므로 이를 거부하고 반대편 산비탈의 북향터를 선택하였기 때문이다. 심우장이란 명칭은 선종의 '깨달음'의 경지에 이르는 과정을 잃어버린 소를 찾는 것에 비유한 열가지 단계별 수행 중 하나인 '자기 본성인 소를 찾는다' 라는 심우(尋牛)에서 유래한 것이다. 심우장의 면적은 374㎡ 이며 정면 4칸, 측면 2칸 규모의 장방형 평면에 팔작지붕을 올린 민도리 소로수장집이다.
  
  

2018년 6월 9일 (토) 23:01 판


개요

만해한용운심우장 이하 심우장이라 칭하겠다. 1933년 즉, 일제강점기에 지어진 심우장은 특이하게도 당시에 보기 드문 북향집이다. 또한 심우장은 1985년 7월 5일 서울특별시기념물 제 7호로 지정된 독립운동가 만해(萬海) 한용운(1879~1944)의 유택이다.

상세 내용

심우장은 독립운동가 한용운이 1933년 부터 1944년까지 일생을 보내다가 세상을 떠난 곳이다. 심우장의 대문을 통과하면 왼쪽에 심우장과 맞은편에 관리자의 주택이 서있음을 확일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했 듯, 심우장은 여타 한옥과는 다르게 북향집인데 이 이유는 한용운이 그가 집을 남향으로 지으면 조선총독부와 마주보게 되므로 이를 거부하고 반대편 산비탈의 북향터를 선택하였기 때문이다. 심우장이란 명칭은 선종의 '깨달음'의 경지에 이르는 과정을 잃어버린 소를 찾는 것에 비유한 열가지 단계별 수행 중 하나인 '자기 본성인 소를 찾는다' 라는 심우(尋牛)에서 유래한 것이다. 심우장의 면적은 374㎡ 이며 정면 4칸, 측면 2칸 규모의 장방형 평면에 팔작지붕을 올린 민도리 소로수장집이다.


지도와 연락처

지도를 불러오는 중...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주어(S) 목적어(O) A는 B를 ~하다(P)


참고문헌

작성자 및 기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