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자상감연지원앙문정병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2211117김아영 (토론 | 기여)님의 2022년 11월 25일 (금) 12:07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청자상감연지원앙문정병
청자정병.jpg

지정 번호 국보 제66호
종류 유물/청자
한문 명칭 靑磁 象嵌蓮池鴛鴦文 淨甁
영문 명칭 Celadon Kundika with Inlaid Willow, Lotus, Reed, and Mandarin Duck Design
시대 고려시대
소재지 성북동
지정일 1962.12.20
소유(관리) 간송미술관
간송미술관 주소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로 102-11
지도를 불러오는 중...

소개

'정병(淨甁)'은 '맑은 물을 담는 병' 이라는 의미이며, 불교에서 모든 악을 씻어 버리는 의식에서 사용하던 용기의 하나이다. 중국에서 거쳐 온 서방 양식이며, 이는 고려로 전해져 오면서 가장 세련되게 나타나고 금속기와 도자기로 만들어졌다.

<청자상감연지원앙문정병>은 유물 중에서도 뛰어난 걸작이다. 반듯한 조형과 비색의 유색이 그대로 느껴지는 것이 특징이다. 병은 긴 목과 옆구리에 주입구가 달린 몸체로 이루어져있다. 환대가 부착된 기다란 목의 앞뒤 양면에는 모란꽃을 하나씩 상감했다. 병의 어깨는 풍만하게 벌어졌다가 아래로 갈 수록 좁아지다 외반하는 형태이다. 물을 넣는 아가리엔 구연부 형태와 고리 모양의 귀가 달려있지만, 현재 뚜껑은 없는 상태이다. 기형이나 세부표현에서 국립중앙박물관소장의 국보 제92호인 청동은입사포유수금문정병과 같은 금속기의 영향이 강하게 드러난다.


외부링크